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하고 싶어
야마모토 후미오 지음, 김미영 옮김 / 창해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제목을 보는 순간 마음이 왜 그리 아픈건지 모르겠네요.
딱 내 심정을 말하는 것 같은 게 읽어보고 싶게 만드네요.
다들 예쁘고 잘 생긴 사람들 만나서 잘 결혼만 하던데 난 왜 이렇지?
사실 결혼한 사람들을 보면 결혼하지 말라고 하던데 사람 염장 지르는 것도 아니고 그럼 넌 왜 했어?
결혼이라는 것을 그냥 나이가 되어서 어쩔 수 없이 등 떠밀리듯이 하는 건 좀 아니다 싶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고 언젠가 백마탄 왕자가 짠~ 하고 나오리라는 기대를 가지기에는 세월이 너무 흘러 그런 이야기는 동화속에서만 나오는 이야기라는 것을 알게 되어서 마냥 기다리기도 힘들죠.
작가인 야마모토 후미오는 결혼 때문에 여러가지 문제를 직접 겪었다고 고백을 하고 자신의 이야기를 통해서 결혼의 의미와 연애에 대해서 독자들과 함께 생각할 수 있는 여러가지 화두를 던지고 있는 것 같아요.
결혼이라는 것이 인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도 있고 앞으로 남은 인생 전부를 걸어야하는 도박 같은 것이라 한 순간의 선택이 인생을 좌우한다는 말이 왜 그리 마음에 와 닿는지 모르겠어요.
연애의 달콤함이나 사랑도 결혼이라는 현실에서는 어쩔 수 없이 다툼이 생기기도 하고, 연애시절의 콩깍지가 벗겨지고 나면 행복의 순간은 잠시이고 후회를 할 수도 있는 거라서 정말 신중하게 하고 싶은데 그렇다고 너무 고르고 기피하다보면 사랑을 믿지 않게 되고 그럼 결혼이라는 것도 할 수 없게 되는 건 아닌지 모르겠어요.
어딘가 운명이라는 것이 있어 굳이 노력을 하지 않더라도 서로를 알아볼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요즘은 솔로들끼리 근처에만 가면 울리는 기기가 있다고 하던데?
이런 문명의 이기로 만날 수만 있다면 좋지 않을까 하고 생각도 해보지만 선뜻 그런 용기가 나지 않는 건 또 뭔지?
20대의 연애와 결혼이라는 것과 30대의 연애와 결혼이 가지는 의미는 단순히 숫자에서 오는 차이뿐만 아니라 많은 생각의 차이를 만드는 것 같아요.
아무래도 나이가 먹으면서 선택의 폭이 좁아지고 그만큼 사람의 선택에 있어 신중해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요즘은 결혼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고 하던데, 아무래도 혼자 세상을 살아가기에는 너무 험난한 것 같기도 하고, 너무 외로울 것 같아서..
그래서 모두들 결혼을 하고 싶어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네요.
그런데 왜 나만 결혼을 하지 못하고 있는지?
아~ 결혼하고 싶어..
마음먹은대로 된다면야 정말 좋겠지만 여전히 현실은 암흑이네요.
곧 있으면 명절인데 주부들만 명절 스트레스가 있는게 아니고 솔로들에게도 명절 증후군이 있다는 걸 듣기 좋은 말도 한 두번이지 그야말로 잔소리 수준의 말을 듣는데에도 한계네요.
아.. 이번엔 또 어떤 핑계를 되어야 할지
그래도 짚신도 짝이 있다는데 너무 낙담하지 말고 희망을 가져 보자구요.
어딘가에 있을 반쪽을 위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날마다 감동 날마다 행복 - 마음이 밝아지는 이야기 명언 66
고정욱 외 지음, 김율도.김형선 엮음 / 율도국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항상 웃는 얼굴로 하루를 보내려고 하는데 그게 어디 마음먹은대로 되나요.
가끔은 머피의 법칙이 딱 들어맞는 하루를 보내고 나면 정말 심신이 피곤하죠.
날마다 감동을 받을 수 있다면, 날마다 행복할 수 있다면 더 바랄 게 있을까 싶네요.
요즘은 날씨도 무덥고 짜증만 늘어가는 것 같은데 이 책을 읽을 수 있어서 다행인 것 같아요.
그동안 너무 불평만 하고 투정만 한 것 같아서 이러면 안되는데 싶었거든요.
어떻게 보면 행복이라는 것을 찾기가 너무 힘든 것 같아요.
어떤 것을 행복이라고 해야할지 너무 추상적이기도 하지만 사람의 욕심이라는 게 끝이 없어서 말이죠.
예전에 읽었던 동화책에서 파랑새를 찾아 떠나는 여행이 기억나네요.
자신에게 있는 행복을 놔두고 행복을 찾기 위해 수많은 곳을 여행하다가 결국은 자신의 집에 있는 새가 그들이 그토록 찾고자 했던 파랑새였다는 것을 알게 되죠.
행복이란 마음먹기에 달린 것인데 그런 마음가짐을 가지기가 너무 어렵다는게 문제 아니겠어요.
세상에 살아간다는 건 그만큼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산다는 것을 의미하잖아요.
비록 행복을 직접 겪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감동을 직접 받는 것은 아니지만,
책 속에 담겨진 감동적인 이야기와 행복한 글들을 읽다보면 어느 순간 절로 마음이 행복해지고 감동적이 되는 건 어쩔 수 없는 거겠죠.
사람이란 상상만으로도 행복해질 수 있는 것 같아요.
부정적인 생각보다는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는 것이 살아가는 데 더 행복하지 않겠어요.
책에 실린 66가지 이야기를 읽다보면 검은 마음이 하얗게 세탁되는 듯한 느낌이 들어요.
희생과 봉사, 긍정과 노력, 배려와 가족, 사랑..
이런 단어들만으로도 마음이 훈훈해지는 것 같아요.
누구나 살아가면서 감동을 받았던 적이 있고, 행복했던 순간들이 있을 거에요.
각자 상황이나 정도는 다르겠지만 그런 느낌들이 있기에 우리들이 살아갈 수 있는 힘을 얻을 수 있는 건 아닐까요?
현대에는 마음의 병을 가진 사람들이 너무나 많은 것 같아요.
마음의 병을 줄 수 있는 것도 사람이고, 그런 마음의 병을 치유할 수 있는 것도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여러 사람들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세상에는 너무나 많은 감동적인 이야기와 행복한 이야기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그런데 왜 항상 우울한 이야기만 듣고 불행한 이야기만 많이 듣게 되는지 모르겠어요.
다른 유명한 외국의 이야기 중에서도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좋은 이야기들이 많이 있는데 이 책은 한국적인 내용이 녹아있어 감동이 더한 것 같아요.
가끔은 마음을 깨끗하게 정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힘든 하루하루를 견딜 수 있게 해주는 가족들에게 가끔 감동적인 말 한 마디 해주는 것도 좋지 않을까요?
가족이 있기에 행복하지 않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회사를 그만둬서 성공하는사람, 실패하는 사람
가와바타 히로시 지음 / 오늘의책 / 2007년 2월
평점 :
절판


요즘처럼 경기가 어려울 땐 회사에 다니는 것만 해도 감지덕지인데..
사실 용기가 있고, 자신이 있으면 회사를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도 많이 하지만 창업을 하고 사업을 한다는게 그리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잖아요.
예전에 IMF가 왔을 때 감원 바람이 몰아치고 명퇴라는 이름으로 또는 구조조정이라는 미명하에 수많은 회사원들이 자의든 타의든 그동안 몸담았던 회사를 떠나 소규모 창업이라는 것을 택한 것을 많이 봤는데 과연 어떻게 되었을까요?
갑자기 늘어난 자영업자들로 인해서 서로 경쟁이 심화되고 매출은 잘 오르지 않는 상황에서 몇 달만에 문을 닫는 경우를 많이 본 게 사실이에요.
지금도 그리 경제가 나아졌다고는 할 수 없고, 직장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너무 심한 것 같아요.
조금이라도 실수를 한다거나 하면 회사에서 살아남기가 점점 힘들어져서 그야말로 전쟁 같은 곳이 되어버렸어요.
평생 직장이라는 말이 사라진지도 오래되었고 실력만 있다면야 어느 회사든 손짓을 하겠지만 갈수록 회사가 요구하는 것은 많은데 그만큼 따라간다는 것이 너무나 힘이 들어요.
회사에서 각종 업무와 스트레스를 참고 일하다 보면 제 시간에 퇴근하기도 힘들고 피곤에 지친 몸으로 무언가를 배워본다는게 마음 따로, 몸 따로 인게 사실이에요.
뭐 마음만은 언제나 열심히 일하고, 배워고, 성공하는 사람이 되자고는 하지만 그게 작심삼일이 아니라 작심하루가 되기 일쑤라는 걸..
주위에서 사직서를 제출하고 떠나는 사람들을 보면 가끔씩 부러울 때가 있어요.
퇴출이 아닌 자진해서 무엇을 하기 위해서 떠나는 사람들 말이죠.
저들은 회사에 목을 매지 않아도 무언가를 할 수 있는 열정이 있고, 꿈이 있다는 걸 알기 때문이죠.
제목처럼 회사를 그만둬서 성공하고 싶지만 실패하는 사람들이 더 많다는 것을 잘 알기에 선뜻 사직서를 제출하고 떠난다는게 현실에서는 전혀 상상도 못하는 것이 되어버렸네요.
어떻게 해서든 회사에서 살아남고 봐야지하는 생각만 드는데, 그게 마음먹은대로 되는 것도 아니고 걱정만 앞서네요.
퇴직도 기술이 필요하는 말에 동감이에요.
어떻게 퇴직을 하는냐는 방법의 문제도 중요하죠.
직장에서 함께 근무했던 사람들과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순간이니 말이죠.
평생 직장을 다닐 수 있으리라는 희망은 그다지 밝아 보이지 않고 언제든지 나갈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그 이후에 어떤 삶을 살게 될지 준비하는 것이 현명할 것 같아요.
취업이라는 것도 중요한 삶의 한 부분이고 과정이지만 이제는 한 회사에 평생 근무한다는 건 너무나 힘들고 많은 회사를 옮길 수도 있고, 창업을 할 수도 있는데 퇴직이라는 것도 취업만큼 많은 준비가 필요하고 과감한 결단이 필요하다는 걸..
과연 성공할 것인가, 실패할 것인가?
미래는 알 수 없는 거잖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을 쓰자 민음의 시 155
김언 지음 / 민음사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을 보고 소설을 쓰기 위한 지침서 정도로 생각했는데 시집이네요.
소설과 시는 같은 언어를 쓰는 것이긴 하지만 느낌은 사뭇 다른데 왜 이런 제목을 지었는지 궁금한 생각에 첫 장을 넘기게 되네요.
사실 시라는 것을 잘 읽지 않아서 김언 시인을 잘 알지는 못하지만 이번에 나온 시집이 세번째라고 하네요.
시라는 것이 원래 함축적이고 그 의미가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작가가 아니면 그 진정한 의미를 찾기가 너무 힘든 것 같아요.
하지만 읽는 사람에 따라서 같은 글자가 다른 의미를 가질 수도 있는 것처럼 천의 얼굴을 지닌 것이 시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어요.
언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말"에 대해서 진지하게 탐구하는 시인인 것 같아요.
시를 쓰기 위해서는 언어에 대한 남다른 재능이 있어야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만큼 언어에 대한 깊은 관찰과 탐구가 묻어나는 시들인 것 같아요.
시와 소설처럼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두 세계의 만남을 통해서 하나 더하기 하나가 둘이 아니라 그 이상의 무언가를 창조해낼 수 있다는 걸..
한 편의 시를 읽은 건지, 한 편의 소설을 읽은 건지 아리송하지만 좀 색다르고 독특한 느낌을 받은 건 사실인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인예언자 4 - 오드 토머스와 흰 옷의 소녀 오드 토머스 시리즈
딘 R. 쿤츠 지음, 김효설 옮김 / 다산책방 / 200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딘 쿤츠의 시리즈 중에 한 편이네요.
벌써 4편인데요.
시리즈는 한 번 읽으면 점점 중독되어 가는 느낌이 들어요.
늘 전편보다 더 새로운 것을 원하고 더 자극적이면서도 흥미로운 것을 바라기 때문에 대부분은 전편보다 실망스러운 작품들이 나오기 마련인데, 아마 작가들도 그런것을 알기에 더 좋은 작품을 쓰려고 하지만 그게 쉽게 되나요.
1편의 "오드 토머스 첫 번째 이야기"를 시작해서 "오드 토머스와 죽음의 여신" 그리고 "오드 토머스와 악의 수도원" 을 걸쳐서 4편인 "오드 토머스와 흰 옷의 소녀까지 작가의 상상력이 대단하네요.
죽음을 보는 능력을 지닌 주인공 오드가 그러한 능력으로 인해서 여러가지 사건에 휘말리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보여주고 있는데, 작가가 어린 시절에 불우한 환경이었다는데 그가 얘기하는 이야기에는 공포도 물론 있지만 그 속에 감추어진 인간에 대한 믿음이라든지 공포보다 더 아름다운 진실을 말하고 있는 것 같아요.
원래 영웅이라는게 고독한 존재가 아닌지 모르겠어요.
다른 사람들을 구하면서도 자신은 여전히 고통 속에서 지내야 하는 운명이라니..
힌 옷의 소녀가 감추고 있는 비밀은 무엇일지, 사건 속으로 들어가서 공포와 마주치고 세상을 구할 수 있을까요?
공포와 죽음이라는 원초적인 두려움에 맞서는 한 인간의 모습을 보면서 인간이 결코 나약하지만은 않다는 것을..
앞으로도 어떤 이야기가 나올지 무척 궁금해지네요.
혹시 우리 주위에도 오드와 같은 예지몽을 꾸거나 죽음을 볼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문득 드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