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사이드 게임 - 심리 편향에 빠진 메이저리그의 잘못된 선택들
키스 로 지음, 이성훈 옮김 / 하빌리스 / 2020년 11월
평점 :
올해 초 한 공중파 방송에서 방영된 야구 드라마 ‘스토브리그’는 사랑타령(?)만 하는 기존 로맨스 드라마가 아니더라도 철저한 기획과 전문지식을 갖추고 실제 사례들을 기반으로 시나리오를 만든다면 얼마든지 인기를 끌 수 있음을 확인시켜준 쾌거(?)였다. 한 시즌이 끝나고 난 프로야구 구단 사무실을 중심으로 고과에 근거한 연봉협상, 과감한 트레이드, 외국인 선수 스카웃 등 다양한 현안을 중심으로 직원간, 구단 수뇌부와 갈등과정을 실감나게 보여줬으며 이를 현명하게 해결하고 꼴지 팀을 한국시리즈로 진출시키는 극적인 순간을 이끌어 낸 단장의 모습을 그려냈다.
이 드라마는 마치 실제 프로야구 팬이면서 동시에 자신이 응원하는 팀과 선수들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종 통계 분석을 통해 앞으로 어떤 성적을 나타낼지, 그리고 어느 측면에서 한계를 보일지 전문가 뺨치는 수준으로 아는 팬들의 수준 향상을 반영한 것이다. 작가 역시 특정 프로팀의 팬이면서 오래전부터 이 드라마를 준비했다고 한다. 그만큼 각종 통계수치와 분석을 통해 선수의 특징과 상대방을 분석하는 것에 프로야구는 대세가 되었다.
미국 프로야구 구단 오클랜드 어슬레틱스의 구단주였던 빌리빈이 창시한 ‘사이버매트릭스’는 지금도 많은 미국 구단 뿐만 아니라 우리와 일본에서도 적극 차용하고 있는 분석툴이다. 그런데 이런 분석 툴이 있고 방대한 선수와 게임 관련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우리는 야구경기 도중 이해하기 어려운 코치진의 선택이나 구단의 방향 결정에 분통을 터뜨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인사이드 게임-심리편향에 빠진 메이저리그의 잘못된 선택들>는 바로 그런 결과에 대해 원인을 찾아보는 책이다. 이 책은 행동경제학에서 그 원인을 해석하는 방향을 찾아낸다. 우리가 흔히 결정을 내릴 때 철저히 합리적일 것이라는 기존 전제를 부정하고, 인지편향과 오류에 쉽게 흔들린다는 점을 감안해 이런 개입이 결국 팬들이 볼 때 납득하기 어려운 현장의 경기 운용과 구단의 운영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특히 현장에서 게임의 승리를 위해 즉시 결정을 해야하는 코치진에게
그래서 실수와 편향은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는 오랜 역사를 가진 메이저리그도 다를 바 없다. 이 책은 실수와 편향이 가져온 나비효과와 같은 대표적인 메이저리그 구단들의 실수를 실제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진단한다.
대표적인 예로 LA 에인절스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소속으로 명예의 전당에 헌액될 정도의 커리어를 기록한 전설적인 타자 앨버트 푸홀스와 맺은 총액 2억 4천만 달러, 계약기간 10년이라는 놀라운 FA 계약을 근거로 삼는다. 팀을 옮기면서 푸홀스는 그저 그런(?)선수로 전락했고 오랜 기간 메이저리그 구단의 통념 중 하나인 ‘주전 연봉을 받는 선수는 후보로 쓰지 않는다’라는 이유로 계속 주전으로 기용되었다. 이는 매몰비용의 오류로 불리운다고 한다. 게임을 안뛰어도 수백억원에 달하는 연봉을 지급해야 하다보니 쓸모에 따라 시합에 나서는 것을 결정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한 결과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 책은 반대로 인지 심리학과 행동 경제학 이론을 통해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었던 이유도 제시한다. 하지만 대부분 잘못된 선수 기용, 도박 스캔들 야구계 전반에서 벌어진 문제를 폭넓게 다루며, 최악의 결과를 불러 일으키는 심리 편향과 오류를 살피고, 리스크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내 응원팀 엘지트윈스의 신임 코치진과 구단이 꼭 읽어줬으면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