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유럽에서 광을 판다 - 문화와 자연이 공존하는 동유럽
오동석 글 사진 / 두루가이드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나는 유럽에서 광을 판다
빛을 다루는 광학을 전공한 이가 물리학을 더 연구하고자 유럽으로 향했다가
유럽의 매력에 빠져 유럽 여행 전문가가 되었다.
여행 가이드로 60여개국을 다닌 경험과 여행사를 운영했던 경험, 지인들과의 인연으로
유럽 찾기를 꿈꾸는 이들을 위해 보다 알기 쉽고 읽기 좋은 유럽 여행서를 펼쳐내었다.
표지 사진과 제목에 혹해 읽기를 원했던 책인데
기대이상의 알찬 내용과 저자의 정성어린 마음이 느껴져
참 고맙다는 생각을 했다.
나 역시 유럽 여행을 오랫동안 꿈꾸며 직접 배낭을 챙기기도 했고,
그 과정에서 바로 옆으로 몇 미터만 더 가면 어디가 나오고 거기에서 뭘 볼 수 있고
어디로 가려면 몇 번 버스를 타고 교통비는 얼마이고 등의 자세한 정보를 담은
최신간 여행서를 읽기도 하고,
여행사 홈페이지를 뒤져 근래 다녀온 이의 여행후기를 읽기도 하고,
여행에세이까지 섭렵했던 적이 있다.
지금도 여행서는 나의 간절한 바람을 조금만 더 하며 달래주고 있는데
이 책을 읽으니 바람이 다시 분다. 엉엉~ 나도 가고싶다아!
일반적인 여행 안내서와는 다르다.
유럽 여러 도시들의 문화와 역사와 전체적인 느낌에 대한 이야기로 짜여져 있는데
저자의 바람대로 일단 읽기 쉽고 재미있다.
도시의 명칭에 대한 유래와 그 도시의 전성기 시대와 지금의 모습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 담긴 이야기,
도시와 관련된 주요 사건과 놓치면 아까운 명소를 담고 있다.
보여주는 곳곳 어찌나 아름다운지 감탄이 절로 나오고,
읽고 있노라면 직접 가서 보고 느끼고싶다는 생각이 간절해진다.
모짜르트 in 오스트리아를 읽고 빈 소년합창단 음반을 구입했는데
이 책을 읽고는 사운드오브뮤직 DVD를 구입해 보고싶단 생각이 들었다.
짤즈부르크 성 뒷편에서 꼭 시내 전경을 보아야지.
이렇게 책에서 보는 것만큼이나 가슴설레이고 뛰는지 직접 한 번 보아야지.
이런 생각을 했다.
모짜르트의 누이 난넬의 이야기를 하면서 허균과 허난설헌을 이야기하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유럽에서 오랫동안 여행하고 그곳에서 직업을 구하고 살아도 역시 뿌리는 한국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잠시 혼자 해보았다.
부다는 부처, 페스트는 페스트라는 병의 이름. 웃긴 이야기인데 그 이야기를 하며 부다의 어원이 물이라는 것,
그래서인가 헝가리는 온천의 나라라고 한다.
나이들어갈수록 뜨뜻한 온천이 좋아지는 것이 헝가리도 가보고싶다.
유럽의 여러 나라 곳곳에 대한 이야기는 아직 가보지 못한 곳인데도 이 책을 읽고 보고 있노라면 가본 듯 친숙한 느낌이 든다.
그만큼 쉽게 친근하게 알려준다는 의미이리라.
유럽을 이야기하면서 국물 있는 우리 음식, 국물 없는 서양 음식,
유럽의 도자기와 우리의 도자기, 여운이 없는 서양의 종소리와 우리의 선덕대왕 신종,
동서양의 춤과 열정과 감정을 함께 담으며 우리를 떠올리는 것이 좋았다.
한 번에 다 읽어야지 하는 마음으로 읽었는데
읽고 나니 이 책은 굳이 한 번에 다 읽지 않고
가고싶은 곳, 보고싶은 곳을 골라 읽거나
생각날 때 떠오를 때마다 천천히 조금씩 읽어도 좋겠다.
읽기 시작해 맛을 들이면 쉽게 놓을 수 없긴 하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