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원식물도감 - 원색
윤세영 / 아카데미서적 / 1995년 6월
평점 :
품절


600쪽이 약간 안 되는 두께에, 도판의 크기는 포켓 사이즈 A5[148×210mm],로 제작된 도감이다. 전형적인 도감인데, 각 페이지 당 한 개의 사진이 나오고 그 아래로 간단한 설명이 붙었다. 종이의 품질은 두껍고 광택이 나는 도감용지(아트지)를 사용해서 뒷 장이 비춰지지 않는다. 한편, 여러 화각에서 찍은 사진이 담겨졌더라면 해당 자원식물을 식별하기가 좀더 쉬었을 것 같다. 이 도감에서는 주로 식물의 꽃을 위주로 촬영했다.


책의 내용을 조금만 발췌해보자.
박쥐나무. 숲속 전석지에서 자라는 낙엽 관목, 작은 가지에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잎은 호생하고 사각상 심원형 또는 원형이며 나비가 각각 7~20cm로서 끝이 3~5개로 얕게 갈라지고 열편은 삼각형이다. 핵과는 난상 원형이고 길이 6~8mm로서 9월에 짙은 벽색으로 익는다. 재배는 꽃 모양이 독특하여 정원수목으로서 토심이 깊고 토양 수분이 충분한 장소에 심는다.


이정도 설명이면 대상 식물에 대한 핵심적인 정보는 거의 담긴 셈이라고 보여진다. 자원식물이 중요한 이유가 뭘까? 거대 다국적 기업의 이윤추구로 세상이 점점 험악해지기 때문이다. 세계 각국에서 유용한 식물을 가져다가 --마치 제것인양--특허를 등록하고, 그에 따른 막대한 이득을 취하면서......이미 TV다큐면터리를 통해서 다룬 내용이므로 더 이상 언급하지 않으련다. 우리나라도 피해국 중 하나이니 열 받는다. 아뭏든 가면갈수록 지구상의 인구는 계속 증가를 할 것이고 이에 따라 식량자원 확보에도 치열한 경쟁이 펼쳐질 것인바, 자원식물의 중요성을 일러 무삼하리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의 농어아목 어류 - 동물자원편람 7
김익수 지음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03년 10월
평점 :
품절


모조지(백상지)에 인쇄된 전공서적겸 도감이다. 도판의 크기는 B5(182 x 257mm)이며 약 300쪽에 이르는 두께를 가졌다. 보통의 용지인 모조지(백상지)로 만들었으며 국명과 더불러 영명, 일명이 간단히 나온다. 한편 사진은 뒤에 부록 형식으로 20여 페이지를 차지한다. 나머지는 농어류에 대한 상세한 텍스트와 비교를 위한 일러스트가 곁들여져있다. 특히나 이 도해는 농어아목 어류를 구별하기 위한 포인트를 제시하기 때문에 활용도가 매우 높다.


본문의 내용을 조금만 들춰본다면,
점주둥치. 몸과 머리는 좌우로 납작하고 체고가 낮고 긴 난형이며, 체장은 체고의 2.6~2.8배이다. 눈은 머리의 중앙보다 약간 위에 위치하고, 눈지름은 주둥이 길이와 비슷하다. 눈 앞의 위쪽 가장자리에 2개의 가시가 있다. 등지느러미는 1개로 극조부는 연조부보다 높고, 기조수는 8극 16연조, 뒷지느러미 기조수는 3극 14연조이다.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깊게 파여 있다.....중략......연안에서 무리지어 생활한다. 어미의 몸 길이는 약 8cm이다. 우리 나라의 남해안에 분포하고, 국외에는 일본 남부에 분포한다.


가만있어 보자. 많고 많은 어류도감 중에서 굳이 농어를 선택한 이유는 뭘까? 아마도 횟감으로 많이 먹기 때문이 아닐까? ㅎㅎㅎ 매콤한 초고추장에 찍어서 먹으면 그 맛이 기가막히지 않은가? 하여간 우리와 관련된 주변 생물에 대해 더 친근함을 느끼는 것이 인지상정인데.......음? 친근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대상물을 잡아먹는 것은 논외로 하자...ㅜ.ㅜ;; 필자도 어쩔 수 없은 인간이니까 말이다. 아뭏든 양식업자나 횟집 사장님도 한번쯤 읽어보면 좋지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담수조류도감
정용 / 아카데미서적 / 1993년 5월
평점 :
품절


양장본으로 만들어진 포켓 사이즈의 도감이다. 새를 소개한 조류도감이 아니고, 민물에사는 조류藻類를 말한다. 즉 원생생물계에 속하면서 광합성을 하는데, 너무 작아서 현미경으로 관찰해야하는 생물을 말한다. 그런데 요렇게 말하면 어렵구, 그냥 녹조류라고 말하면 금방 이해가 될 것이다. 저수지에서 대량발생해서 산소를 고갈시켜 물고기를 질식케 한다는 뉴스가 심심치 않게 보도되므로, 이렇게 말하는 편이 더 빠르다. ㅎㅎㅎ


아뭏든 도감은 다른 서적에 비해서 마이너장르인데, 그 중에서도 찾는 사람이 거의 없는 분야가 바로 이런 미세생물을 다른 분야일 것이다. 그래도 미래에는 조류가 인간의 식량자원이나 연료로 쓸 가능성이 있기에 놓쳐서는 안 된다. 무엇보다 연구하는 사람이 적어서 경쟁이 치열하지 않다는 것. 이것이 가장 매력적일 것이다.


책의 내용을 조금만 소개해 본다면, CLASS DINOPHYCEAE 와편모조 강.
조체는 단세로포 되어 영양체가 편모를 가지고 운동하는 것과 영양체에는 편모가 없는 것과 군체로 되는 것, 사상체로 되는 것 등이 있다. 조체의 기본형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라 할 수 있으나 이밖에도 돌기를 가지는 것 등 다른 모양의 것도 많다. 세포의 주위에는 세포벽이 명확히 분화하며 횡구와 종구가 있고 이 홈에 따라서 각각 한개씩의 편모가 있다....중략... 못, 웅덩이, 늪에 서식하며 보통 3월경부터 출현하여 봄에서 여름에 걸쳐서 번식하는 것이 많으며 때로는 이상 번식에 의해서 물꽃을 형성하는 수도 있다.

라고 설명이 되어 있다. 한편, 이 도감은 서두에 20여 페이지에 걸쳐서 현미경 사진이 나오고, 약 절반 정도는 일러스트가 차지한다. 그리고 나머지 절반에 각 조류의 특징과 서식환경, 학명 등등의 관련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궁금할 때 바로 찾는 우리 나무 도감 250 - 우리 나무 이름 유래편, 빨리찾는 학습도감
허북구.박석근 지음 / 중앙생활사 / 200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포켓 사이즈로 분류되는 필드용 도감이다. 전형적인 도감형식을 따르기에 한쪽 면에는 나무의 사진이 들어차고, 다른 쪽 페이지에는 간단한 설명이 들어간다. 부제로 (유래편)이라는 글자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나무 이름의 유래를 다루고 있기에 내용이 간단한 편이다. 한편, 도판의 크기는 A5 로써 153*224mm이고 300쪽이 조금 넘는 두께이다. 종이 재질은 광택이 나는 도감용지(아트지)를 사용했으나 얇아서 뒷장이 제법 비춰진다. 사진의 품질은 평균 정도임.


책의 내용을 조금만 살펴보자면,
불두화, 인동과Viburnum sargentiifor. sterile.
한국이나 일본의 정원이나 사찰에서 흔히 식재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꽃은 흰색이다. 불두화는 둥글고 하얀 꽃을 부처님의 머리에 비유한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즉 둥근 꽃차례에 작은 꽃들이 모여 있는 모양이 부처의 동그랗고 곱슬거리는 머리카락을 연상시킨다는 것이다. 북한 이름은 큰접시꽃나무이며, 일본 이름은 수구간목이다.


이렇게 설명이 붙어 있는데, 한자는 타이핑 하기가 귀찮아서 생략했다. ㅎㅎㅎ 만약, 필자가 옛날에 태어났더다면 한자를 외우는라 죽을 고생을 했을 듯 싶다. 중국에서는 한자가 너무 많아서 그 수도 줄이고, 간자체로 만들어서 쓰고 있으니, 한글이 얼마나 편리하고 잘 만들어진 과학적인 글자인가? 한글의 창제는 동아시아 일대의 사건이 아니라, 전지구적인 관점에서의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그런데 결정적으로 취약한 점이 한 가지 있는데, 한글을 쓰는 인구가 남북한 통틀어 겨우 5천만면이 안 된다는 것. 따라서 한민족이 없어지면 자랑스런 한글도 사라질것이다. 가속화하는 노령사회에 출산율 저하가 진행되면 어떻게 될까? ㅜ.ㅜ; 아니 그런데 도감 서평을 하다가 왜 이렇게 흘렀지? 그렇군. 한글날이 공휴일로 다시 제정된다고 하니 반갑기 그지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궐의 우리 새
장석신 지음, 원병오 감수 / 눌와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제목에 나온 동궐이 뭔가 했더니만 창덕궁과 창경궁을 합쳐서 부른다고 한다. 필자는 처음에 연해주 지역의 돌궐족 할때의 그 돌궐인줄 알았었음. 그런데 한자로 보자면 동쪽에 있는 궁궐이란 뜻으로 보인다. 아뭏든 창덕궁과 창경궁, 그리고 종묘를 수시로 드나들면서 찍은 새 도감이다. 사진의 품질은 평균은 넘고 있으며, 광택이 나는 도감용지인 아트지를 사용했으나 얇아서 뒷장이 제법 진하게 비친다.
이 책의 특징은 한 종의 사진을 연도별로 수년에 걸쳐서 찍은 이미지로 만들었다는 점이다. 그도 그럴것이 전문적으로 사진을 찍는 사람이 아니라서 일과후에 남는 시간을 이용했기 때문이다. 총 페이지는 346쪽이며 A5 사이즈에 이정도 가격이면 비교적 저렴한 도감에 속한다.


책의 내용을 잠깐 들여다보자면,
밀화부리. 관찰시기와 장소. 가장 눈에 띄는 신체 부위는 노란색으로 반들반들하며 시작 부분에 청색이 감도는 부리이다. 밀화부리를 납취조라고도 부르는데 납취는 부리가 밀랍을 칠해 놓은 듯 반질반질하다는 뜻이다. 밀화부리라는 이름도 이 납취를 우리말로 풀어 쓴 것이다. 뽕나무 열매 오디를 좋아해서 오디새 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중략....동궐에서는 드물게 관찰되는 여름새로, 동궐에서 번식은 하지 않는다. 사람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창경궁 소춘당지 주변과 춘당지 남동쪽 옥천, 창덕궁 신선원전 부근에서 관찰된다.

라고 간단한 촬영지와 정보를 수록했고 그 옆으로 큼지막한 사진과 작은 사진들이 서너장 배열되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