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자 곽재우
조민 지음 / 문학지성 / 2009년 12월
평점 :
절판
현자 곽재우
나라를 구하고 민족을 구한 역사적 인물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나라의 훌륭한 역사적 인물을 아이에게 꼽으라 하면 세종대왕, 이순신, 김구, 을지문덕... 위인전에서 보았거나 교과서 속에서 본 분들의 이름이 먼저 나온다.
물론 이분들의 훌륭하지 않다는 이야기는 절대 아니다.
단지 역사 교과서 속에서 단 몇 줄로 남겨진 인물 홍의장군 곽재우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고 이야기해주고 있을까를 생각하고 한 이야기이다.
물에서는 이순신, 뭍에서는 곽재우
개인의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해서나 이름을 떨치기 위한 명예욕에서가 아니라 온전히 나라와 민족을 생각해 자신을 바치신 분.
집안 재산을 털고 가동들도 함께 한 의병 활동에 뛰어난 병술로 승전을 이끌고 관에서 버린 백성들을 끝까지 품어안았다.
그분의 일대기를 현자 곽재우라는 역사 소설로 읽고나니 지금이라도 그분에 대한 평가를 올바로 하고 후세에 전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공부하러 갔던 산사에서 남명 선생님의 이름을 듣고 아버지께 허락을 구하러 갔다.
아들이 이야기하기 전에 품었던 생각이었으나 그 올곧음과 세상의 이치를 생각하고 아들이 그 사상을 이어받아 대쪽같기만 할까 미처 내지 않았던 말을 아들에게서 먼저 듣고 허락하지 않을 수 없었다.
남명 선생께 배움을 청하여 일종의 시험인 문답이 오간후 어린 나이에 제자로 받아들여졌다.
그것을 시기한 서성국에 의해 왕따와 도둑의 누명을 썼으나 흔들리지 않고 조종도와 김우옹, 정인홍, 오건과 도원결의를 맺는다.
남명 선생은 맏외손서인 김우옹에게는 성성자를 수제자인 정인홍에게는 경의검을 물려주고 외손녀와 결혼한 곧고 현명한 재우에게는 자신의 사상과 혼을 물려주었다.
그 유산은 곽재우의 평생 삶의 기준이 되어 시련 속에서도 흔들림없는 삶의 자세가 되었다.
첫 과거 시험을 보던 날 과거장의 폐단을 목격하고 두번째 시험에서 2등으로 급제하였으나 답안지의 내용이 선조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여 떨어졌다.
이후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도학을 공부하며 지냈으나 원래 부유한 집안이었기에 살림이 궁핍하지 않았다.
그런 재산을 의병활동을 위해 아낌없이 다 내어놓고 집안 가솔은 끼니를 잇기 어려운 정도였으니 누가 이렇게 할 수가 있었을까.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왜적에 맞서고 불의에 굽히지 않고 뜻을 펼쳤다.
왜란이 끝난후 공을 논하는 자리에 나서지 않았으며 오히려 임금이 여러번 불러도 사양하고 물러나니 그 곧은 기개를 알만하다.
임금의 말잡이까지 공치하했던 상황에 휘말리지 않으려 한 의로운 인물 곽재우.
지봉유설에서 그의 자리를 제대로 찾아주지 않았다면, 지금의 저자나 역사가들이 그 이름을 제대로 불러주지 않았다면 곽재우라는 인물에 대해 교과서 속의 단 몇 줄로만 읽고 지나갈 뻔했다.
현자 곽재우, 그 이름을 기억하리라. 그리고 우리 아이들에게 이야기해주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