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전집 1 - 소크라테스의 변론 / 크리톤 / 파이돈 / 향연, 2017년 개정판 원전으로 읽는 순수고전세계
플라톤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아름다운 것 자체 외에 어떤 것이 아름다운 까닭은 그것이 아름다운 것 자체에 관여하기 때문이며 그 밖의 다른 어떤 것 때문도 아니라고 생각하네, 또한 나는 모든 것이 그렇다고 주장하네"p197



소크라테스는 ...자기의 유일한 지식은 자기가 아무것도 모른다는 사실은 아는것뿐이라고 주장한다. -작품 소개-


번역을 정말 쉽게 하려고 했다는 구매자 평에는 전적으로 동의한다.

어렵지 않게 씌여져 있는데,

난 아무것도 모르겠다.

아름다운 것 자체 외에 어떤 것이 아름다운 까닭은 그것이 아름다운 것 자체에 관여하기 때문이라고?

아...뭐래...

역시 내 독서력으로는 무리였나보다.

이런 글 쓰는 것도 창피하지만, 뭐 모르겠는걸 모르겠다고 하는건데 뭐...뭐!!!!!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14-06-10 16: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ㅎ 저게 뭔말이에요. 두 번 읽어도 메롱이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무개 2014-06-11 08:15   좋아요 0 | URL
공감이 무려 네개씩이나!!
저만 못알아 먹는게 아닌거죠? ㅋㅋ

솔직히 인용한 문구는 오히려 쉬운편이에요.
요약할수가 없어서 그렇지
거의 대부분이 다 이해하기 힘들어요.
고전...매번 도전하고 매번 좌절하는.. ㅠ..ㅠ

단발머리 2014-06-11 10: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하~~ 책은 너무 깔끔하고 예쁘게 생겼는데요.
뿔테 쓴 깔끔한 대학생필이 막 나네요. 대학생 오빠,라고 할려다가, 제가 그 깔끔한 대학생 오빠보다 15살은 더 많은 거 같아서, 대학생이라고... ㅋㅎㅎ
저는 요 부분만 이해되네요.

"또한 나는 모든 것이 그렇다고 주장하네." ㅍㅎㅎ

아무개 2014-06-11 12:25   좋아요 0 | URL
사실을 고하자면,
저 오늘 아침에 이 책 읽기를 중단하였습니다.
하아...언제쯤이면 고전을 좀 읽을수 있게 될런지..


페크pek0501 2014-06-13 12: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소크라테스의 변명과 향연을 읽었는데 특히 향연을 읽고, 이렇게 글을 쓸 수도 있구나, 놀랐던 기억이 나네요.

"아...뭐래..." 저도 이럴 때가 있어요. 도대체 무슨 뜻인지 알 수 없는 문장이 있어요. 내 이해력을 의심하게 하는...
번역의 문제인지 작가의 실수인지 모르겠어요.
그럴 땐 그냥, 패스!!! 이럽니다. ㅋ

아무개 2014-06-13 12:51   좋아요 0 | URL
플라톤의 말대로라면 소크라테스는 정말 말빨이 죽이는 할배였겠구나 하고 생각이 들긴 하더라구요.
뭔가 앞뒤가 안 맞는거 같은데 끝까지 이야기 듣다보면 또 맞는거 같고.

여튼 지금은 과감하게 패스! 하고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 읽고 있어요.^^:::::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가 인생 최후에 남긴 유서
프리모 레비 지음, 이소영 옮김 / 돌베개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아무래도

대한민국이 아닌 아우슈비츠에서 살고 있나봅니다.



나는 이러한 규칙이, 엘라 링엔스-라이너의 책 <두려움의 포로들>에서만큼 솔직하게 표현된것을 본 적이 없다(...)

"내가 아우슈비츠에서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었냐고? 나의 원칙은 이것이었다. 첫째도, 둘째도, 그리고 셋째도 내가 먼저라는것. 그 다음은 아무것도 없다. 그 다음은 다시 나. 그러고 나서 다른 모든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p92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14-05-29 16: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이 그렇게 좋다던데, 아니, 언제 이 책을 읽으신겁니까!

아무개 2014-05-29 22:05   좋아요 0 | URL
파우치 땜시 구매했지요. 지금 읽고 있는 중이에요.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와는 아주 많이 다릅니다.
같은 아우슈비츠의 생존자 이지만
프리모 레비가 자살할수 밖에 없었던 이유를 조금 알것 같기도 합니다.
쉽게 읽히는 책은 아니네요...

다락방 2014-05-30 11:58   좋아요 0 | URL
이 책을 읽은 제 친구도 프리모 레비가 왜 자살했는지 알 것 같다고 하더라고요. 이 책을 읽고서 말이죠. 흐음. 저도 읽어봐야겠어요.

(프리모 레비의 책을 사놓고 안 읽은게 두 권이나 된다는 사실은 애써 잊으며..)

단발머리 2014-06-11 10:58   좋아요 0 | URL
저도 파우치가 필요하고요, 그리고 이 책은 집에 없네요~~~
아하, 절묘하군요.

단발머리 2014-06-11 10:59   좋아요 0 | URL
그나저나, 프리모는 누구래요? 저 또 검색들어갑니다~~

아무개 2014-06-11 12:28   좋아요 0 | URL
단발머리님 혹시 파우치 선택하실꺼면
다락님이랑 같은 세익스피어가 젤 이쁜거 같아요.
아니면 사랑에 관한 쓸만한 이론이 이쁘다네요.^^

 
고양이와 오래오래 건강하게 - 우리 고양이 장수를 위한 건강 비법
가켄 편집부 지음, 장혜영 옮김 / 니들북 / 2013년 1월
평점 :
품절


고양이를 처음 키우는 사람이나 생각없이 키우는 사람들 모두에게 필요한 책이다.
뒷부분의 나이든 고양이, 아픈 고양이를 케어하는 방법은 정말 큰도움이 될것 같다.
다만 나처럼 다묘가정에서는 역시나 냥이들의 삶의 질이 떨이질수 밖에 없다는걸 다시한번 실감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4-05-27 09: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5-27 12: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인간의 굴레에서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1
서머셋 몸 지음, 송무 옮김 / 민음사 / 199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통을 견뎌내지 못하고 억지로 사과를 해야 하는 굴욕을 견딜 수 없었다. 게다가 그의 비참한 고통은 끝이 없는 것 같아 보였다.

p80


필립은 가벼운 실망감을 느꼈다. 아량을 베풀었으니 상대방은 무언가 감사의 표현으로 그를 감격시키리라 생각했던 것이다. 노선생이 선물을 당연한 것처럼 받아들이는 것은 뜻밖이었다. 필립은 아직 어렸기 때문에, 은혜를 입은 사람보다 그것을 베푸는 사람 쪽이 은혜에 대한 의식이 훨씬 강하다는 것을 몰랐다. p169


"그건 불가능해, 자네도 나이가 들면 알게 될 거야. 세상을 살 만한 장소로 만들기 위해 무엇보다도 우선 필요한 일은 인간의 불가피한 이기성을 인정하는 것이라는 것을. 자넨 타인에게 이기적이 아니기를 요구하는데 그건 자네의 욕망을 위해 타인더러 자신의 욕망을 희생하라고 하는 모순된 주장이야. 타인이 왜 그래야 하나. 모든 개인이 세상에 살면서 자기자신을 위한다는 사실을 자네가 받아들여야 자넨 다른 사람들에게 덜 요구할수 있어, 다른 사람들에게 덜 실망할 거고, 다른 사람들을 더 자비롭게 바라볼 수 있어. 사람은 인생에서 단 한가지를 추구하지. 그건 자기 자신의 쾌락이야."p353



한편 조지 헬리 루이스의 이야기는(철학이 헛소리라고 말하고 있을뿐 아니라) 철학자의 사상이란 그 사람 자체와 불가분의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 점을 알면 그 사람이 쓴 철학을 대개 짐작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고 보면 사람이란 생각하는대로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자지가 되어먹은 대로 생각하는 것 같기만 하다. 진리란 사상과는 아무 관계도 없다. 진리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사람은 저마다 철학자이며, 과거의 위대한 인물들이 세워놓은 정교한 사상 체계라는 것도 그것을 쓴 본인들에게만 의미가 있을 뿐이다.

중요한 것은 요컨대 자기가 어떤 사람인가를 발견하는 일이며, 그리고 나면 철학 체계는 저절로 형성되어 나왔던 것이다.

p431



엇, 밑줄긋기 기능이 없어졌나?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14-05-23 20:2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 드디어 정리하셨군요.
읽었던 글을 다시 읽으니 좋습니다. 복습이죠.

"사람은 인생에서 단 한가지를 추구하지. 그건 자기 자신의 쾌락이야."p353

밑줄긋기는 페이퍼 작성시 아래 쪽에 새로 생긴 것 같던데요. 바뀐 것 같아요. ^^
 

http://youtu.be/ldnbhKS0acE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노아 2014-05-22 22: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휴, 저 지극한 마음이라니...ㅜ.ㅜ

아무개 2014-05-22 22:05   좋아요 0 | URL
그게 참...애들은 죽음이란걸 인식을 못해서
친구가 왜 안 일어 나는지...이해를 못하고..저렇게...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