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화는 어디에서 올까?
나카무라 유미코 외 지음, 이시바시 후지코 그림, 김규태 옮김 / 초록개구리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평화는 어디에서 올까?
아이가 물어왔다. 휴전선이 어디쯤에 있고, 왜 생겼는지......
세상에서 가장 먼 곳이라는 책을 보았는데 휴전선 이야기가 나오더란다.
이 책을 읽고 우리가 누리고 있는 평화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는데 공교롭게도 그 질문을 때맞추어 해왔다.
6.25 전쟁에 대한 이야기는 자세히는 모르지만 안단다.
그때 남쪽과 북쪽으로 나뉘어 선을 긋고 전쟁을 쉬자고 양쪽에서 합의해서 휴전선이 생겼노라고, 지금도 우리는 전쟁이 끝난 종전이 아니라 휴전 상태라고 이야기를 해주었다.
지금도 고향에 죽도록 가고싶어도 못 가는 이들이 있고, 사랑하는 가족들과 헤어져 죽었는지 살았는지 모르는 이들도 있다고 이야기를 해주었다.
종전이 아니라 휴전.
참 슬픈 이야기다.
일본의 학급 아이들이 들려주는 저마다의 평화 이야기는 조금씩 다르면서도 같은 모습을 하고 있었다.
료코가 친구들에게 돌린 설문지의 평화와 팔레스타인 아이들이 생각하는 평화는 그 무게도 색깔도 많이 달랐다.
우리 나라가 다른 나라에 점령 당하지 않았을 때.
우리나라가 안전할 때.
만약 우리가 일제시대에 살고 있는 이들이라면 비슷한 이야기를 했을 것이다.
그랬다.
아직도 팔레스타인은 전쟁중이고 수많은 이들과 아이들이 다치고 죽어가고 괴로워하고 있다.
돈가스를 몇 조각으로 나누어 먹는 것, 피구를 잘 하고 싶어 연습해서 던진 공이 자신과 같이 공이 무서워 도망다니던 친구를 맞힌 것, 장난감 총으로 전쟁놀이를 하는 것, 먼저 나간 사람이 운동장을 차지하고 쓰는 것, 마음껏 먹을 수 있는 자유가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버려지는 음식물과 떠도는 난민 구엔 이야기, 대민 지뢰로 발이 없어진 아이, 그 어린 아이들 손으로 만들어지는 축구공, 소년병......
결코 가벼운 무게의 이야기는 아니었으나 외면해서는 안되는 이야기들이었다.
얇은 책 속의 글은 많은 생각거리를 안겨주었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고민하게 했다.
둘 이상이 모인 개인들에서부터 작게는 한 학급, 한 학교, 한 사회와 나라, 그리고 지구촌.
평화는 작은 것에서도 큰 것에서도 언제나 자리잡고 뿌리내리기를 원한다.
부디 이 세상에서 전쟁이라는 단어가 사라지기를.......
모두가 평화로운 세상이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전세계에 친구를 만들자는 도모미의 의견에 나도 동참하고싶다.
이 책은 저학년들뿐만 아니라 많은 어린이들에게 읽으라고 권하고싶다.
그리고,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읽어주었으면 하는 책이다.
한 그루 한 그루의 나무가 모여 숲을 이룬다.
많은 이들이 읽어 손에 손잡고 평화를 이루어냈으면 좋겠다.
마음에 남는 한 구절 :
"우리 전 세계에 친구를 만들자. 같은 반 친구들만이 친구는 아니잖아."
"전쟁을 없애자는 거구나! 그래, 팔레스타인 아이와 친구가 되는 것도 좋을 것 같아.
그런 거라면 나도 할 수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