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물 - 김숨 장편소설
김숨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가족간의 갈등을 물이라는 소재를 통해서 그렸다. 처음부터 가족간의 갈등구조가 되어지기에 읽는 중에 긴장속에서 갇혀있는 듯 했다. 이 책을 읽는 중에 우리의 가족과 내가 자랐던 가족간의 모습을 다시한번 살펴보았다. 물과 불, 물과 공기, 소금, 금 등을 보면서 아버지 어머니 동생 형제 등과의 관계를 이런 요소로 인해 표현하고 있다. 물은 수평적이면서 모든 것을 감싸는 어머니의 모습을 연상하지만 어머니는 한번도 감싸주는 않는다. 어머니에 대한 갈급함을 물이라는 요소로 자신의 욕구를 채우고자 함이 보인다. 또한 높게 솟아오는 것처럼 강한 불의 성격을 들어 아버지의 상을 보여주고 있다. 어머니와 아버지의 갈등속에서 가족간의 갈등은 시작되어진다는 것이다. 물이라는 초점속에서 이 글을 이끌어가고 있지만 물을 채우고자 하는 욕구 또한 우리들이 무엇인가를 채워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표현하고 있는 듯 하다.
즉, 자신이 자라나온 환경에서 자신에게 채우지 못한 모든 것들을 물, 불, 공기, 소금, 금 등으로 표현하고 있다. 즉 어머니는 물, 아버지는 불. 여기에서 느껴진다. 중간에서도 말했던 것처럼 자신이 바라는 어머니, 아버지의 상을 물, 불로 그려졌다. 또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모습을 그대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간혹 물불을 가리지 않어! 하는 것처럼 부정적인 면을 물, 불로 표현했을 수 있다. 그러나 독자인 저는 어머니 아버지에 대한 자신의 욕구를 표현했다고 본다. 또한 가족간의 현장에서 풍겨진 공기, 소금, 금 또한 자신의 마음을 이렇게 표현하고 있다. 공기좋은 가정을 표현한다. 공기가 좋다는 것은 그만큼 서로에게 웃음을 주는 포근함을 말하고 있다. 그러나 늘 갈증이 된다. 그 갈증이 소금으로 표현해진다. 마셔도 마셔도 갈증만이 남는 것은 왜 일까하는 생각이다. 그 가족간의 관계속에서 나타난 현상들 일 것이다. 또한 무엇인가 가난하고 힘든 세월을 보내면서 금이라는 현상을 연상하고 있다. 그러나 꿈일뿐 자신에게 주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그는 다시금 삼백톤의 물을 채우고자 한다. 작은 물방울이 모여 삼백톤의 물을 갖는다는 것은 우리에게 자신의 바란 욕구가 이 만큼 크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지 않는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갈등속에 전개되어진 모습을 보면서 물의 편온함을 갖지 못했다. 그러나 무엇인가 많은 여운을 남기는 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