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 윤리는 개인적인 믿음이나 취향에 토대를 두는 것이 아니라, 합리적 이성을 가지고 사고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근거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 p64
나는 인간을 이성을 높게 평가하는 글을 보면 오히려 더 의문이 생긴다. 정말일까 인간의 이성이 이렇게까지 평가 받을만한 것일까? 그런 고귀한 이성을 가진 인간들이 행하고 있는 짓들이 나의 이성으론 이해가 가지 않을 떄가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
소크라테스의 말처럼 그것이 얼마나 나쁜것인지 제대로 알지 못하개 때문에 인간이 악행을 계속하는 것일까,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처럼 안다는 것보다는 그 지식을 행동으로 옮기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만이 인간이 악행을 저지르지 않을수 있다는 말이 맞을까.
내 생각엔 후자쪽이 더 맞는것 같다. 얼마나 많은 인간이 나쁜일인줄 알면서 계속적으로 자신에게 타인에게 악행을 저지르고 있는가. 알고 있는것은 중요하지 않다. 물론 제대로 알아야 하는 것은 맞다, 하지만 잘못된것을 알고 난후 고치려고 노력하지 않는 것은 더 나쁘다. 아는 것보다 중요한것은 역시 지식의 실천이다.
저자는 윤리적인 이유-동물도 인간과 똑같이까지는 아니라도 그만큼의 고통을 느끼므로 동물을 먹는 것을 반대한다. 물론 자연에서 고통없이 사육되고 고통없이 도살된다면 그러한 고기는 먹어도 된다고 주장하지만 현실에서 그러한 고기는 존재하지 않기때문에 저자는 채식주의자가 되었다고 한다. 평범한 사람의 채식이야기라 받아들이긴 좀 편안하지만 결정적으로 꼭 채식을 하게만들만한 큰 영향력은 좀 부족한듯 싶다.
타 생명체가 느끼는 고통을 이성적으로만 이해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저자는 감성적 채식주의자들은 주변인을 설득시키기에 힘들다고 이야기 하지만 감정적으로 타 생명체에 대한 고통의 공감이 없이 오로지 이성의 판단-윤리적으로 옳지 않다는 사실만으로 역시 타인을 설득하기엔 좀 모자란 감이 없지 않을까 싶다.
당장에 내가 힘들고 지치고 어렵다 보니, 주변 사람들의 고통은 보여도 못 본척하게 된다. 주변 사람들에 대해서도 그렇게 공감능력이 떨어지는 인간이 하물며 다른 종의 고통-심지어 어떤 고통을 받고 있는지 직접 볼수도 느낄수도 없다- 어떻게 공감할수 있을까. 윤리적이유도 중요하지만 "지상의 모든 것에 연민을 갖고, 최소한의 것에만 해가 가도록" 채식 식단을 차렸다는 헬렌 니어링의 말처럼 그 바탕엔 타 생명체가 겪는 고통에 대한 공감도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채식주의자가 되려면 생각보다 많은 것들을 바꾸거나 하지말거나 해야한다. 동물의 고통을 윤리적 정신적으로 공감하기 때문에 동물의 고기를 먹지 않는 다면, 입지도 신지도 쓰지도 말아야 한다.
그런데 그렇게 사는 것이 그렇게 살지 않는 것보다 몇배는 더 번거롭고 심지어 경제적으로 부담까지 된다.-왠만한 채소보다 고기값이 더 싸다- 간단히 말해서 "그래, 결심했어!" 이렇게 말하고 바로 시작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모임이나 회식에서 고기를 안먹는 다고 이야기 하는 것도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채식을 해야하는 이유는 그것이 윤리적으로'옳은 일' 이며 감정적으로 "좋은 일" 이기때문이다. 힘들어도 어려워도 이성을 가진 인간이니까 말이다. 나 처럼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은 늘 머리와 가슴에 채식에 대한 의무감을 갖고 살수 밖에 없는것 같다. 책 읽는 내내 또 다시 채식의지가 후끈 불타올랐지만 책에 마지막에 다다랐을쯤에 친구에게서 온 문자는 한방에 그 불씨는 잠재웠다. '금욜 퇘랑에서 오키?"
단 0.1초도 생각도 고민도 하지 않았다."응 금욜날 봐"
이럴꺼면 책은 뭐하러 읽냐........ 중요한건 실천이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