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찾는 우리 약초 - 한방편
김태정 지음 / 현암사 / 199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쉽게 찾는 우리 000' 시리즈로 출판된 도감중에서도 한방편이다. 포켓사이즈의 책인데 세로로 길게 제본이 되어 있다. 겉 표지만을 보고는 옆으로 보는 도감으로 착각할 수 있겠음. 전형적인 도감으로서 약초 사진이 서너장 나오고 그에 따른 효능과 분포지역등이 간결하게 인쇄되어 있다. 사실 한방에서 쓰는 약초는 한자를 쓰는 데다가 부르는 이름이 여러개라서 헷갈리기 쉽상이다. 종이 재질은 광택이 나는 두꺼운 도감용지를 사용해서 뒷장이 비춰지지 않는다.


고삼을 예로 들어본다면,
속명은 야괴수.지괴.고골,산괴자,너삼,수괴,넓은잎능암,능암,백경,지괴근,산두근,봉화과,도둑놈의지팽이,뱀의정자나무 라고도 한단다. 그리고 각각에 한자가 붙어 있음. ㅎㅎ 머리 아프다. 한의사들은 이런 것을 어떻게 다 기억할꺼나?


여기에 덧붙여 효능을 부분을 보자면
외피를 완전히 벗긴 뿌리를 이뇨, 건위, 살충제, 농약, 피부병, 나창, 학질, 진통, 해열, 설사, 구충, 신경통, 이질 등의 약으로 쓴다.
라고 나와 있다. 매우 간단하다. 이 자료를 토대로 고삼으로 한약을 만들려고 한다면, 몹시나 골치가 아프겠다. 다른 약재와 배합을 해야할 수도 있고, 일일 복용량은 어느 수준으로 맞춰야 하는지 등등등 말이다.


따라서, 보통사람들은 그냥 식물도감으로 활용하는 것이 안전하겠다. 어설프게 약초꾼 흉내를 내다가 얼토당토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으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erbs 대사전 - 자연이 준 신비로운 향기
최영전 지음 / 예가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말 그대로 허브에 대해 많은 것을 알게 해주는 도감이다. 사진과 내용이 충실하며 특이하게도 서울에서 가보고 싶은 허브 농장들을 이미지, 약도, 전화번호 등등으로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이는 일종의 스폰서이면서도 사진쟁이들이라면 한번쯤 들러봐도 좋을 출사지 역할을 한다. ㅎㅎ 이런 컨셉으로 나온 사진관련 책이 많이 있는데 그 정도로 자세한 것은 아니지만 아뭏든 가볼만한 농원이 상당수 나온다.


그러면 전문적인 책의 내용을 조금만 소개해 볼까 한다.
박하를 크게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눌 수 있는데 동양종은 박화뇌를 생산하는 약초인 박하를 말하며, 서양박하는 자극성의 풍미가 후추를 연상케 하여 페퍼민트라 하는데 향료나 향미료 등으로 쓰이는 것은 주로 서양박하다.....중략.... 박하의 역사를 살펴보면 고대의 이집트나 로마에서 성했으며 이집트의 고대 고분에서 발견된 것이라고 전해진다. 박하의 속명이 Mentha 는 로마신화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지옥의 하신 코키투스의 딸인 님프 멘터를 플루토왕이 사랑했는데 이를 질투한 그의 처 페르세포네가 멘타를 이 풀로 만들어 버렸다는 이야기다....이하 생략.


이런식으로 다양한 읽을 거리와 사진, 재배법, 특성등이 상세하게 소개되고 있다. 포켓사이즈의 도감임에도 700쪽이 넘는 책이며, 광택이 돌고 두꺼운 도감용지를 사용해서 뒷 장이 비춰지지 않는다. 3만원도 안 되는 가격이라면, 내용에 비해서 비교적 저렴한 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의 딱정벌레 - 원색도감 교학사 자연도감 10
김정환 지음 / 교학사 / 200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포켓 사이즈로 만들어진 전형적인 도감이다. 즉 큼지막한 사진과 함께 학명과 특징, 생태와 분포지 등등이 간결하게 인쇄되어 있다. 종이는 두껍고 광택이 나는 도감용지를 사용해서 뒷장이 비치지 않는다. 한편, 1990년대 중반과 후반에 찍은 사진으로 펼쳐낸 도감인데 --못 알아볼 정도는 아니지만-- 흔들리거나 촛점이 빗나간 사진이 간간히 끼어 있다. 그리고 지금은 멸종이 되어서 볼 수 없는 1987년에 찍은 천연기념물 장수하늘소도 포함되어 있다.


참고로, 장수하늘소의 복원이 얼마전에 성공했다고 한다. 반가운 소식이다. 뉴스를 검색해 보면 알겠지만 이대암 영월곤충박물관장하고 한국 국립생물자원관의 합동 연구를 통해서란다.


아뭏든 책의 내용을 조금 들춰보자. 장수하늘소에 대한 내용이다.
"몸은 황갈색 또는 흑갈색이며, 대부분 황색의 잔털로 덜여 있다. 큰턱은 크고 튼튼하게 생겼으며, 위로 구부러져 있고 바깥쪽에 1개의 가지가 있다. 앞가슴 등판의 옆 가장자리에는 톱니 모양의 돌기가 나 있으며, 등판에는 황갈색 털뭉치가 있다. 성충은 7~8월에 나타나는데, 서어나무의 고목 속에서 유충이 발견된다. 몸 길이 수컷은 85~108mm, 암컷은 65~85mm. 분포지는 한반도 중북부, 아무르."

장수하늘소는 일본에 밀수출 될 정도로 가격이 많이 나가는 곤충이다. 이를 노리고 불법 포획꾼이 설치고 다니기도 했으며, 이외수의 소설 중에서도 장수하늘소라는 제목으로 책이 나오기도 했다. 거기서 등장하는 인물이 장수하늘소를 잡아서 한 몫 단단히 벌고자 범죄를 저지르는 장면이 나온다. 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의 잠자리 생태도감 - Odonata of Korea
정광수 지음 / 일공육사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사진의 품질, 내용의 깊이, 제본과 디자인, 도표와 해설 등등에서 아무런 주저없이 별5개를 줘야 하는 도감이다. 일본에서도 참고할 정도로 수준이 높으며, 보통 사람들에게도 어렵지 않게 읽힐 수 있는 책이다. 필자의 서평을 검색해 보면 알겠지만, 지금까지 잠자리에 대한 책만 --전문 연구자용과 보통 사람용-- 3권을 펼쳐낸 끈기의 인물이다. 저자가 운영하는 홈페이지를 소개하니 자주 들러 살펴보기를 권한다.  www.jasa.pe.kr


퀄리티가 어느 정도인지 잠깐 책 내용을 소개해 보련다.
잠자리의 배에는 각각의 독특한 문양이 있고 10마디 끝에 수컷은 교미부속기가, 암컷은 미모가 달려있다. 이 두 종류는 같은 형태인데 수컷의 경우 짝짓기 할 때 암컷을 꽉 움켜잡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교미부속기라고 한다.
이 수컷의 교미부속기는 상부속기와 하부속기가 있으며 실잠자리아목의 수컷은 각각 두 개의 상부속기와 하부속기를 갖고 있으나 잠자리아목의 수컷은 하부속기가 하나이다. 수컷의 배 2번째 마디에는 짝짓기를 할때 사용하는 부성기가 있고....중략......


왕잠자리의 수컷을 잡아 암컷으로 위장시키기도 하는데 파란색을 하고 있는 수컷의 배마디에 주변의 풀이나 호박잎을 돌로 쳐서 즙을 만든 후에 수컷과 암컷이 차이가 나는 배의 2~3마디 부위를 칠하면 암컷과 비슷한 녹색을 하게 되는데.... 중략 ... 다른 수컷이 암컷인 줄 알고 짝짓기를 시도한다...이하 생략"


이런 식으로 사진과 해설, 채집 방법, 연구의 에피스등 등등이 어우러져 있어서 읽는 재미와 내용의 깊이가 매우 좋다. 한 마디로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은 셈이다. 아뭏든 이 책은 전공자나 비전공자나 구별없이 읽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책 중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술가를 위한 해부학 도감
스티븐 로저스 펙 지음, 안영진 옮김 / 비즈앤비즈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여러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용도 도감으로 보인다. 미술대학을 목표로 하는 수험생이나 이미 화가의 길을 가고 있는 사람, 만화를 그리는 카투니스트, 인체 해부도를 참고하고자 하는 의학도, 박제사, 과학수사관련 인물 등등에게 모두 유용할 듯 싶다. 2011년에 출판된 책인데 아직까지 한 줄의 서평도 달리지 않았다니 놀라울 따름이다. 엉뚱한 곳에서 보석을 발견한 것 같다. 게다가 가격도 저렴하기 이를데 없어서 이 정도면 거의 공짜나 다름없는 수준이다.


해부학 그림과 사진이 나오고, 각 부위의 명칭이 표시되며 뎃셍을 위한 포인트와 주의할 점 등이 상세히 소개된다.
책의 내용을 조그만 살펴보자. 손에 대한 관찰 포인트다.
관찰포인트 - (1)첫째 등쪽 뼈 사이근은 엄지손가락과 집게 손가락 사이에서 볼록 튀어나온다. (2)엄지손가락 뿌리 부분에 짧은 엄지폄근힘줄과 긴엄지폄근힘줄 사이의 살짝 오목한 부분을 일명 '코담배갑' 이라 한다. (3)노뼈붓돌기는 손목의 엄지손가락 쪽에 도드라져 나온다. (4)긴엄지폄근은 팔 쪽으로 올라갈수록 집게 손가락의 힘줄 쪽으로 가까워지지만 만나지는 않는다.

라고 인체구조에 대해 매우 정밀하고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저자가 스케치한 여러 그림이 나온다. 어느 분야에서나 일등의 자리에 오르려면 --어느 정도 타고나야 하는 면도 있지만-- 부단한 노력이 있어야 한다. 이 책을 바탕으로 탄탄한 기본기를 익힌다면 자신이 원하는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낼 수 있으리라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