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전출처 : 진/우맘 > (독서의 기술) 책을 자기의 것으로 만들려면 -효과적인 써넣기

  책에 질문을 던지면서 나아가는 습관을 익히게 되면 한 걸음 나아간 독자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앞에서도 말한 바와 같이 다만 질문을 던질 뿐만 아니라 그것에 대답하지 않으면 안 된다. 마음속으로 질문을 하거나 회답하거나 할 수도 있기는 하지만 손에 연필을 가지고 하는 편이 실제로는 훨씬 하기 쉽다. 연필은 독자의 정신의 활발함을 표시하게 된다.

 예로부터 ‘행간을 읽어라’하고 흔히들 말한다. 독서의 규칙도 이것을 고친 말투로 바꾼 것에 지나지 않는다. 여기서 ‘행간을 읽을’ 뿐만 아니라 ‘행간에 쓰는’ 것을 권하고 싶다. 이것을 하지 않으면 효과적인 독서는 바랄 수 없다.

 책을 샀을 때 그 책은 분명 독자의 소유물이 된다. 옷가지나 가구를 샀을 때와 마찬가지다. 하지만, 책의 경우 이것은 겨우 일의 시작에 불과하며, 책이 정말로 독자의 것이 되는 것은 독자가 그 내용을 소화하여 자기의 피와 살로 만들었을 때다. 자기의 피와 살로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그것이 행간에 쓰는 일이다.

 써넣기를 하는 것이 독자에게 꼭 필요한 것은 어째서인가? 첫째로 잠이 깨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단순히 지각이 있다는 것뿐만 아니라 머리를 분명하게 해둘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로, 적극적 독서란 생각하는 것이며 생각하는 것은 언어로 표현되는 것이다. 자기가 생각하고 있는 것을 안다고 하면서도 그것을 표현할 수 없는 사람은 자기가 생각하고 있는 것을 정말로 알고 있지 못한 것이 보통이다. 셋째로, 자기의 반응을 적어두는 것은 저자가 말한 것을 생각해내는 데 도움이 된다.

 

 독서는 저자와 독자의 대화여야만 한다. 아마 저자는 그 문제에 대하여 독자보다 많은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독자가 그 책을 일부러 읽거나 할 리가 없다. 그러나 이해한다는 작용은 일방통행이 아니다. 정말로 배우려면 자기 자신에게 질문을 던지고, 그리고 나서 교사에게 질문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교사가 말하는 것을 알았으면 교사와의 사이에 논의를 일으키는 것도 사양하지 않을 정도가 되어야 한다. 책에 써넣기를 하는 것은 단적으로 말하면, 독자가 저자와 의견을 달리하느냐 같이하느냐의 표현인 것이다. 이것은 독자가 저자에 대해 바치는 최고의 경의이다.

 

 효과적인 써넣기의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몇 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방선(傍線)을 친다. 중요한 곳이나 저자가 강조하고 있는 곳에 선을 친다.(진/우맘의 주석:방선이 뭐지? 찾아봤더니 ‘세로쓰기에서, 어떤 부분을 두드러지게 나타내려 할 때 글줄의 오른편에 내려긋는 줄. ¶방선을 긋다.’랍니다. 가로쓰기에서는 그냥 ‘밑줄을 친다.’고 하는 게 낫겠죠?^^)

 2. 행의 첫머리 여백에 횡선을 긋는다. 이미 방선을 친 곳을 강조하기 위해서, 또는 밑줄을 치기에는 너무 길 때.

 3. ☆표, ※표, 기타의 표를 여백에다 한다. 이것은 남용해서는 안 된다. 그 책 가운데 몇 군데의 중요한 기술을 눈에 띄게 하는 데 쓴다.

 4. 여백에 숫자를 기입한다. 논의의 전개에 따라 요점의 변천을 나타내기 위해서.

 5. 여백에다 다른 페이지의 넘버를 기입한다. 같은 책의 딴 곳에서 저자가 같은 말을 하고 있거나, 이것과 관련되거나 모순되는 것을 말하고 있음을 표시하기 위해서, 각처에 흩어져 있는 같은 종류의 발상을 정리하기 위해서다. ---을 비교 참조하라는 의미로 cf.를 사용하는 사람도 있다.

 6. 키 워드를 ○로 둘러싼다. 이것은 밑줄을 치는 것과 대개 같은 효과가 있다.

 7. 페이지의 여백에 써넣기를 한다. 어떤 곳을 읽다가 생각난 질문이나 대답을 기록하기 위해서, 또 복잡한 논의를 간단한 글로 마무리하기 위해서, 주요한 논점의 흐름을 따라가기 위해서 이것을 한다. 뒤표지의 면지를 사용하여, 나오는 차례대로 요점을 메모하여 자기 전용의 색인을 만들 수도 있다.

 써넣기를 하는 독자에게는 앞표지의 면지가 매우 중요하다. 공을 들인 장서인을 누르기 위해서 이 자리를 잡아두는 사람도 있지만, 그것은 경제적인 소유권을 나타내는 데 불과하다. 독자 자신의 생각을 기입하기 위해서 이 페이지를 잡아두는 편이 낫다. 책을 다 읽고 나서 뒤표지의 면지에 자기를 위한 색인을 다 만들거든, 앞표지의 면지를 이용하여 그 책의 대요를 써보는 것이다. 페이지를 따르거나 중점을 따라서가 아니라 기본적인 대요와 부분의 배열을 파악한 빈틈없는 구성으로 쓰는 것이다. 이것은 그 책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측정하는 척도가 될 것이다. 장서인과는 달라서 독자의 지적 소유권을 나타내는 것이다.

                                                      ------독서의 기술 48~50p '책을 자기의 것으로 만들려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panda78 > JUNE CAREY 의 그림들


Monterey Vineyard  

 

 



Fall Vineyard  

 

 



A Taste of Heaven  

 

 



Lost in a View

 

 

  


Vigna Del Sole  

 

 

 



The Vineyard Floor

 

 

 


 

  



Mission Gate
  

 

 

 



The Mission Courtyard
  

 

 

 



The Mission at San Juan Capistrano
  

 

 

 




Eucalyptus Meadow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panda78 > Stephen Gjertson의 Sleeping Beaut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readers > 이외수



아무도 가지 않은 길 위에 내가 서 있습니다
이제는 뒤돌아보지 않겠습니다


깊은 밤에도 소망은
하늘로 가지를 뻗어 달빛을 건지더라


한 모금 햇빛으로
저토록 눈부신 꽃을 피우는데요
제게로 오는 봄 또한
그 누가 막을 수 있겠어요



문득 고백하고 싶었어
봄이 온다면
날마다 그녀가 차리는 아침 식탁
내 영혼
푸른 채소 한 잎으로 놓이겠다고



가벼운 손짓 한번에도
점화되는 영혼의 불꽃
그대는 알고 있을까



온 세상을 뒤집는
바람에도 흔들리지 않는 뿌리
한 그루 나무를 보라



언젠가는 가벼운 먼지 한 점으로
부유하는 그 날까지
날개가 없다고 어찌 비상을 꿈꾸지 않으랴



아직도 누군가를 죽도록
사랑하고 싶다는 생각
이게 바로 기적이라는 건가



어디쯤 오고 있을까
단풍나무 불붙어
몸살나는 그리움으로 사태질 때
세월이 흐를수록 마음도 깊어지는 사람 하나



가을이 오면
종일토록 내 마음 눈시린 하늘 저 멀리
가벼운 새털구름 한자락으로 걸어 두겠네


팔이 안으로만 굽는다 하여
어찌 등 뒤에 있는 그대를 껴안을 수 없으랴
내 한 몸 돌아서면 충분한 것을


나는 왜 아직도 세속을 떠나지 못했을까
인생은 비어 있음으로
더욱 아름다워지는 줄도 모르면서



글.그림 : 이외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밀키웨이 > [퍼온글] 들꽃의 생명 ㅡ 이현섭님 작품들













이현섭의 들꽃의 생명





1959 광주 출생,

전남대학교 미술교육과 졸업

개인전 여수 3회(1994~1995, 2000)

개인전 광주 신세계 갤러리(1996)

개인전 서울 현대백화점 신촌점(2000)

단체전 15회 (1981-2000)

현재는 여수중학교 교사

두 아이를 기르고

아이들을 가르치며 들꽃의 생명을 화폭에 담아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