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도 피카소가 될 수 있어요 - 이주헌과 함께 감상하기, 창작하기
이주헌 지음 / 다섯수레 / 2009년 11월
평점 :
나도 피카소가 될 수 있어요
명화가 명화인 것은 단순히 대상을 보기 좋게 그리거나 형태를 잘 묘사해서가 아닙니다.
남이 보지 못한 것을 보고, 표현하지 못한 것을 표현했기 때문에 명화가 된 것입니다.
명화를 아이들에게 보여주는 것이 두뇌개발에도 좋고 감수성을 풍부하게 하는데 좋다해서
태교 때부터 혹은 아직 말도 배우기 전부터 명화카드를 보여주기도 한다.
언제 어디서부터 시작했든 어릴 적부터 눈에 익게 보아오고, 그 안에 담긴 의미를 읽거나
명화와 관련된 역사, 그림 이야기에 재미를 붙인다면
커서도 명화를 좋아하고 즐기며 가까이하는 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명화도 클래식과 마찬가지라 한다. 들으면 들을수록 처음과 비슷한 것 같아도 다른 것이 느껴지고 보여진다.
명화를 많이 감상할수록 예술가의 개성과 장점, 독창성, 어떻게 그런 점을 드러내게 되었는지 등도 알게 되고
더 나아가 나만의 생각을 자신있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고 한다.
그림 이야기를 들려주는 저자 이주헌님은 이 책을 통해 어린이들이 저마다의 개성을 발휘하며 창조적인 사람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
그 명성은 익히 들어 알고 있었으나 어른 대상이 아닌 어린이를 주독자층으로 해서
아이들의 창의력, 상상력, 표현력을 높일 수 있는 책이 <나도 피카소가 될 수 있어요>이다.
책의 구성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전자는 그림, 어떻게 볼까 후자는 그림, 어떻게 그릴까이다.
앞부분의 비중이 뒷부분보다 크지만 우리 아이들은 기존 화가들의 명화들 이야기와 함께 아이들이 직접 그린 그림에
큰 흥미를 보였다.
보여지는 명화가 이주헌님의 이야기를 통해 입체적으로 살아있는 듯, 우리에게 말을 건네는 듯 느껴졌다.
영국의 풍경화 윌리엄 터너가 그린 <비, 증기, 속도-대 서부 철도> 그림 해설에서
실수하고 잘못해도 우리를 향한 사랑이 한결같은 부모님의 사랑과도 같다는 이야기처럼
그림과 이주헌님의 해설을 통해 마음을 움직이는 그림을 보았다.
또한 단순히 보는데서 그치지 않고 그림, 어떻게 그릴까를 통해 그리는 방법과 알아두면 좋은 상식,
실제 아이들이 그린 그림을 함께 보면서 좋은 자극도 되고 한걸음 더 나아간 명화 감상을 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