-
-
광합성 소년 ㅣ 독깨비 (책콩 어린이) 7
존 레이놀즈 가디너 지음, 천미나 옮김, 에스더 그림 / 책과콩나무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광합성 소년
10살 소년이 세계적인 대발견을 하다!
이제 전 세계에서 굶어죽는 사람들은 없어지리라.
생각만 해도 참 멋지고 대단한 발상이다.
아직까지 한 번도 받아보지 못한 최고 과학 교사상을 받고싶어하는 그린 선생님은 숙제나 시험점수보다 과학 프로젝트를 중시한다.
과학 프로젝트 주제를 발표하는 날 앨런은 인간 광합성에 대해 발견을 해보고싶다고 하지만
그런 일은 불가능하다며 일언지하에 묵살하고 립스틱에 관한 연구를 해오라고 숙제를 내어준다.
작년에 프로젝트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낙제된 배리는 매번 앨런을 놀리려고 하지만 오히려 번번히 눈치빠른 앨런에게 골탕을 먹고,
자신의 멋진 프로젝트 주제에 대해 엄마도 아빠도 별로 귀 기울이지 않는다.
다만 할아버지만이 앨런의 이야기를 진지하게 받아주고 좋은 충고를 해주는데.......
발견이란 말이다, 일단 수많은 조각으로 자른 다음 각각 다른 곳에다 숨겨 놓은 아보카도와 같단다. 어떤 조각은 아주 찾기 어렵지. 또 어떤 조각은 바로 너무 가까이에 있어서 못 보기도 한단다. 앨런 네가 할 일은 바로 그 서로 다른 조각을 찾는 거란다.
전체를 보기 위해서 굳이 모든 조각을 찾을 필요는 없다는 말씀이시군요.
발견자들이 썼던 도구들-눈 코 귀 입 손가락 피부 두뇌-를 써야 한다며 앨런의 말을 우습게 넘기지 않고 참으로 요긴한 조언을 해주신 할아버지 덕에 앨런 브루스터의 인간 광합성 발견은 그 막이 올랐다.
아이들의 멋진 상상력을 우리는 과연 얼마나 키워주고 있을까.
읽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질문도 많고 이야기도 들어주지만 과연 아이들의 대단한 상상력을 나는 따라가고 있었던가.
자신있게 고개를 끄덕거리지 못하겠다.
도서관에서 필요한 책을 찾고 연구를 하던 앨런은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것들이 인간에게 모두 있음을 깨닫고 엽록소의 마그네슘과 헤모글로빈의 철 사이에 놓인 어려운 연관성을 생각하고 생각하던 끝에 발견해낸다.
그리고 드디어 초록색 피부의 햇빛만 받아도 살 수 있는 인간 식물이 되는데 앨런의 그런 모습을 의사들은 치료해야 할 대상으로 생각하고, 그린 선생님은 페인트를 칠했다며 믿지 않는다.
그러던 어느 날 정말 대통령이 보낸 사람이라며 찾아와서는 이 발견은 아주 아주 국가적으로 중요한 일급 비밀이며 알려져서는 안된다고 한다.
앨런의 인간 광합성은 밝혀지지 못하고 립스틱 연구로 실버 트로피를 받게 되는데......
놀라운 상상력이 이루어낸 멋진 결과, 그리고 기막힌 반전, 읽는 재미를 보태주는 일러스트, 그리고 이젠 굳어버린 머리로 아이들을 따라잡으려 애쓰는 내모습까지 발견할 수 있었던 재미있고 멋진 책, 광합성 소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