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습, 책을 지적 자본으로 바꾸는 10가지 습관 - 삶의 격을 높이는 1% 독서법
윤영돈 지음 / 예문 / 2019년 3월
평점 :
독습(讀習), ‘읽으며 스스로 익힌다’는 뜻의 이 단어는 독서와 차이가 있다. 이미 눈치채고 있겠지만 막상 그 의미를 되새겨 보면 상당히 큰 울림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가끔 내 서재에 있는 책들을 쫘악~훑어 보곤 한다. 많은 책을 읽었구나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은 잠시, 책 제목과 함께 어떤 내용이었는지 전혀 연상이 안된다. 사람은 망각의 동물이라고 하지만 결국 책의 장점은 제대로 소화시키지 못하면서 독서하는 동안 시간만 낭비한 모양새가 된 형국이다. 부끄럽기 그지 없는 것은 당연하다.
이는 책을 읽는다는 행위, 즉 독서(讀書)에만 치중하다보니 나오는 폐해다. 읽으면서도 집중하지 못하고 무슨 내용인지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채 단순히 한권의 책을 또 읽어 내려간다는 사실에만 집착해 읽은 책들은 당연히 휘발성이 강한 기억력으로 어떤 내용들이 있는지, 또 어떤 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는지 결코 판단하지 못하게 된다. 이 지점에서 독습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다독이 아닌 정독에 더 의미를 두고 있는 독습은 그야말로 책을 지적 자산으로서 자신의 정신세계를 풍요롭게 하고 지식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가장 효율적이고 방법이다.
<독습, 책을 지적 자본으로 바꾸는 10가지 습관>은 바로 이 지점에서 시작하는 책이다. 저자는 그동안 많은 이들로부터 어떻게 하면 책을 잘 읽는 것인지 많은 질문을 받고 고민에 빠졌었다고 한다. 특히 요즘처럼 스마트폰이 바쁜 현대인에게 그나마 조금이라도 부여했던 독서시간마저 빼앗아가는 시기에 독서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더욱 간절해 짐을 느낀 저자는 1년간 진행한 독습 모임을 통해 검증된 이야기를 중심으로 풀어낸다. 또한 사회 저명인사로서 많은 독서를 해온 10명을 대상으로 독서 습관에 대한 인터뷰도 같이 언급하는 등 이 책을 통해 전반적으로 독서의 방식을 재점검하고 독자 개개인에게 가장 필요한 10가지 독서습관을 중심으로 리스타트하라고 조언한다.
결국 저자가 원하는 것은 독서를 통한 실행에 있다. 단순히 읽고 서재에 꽂아서 개인의 역사 속으로 사라져가는 책이 아니라 책을 읽은 이후 이를 지금도 실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가 가장 중요한 것이다. 이 기준은 자기계발서는 물론 부동산 투자 등 재테크 서적 등 모든 면에서 적용가능 할 것이다. 이러한 실행력으로 무장한 1%가 결국 책을 읽지 않는 99%를 이끄는 법이다. 읽지 않은 사람, 혹은 읽어도 제대로 읽지 못하는 사람은 독습하는 사람을 이기기 어렵다고 단언하는 저자는 결국 글을 읽고 스스로 배워서 익히는 사람이 고수가 될 수 있다고 한다.
책 처음에 나오는 독서 지능 테스트 결과, 나는 독서 하수(下手)에 속한다고 나왔다. 매년 100여권을 읽는 내 자신으로서는 충격적이고 부끄러운 현실이 아닐 수 없다. 나 스스로 달라져야 한다는 다짐 속에 10가지 독서 습관, 문독(질문하며 읽는다), 선독(뽑아서 읽는다), 수독(손으로 읽는다), 숙독(생각을 무르익혀 읽는다), 낭독(소리내어 읽는다), 연독(꼬리에 꼬리를 물고 읽는다). 만독(느리게 읽는다), 탐독(집중하여 읽는다), 해독(풀이하며 읽는다), 적독(쌓아두며 읽는다)을 익혀 나가고 있다. 10가지 습관 모두를 마스터해 나가는 과정이 결코 쉽지만은 아니겠지만 결국 실행력을 통해 이 습관을 만개해 나가야 하는 몫도 스스로에 있기에 돌아가거나 후퇴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