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뒤흔든 대이동 7가지 - 오늘의 세계 지도를 만든 제국의 흥망과 문명 교류의 놀라운 대서사시
베이징대륙교문화미디어 엮음, 양성희 옮김 / 현암사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세계사를 민족의 대이동이라는 측면에서 다룬 책이라서 매우 색다른 시각을 제공한다. 짧막하게 이어지면서 진행되기에 지루하지 않게 읽을 수 있다. 고대 인도-유럽인의 이동, 실크로드 월지인과 훈족의 이동, 게르만족과 슬라브족, 바이킹 그리고 마지막으로 현대의 유태인의 민족이동을 심도있게 다루고 있다. 곧 동에서 서쪽으로의 전진이다. 이중에서 훈족의 이동은 중세시대에 가장 유럽인들에게 공포스러운 대상이었다. 황하라는 말이 생겨나 지금까지 이어질 정도로 뿌리깊은 어떤 심층의식이다. 황화는 황인종이 융성하면 서양인들에게 위협이 되므로 막아야 한다는, 집단적이고 광범위한 피해의식이다. 아뭏든 허접한 생각이니 넘어가자. 한편 유태인들의 이동은 시오니즘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나찌에게 핍박받던 그들이 지금은 팔레스타인들을 그렇게 취급하고 있다. 아니 그렇다면 황화가 아닌 백화로 불러야하지 하지 않나? 아니다. 인류라는 종 자체가 타인의 고통에 무관심하다. 힘이 쎄지면 다 그렇게 된다. 이것이 비극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퍼셀 : 아더왕 & 아테네의 티몬 [2 for 1]
퍼셀 (Henry Purcell) 작곡, 델러 (Alfred Deller) 지휘, 델러 콘 / Harmonia Mundi / 2011년 8월
평점 :
품절


필자가 어렸을 당시에는 아더왕 이야기가 어린이를 위한 명작동화에 속했던 책이다. 당시 단 권 짜리로 나온 책이었는데, 귀네비어 왕비와 란스롯의 불륜 장면을 접하면서 나는 도저히 이해를 할 수 가 없었다. 그래서 혹시라도 내가 놓친 부분이 있는가 해서 앞뒤로 계속해서 왔다갔다 하면서 반복해서 읽었었다. 필자의 상식으로는 유부녀가 남편을 두고 다른 애인을 갖는 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는, 내 개념속에는 존재하지도 않는 것이었다. 아뭏든 이상하기는 했었지만 그런 상태로 덮어두었고, 조금더 나이가 든 후에는 그 장면을 납득할 수 있었다. ㅎㅎ 현대에 이르러 가장 많이 알려진 불륜은 무엇일까? 클린터의 지퍼게이트와 타이거 우주의 섹스중독이 그것일 것이다. 사람이란 한 거풀 벗겨놓고 보면, 특히나 동물적인 본능에서는 누구나 다 똑같다. 아뭏든 이 얘기는 실존인물이 아니라, 앵글로 색슨족의 염원을 담은 신화이니 그것을 염두에 두고 보시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사의 연구 1 (반양장) - 아놀드 토인비 59클래식Book
아놀드 조셉 토인비 지음, D.C.서머벨 엮음, 김규태.조종상 옮김 / 더스타일 / 2012년 4월
평점 :
품절


상당히 두꺼워서 읽기가 망설여 지는 책이다. 그렇지만 읽고나면 뭔가 작은 것을 성취한 것과 같은 뿌듯한 느낌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토인비는 나중에 동양의 정신문화를 크게 찬양하는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 [서양문명은 수학과 계량화와 같은 눈에 보이는 것으로 발전해왔다. 그러나 앞으로의 미래는 동양의 정신문명에 달려있는데, 이러한 가치는 수치로서는 파악할 수 없는 것이다.] 훌륭한 말이다. 그러나 이게 과연 진심에서 나온 말인지 혹은 말치레에 불과한지는 조금 애매하다. 작금의 돌아가는 현실을 보아하니 언젠가는 그렇게 될수 있겠지만 지금으로서는 그다지 밝아보이지 않는다. 인간의 의식수준이라는것이 그렇게 금방 바뀌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아뭏든 밑줄을 그어가면서 다시 한번 곱씹어 볼 정도로 의미깊은 고전이라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구 위의 모든 역사 - 지구와 생물, 인간에게 일어난 놀랍고도 흥미로운 이야기!
크리스토퍼 로이드 지음, 윤길순 옮김 / 김영사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인간의 시간개념으로는 영원에 가까운 137억년의 지구 역사를 탄생에서 부터 지금까지 일목요연하게 풀어낸 책이다. 즉, 빅뱅과 우주의 탄생, 은하수와 태양계의 형성, 시생대를 시작으로 해서 최초 생명체의 출현까지, 그리고 공룡의 지배와 멸종, 빙하기를 거쳐 인류의 진화와 이집트 문명 까지를 서머리해서 정리할 수 있게 해준다. 물론 재미도 만점이고 유익하기까지 하다. 또한 매 페이지마다 일러스트가 삽입되어 있어서 눈요기도 하면서 지구의 역사를 압축해서 살펴볼 수 있다.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아무래도 인류의 문명과 역사다. 그런데 이집트까지만 다루고 있어서 약간 아쉽다. 다른 사람에게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필자는 세계사 이야기를 좋아한다. 역사를 모르고서 어떻게 인류를 이해할 수 있단 말인가? 나는 국사와 더불어 세계사도 교과서에 필수교재로 삼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전자를 잘 모르는 요즘의 일부 청소년들은 일제의 욱일기가 뭘 뜻하는지 모르며, 광주 민주화 항쟁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도 모른다고 하니 참으로 답답한 노릇이다. 후자는 보단 큰 시각을 갖기 위해서 필요하다. 언제까지나 이 궁벽한 반도, 그것도 남북으로 갈린 이 쬐끄만한 땅에 갖혀서 자신의 의지와 삶을 속박당해야 된단 말인가? 휴우~ 역사는 과거로부터 제왕학이라고 해서, 임금이 공부해야만 하는 필수과목이있다. 국영수만 죽어라 파지 말고 이런 역사책도 봐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인과 바다 - 일문소설카세트북 3
E.헤밍웨이 지음 / 다락원 / 1991년 8월
평점 :
절판


미국작가 헤밍웨이의 중편소설이다. 필자가 이 책을 접한 것은 먼저 영화를 통해서였고, 그 다음에 소설을 읽었다. 노어부가 작은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 몇 주간을 아무 소득도 없이 지내다가 엄청나게 큰 물고기를 잡는다는 내용이다. 그런데 귀항도중 상어떼에게 뜯어먹혀 나중에는 뼈만 앙상히 남은채로 집으로 왔다는 내용이 끝이다. 뭐라그럴까 다소 허탈하기도 하고 뭔가 아련하고 애잔한 느낌이 긴 여운을 남긴다. 이 소설을 집필하기 전에 헤밍웨이는 바다 낚시를 자주 갔었다고 한다. 그런데 잡는 족족 상어들한테 공물로 바쳐지게 되자 잔뜩 화가 나서는 기관총을 갈겨대면서 분노를 뿜었다고 한다. 곁에서 이를 지켜보던 친구들이 말려서야 겨우 그 광기를 벗어났다고 한다. 아마 이런 강렬한 기억이 이런 걸작 소설로 승화된 것이 아닐까 한다. 뭔가에 미쳐야만 작품이 나올 수 밖에 없으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