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이나 되었다고 믿을 수 없는 

Oasis의 champagne supernova가 늠늠 좋다고 말하던, 과제 제출된 글 읽으면서 

90년대가 잠시 리플레이 됐었다. 지금 술마시면서 들어보는 중. 마침 밖엔 비도 오고 아주 좋... 존좋. 

이러다 혹시 2081년에 (아 그럴 리가 없긴 한데, 현실성이 아예, 0.0000도 없는 건 아닌 과장을 하기 위해) 

살아 있는 어느 날, 비가 오고 그 날도 오아시스 "샴페인 수퍼노바"를 듣고 있게 된다면? 그리고 알라딘 북플이 

"60년전 오늘 남긴 기록을 확인하시고..." 란다면?! 


지금 집이 너무 좋고, 이사하던 날 그 날부터 비가 왔어도 좋았고.... 포스팅 이미 여럿 했다. 

그런데 아직도 못한 얘기가 있으니, 그것은 정리 안되어 어수선한 집에서 밤이 왔을 때  


빗소리 들으면서 책상 앞 의자에 앉아 있다가 

무슨 생각이 들었는데, 바로 강렬히 레이저처럼 집중이 되더라는 얘기다. 


What is called thinking? 

웃기다고 생각했던 하이데거의 책 제목. 

그 때 그 격한 집중의 체험. "ㅇㅇ 이것이 생각이라 불려야 하겠습..."의 체험이었다. 


생각을 막는 세력들이 많기 때문에 가능한 체험. 


그런데 어쨌든 

만일 우리가 그 세력들을 떨친다면 

그 집중의 체험에서 출발하여, 그 집중의 체험을 반복 재연하면서, 글을 쓴다면 좋을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공쟝쟝 2021-06-30 15:5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어머 세상에! 오아시스! 몇천년만에 듣는 이름이라 ㅋㅋ 저도 요고 읽고 샴페인수퍼노바 들어요. 오늘은 오아시스 들으면서 놀아야지.. 촉촉..

몰리 2021-06-30 17:16   좋아요 1 | URL
오아시스 처음에 충격이다가
머지 않아 지겹고 지겹고 지겹고 물리고 물리고 물리다가
그로부터도 한참 지나고 나서는, 그냥 계속 틀어놔도 딱히 거슬리지 않고
술 마시면서 들으면 뭔가 많이 좋고... 독특한 자기들 방식으로 난놈들인듯.
 





밤 하늘이 검은 이유? 

우주에 기원이 있고 또한 우주가 팽창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하는 다큐멘터리를 보았다. 

태초의 폭발 이후 생겨난 별들이 우리에게서 계속 멀어지고 있는 게 아니라면, 우리의 밤 하늘을 별들이 환하게 채울 것이다. 지금 우리의 밤 하늘에서 빛나는 (그러나 언젠가 사라질) 별들이 우리 우주의 나이를 알게 한다. 


저런 얘기였을 것이다. 대강 무슨 말인지 알겠지만 완전히 이해되지는 않는다. 

우주의 기원. 우주의 팽창. 이런 주제에 진지하게 관심 있다면 정말, 정말로 삶과 죽음에 초연해질 거 같다.   

별가루로 만들어진 우리. 우주는 나의 고향 (Gattaca) ㅋㅋㅋㅋㅋㅋㅋ "원자와 공허. 남은 모두는 의견일 뿐." 



초연해지면 좋겠는데, 매일 다큐 하나 보면 그렇게 된다면 매일 보겠는데 

지금은 노후에 (생계도) 대해 생각하는 게 초연해지기보다 더 절박하다. 초연해지고 노후가 없을 것이냐. 아니면, 노후를 가능하게 하고 나서 초연해질 것이냐. 논문 포함하여 써야할 글들을 놓고 이것저것 생각하고 계획해 보는 중이다. 서재 페이퍼 말고 글쓰기 진행하는 서재친구가 있다면 좋을 거 같다. 아 그 분도 지금 -- 를 쓰고 계시지, 생각할 수 있다면 좋을 거 같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에게 그렇게 생각할 사람이 필요하다면, 저를 추천합니다.  


우리 글을 씁시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an22598 2021-06-27 13:2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알라딘마을에 글 쓰실 분 많으실 것 같은데....

몰리 2021-06-27 18:28   좋아요 1 | URL
우리 모두가 특히 회고록 쓰고 있으면 좋겠어요.... 회고록 클럽 그냥 맘대로 결성해 봅니다.

공쟝쟝 2021-06-30 15:5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몰리님 브런치 하세요…?ㅋㅋㅋㅋㅋ 남의 페이퍼에 들이닥쳐 브런치 끼얹기 ㅋㅋㅋㅋ (매거진이라는 좋은 제도가 있어요!!)

몰리 2021-06-30 17:11   좋아요 2 | URL
공장쟝님 글 보고 저 아주 잠깐 옷, 나도?! 했는데
저 광탈할 듯. ㅎㅎㅎㅎㅎㅎㅎ 이 분 (나이가 지긋하므로 ˝얘˝보다는. 아니 나이는 안 밝혀도 되나요) 뭐니? 반응이 너무 바로 보입니다. ;;;;;

공쟝쟝 2021-06-30 21:45   좋아요 1 | URL
누구나 다 된다고 이웃분들이…ㅋㅋ 북플은 읽기가 베이스라 같은 책 읽고 쓰는 건 훨씬 엮어보기 편한데, 브런치 살펴보니 매거진이라는 기능이 있어 같은 테마로 글을 써서 묶을 수가 있더라고요~~ 글을쓰자는 제안이 좋아서 아이디어를 내보았습니다! 저도 부쩍 글이 쓰고 싶어졌거든요 ㅎㅎㅎ

공쟝쟝 2021-06-30 21:46   좋아요 1 | URL
사실 지금도 충분히 써대기는 하지만요 ~~~ㅋㅋㅋ

2021-07-01 09: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blueyonder 2021-06-30 17: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문서 작성을 합니다. ^^;; 글을 쓴다는 것은 뭔가 성찰이 들어가야 할 것 같네요...

몰리 2021-06-30 17:14   좋아요 1 | URL
주로 어렵고 힘든데
그런데 글쓰기만이 줄 수 있는 지고의 ㅎㅎㅎㅎ 즐거움이, 다른 무엇에서도 경험 못할 종류의 무엇이 있기는 한 거 같아요. 그러니, 그걸 못 잊어하며.... 우리는, 갑시다 그리로!
 



이 책. Piezoelectricity라는 말도 생소하고 

월터 기톤 케이디라는 저자 이름도 바슐라르 책에서 본 게 다인데, 전기학 분야의 고전인가 봄. 

케이디는 20세기 미국의 물리학자, 전기학자. 


<응용 합리주의> "결론"에서 바슐라르가 

18세기 프랑스에서 전기학 연구했던 피에르 베톨롱과 20세기 미국의 전기학자 케이디를 비교한다. 

베톨롱의 전기학은 과학이 아직 아니었던 과학. 케이디의 현대 전기학은 확고히 과학. 온전히 과학. 

과학이 아직 아닐 때의 과학들이 얼마나 거침없는 광증들의 장소였나에 대해서는 <과학정신의 형성>에서도 긴 내용 볼 수 있는데, 베톨롱의 전기학에 대해 그와 비슷한 지적들을 이 책에서 함. 요즘 과학사 연구 경향에서는 이렇게 과거 과학이 아직 과학이 아니었다, 합리성을 몰랐다, 지적하는 게 바로 비판의 대상일 것이다. 바슐라르는 일관되게 이런 입장이다. 과학 이전의 과거 과학(전과학)과 현대 과학 사이에 중대한 단절이 있음.  


하튼 둘을 비교하면서 이런 문단을 쓴다. 


"베톨롱의 책과 케이디의 책을 같이 읽던 그 가을 날들을 기억한다. 이 두 저자들을 가르는 시간은 두 세기가 채 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이들의 사유엔 어떤 공통의 척도도 없고 이들을 연결할 어떤 친연성도 수립할 수 없다. 18세기의 박식이 갖는 막대한 종합은 이제 더는 무엇도 합해내지 못한다. 20세기에 수정의 실험으로 결정된 한 세부, 그것에 관한 정밀하고 논증된 종합은 과학 현상의 견고한 핵심을 형성한다. 라 브리(la Brie) 평원을 명상하면서 레옹 고즐랑은 썼다: "라 브리는, 물이라기보다는 바다다." 끝을 모르고 이어지는 베톨롱의 책들을 읽으면서 우리는 비슷하게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과학은, 그러나 과학 사유는 아니다." (.....) 


그 가을의 세 달. 케이디의 책을 읽을 때, 어느 페이지에나 배우고 이해하고 적용해야 할 내용이 있었다. 60대 나이에, 나는 학창 시절을 다시 찾은 즐거움을 느꼈다. 내 나이의 사람들 모두가 그러듯이, 나는 이십대의 유토피아를 다시 살았다. 나는 이렇게 말했다. "현대 과학의 아름다운 책들을 놓고 공부하는 스무살이 되고 싶다. 케이디의 책, 글래스스톤의 책, 로카르의 책, 보웬의 책, 헤르츠베르크의 책." (원주: 꼭 집어 이 저자들을 말하는 건 이들을 실제로 내가 1947-48년 동안 읽고 공부했기 때문이다). 햇빛 비치는 내 테이블 위에 이 책들이 놓여 있다. 9월이 내 뜰의 과일들을 무르익게 한다. 곧 10월이, 그 위대한 달이 온다! 모든 학교들이 새로이 청춘을 찾는 달, 모두가 근면한 사유를 다시 시작하는 달. 한 권의 좋은 책이 있다면, 한 권의 어려운 책이 있다면, 나는 영원한 10월을 살 수 있는 것이다! 새로운 이성엔 그같은 활력이 있는 것이다! (.....)" 


이런 문장들이 바슐라르 책들이 주는 즐거움이 어떤 것인가 알게 하는 문장들인데 

질색하는 사람들도 (특히 요즘엔) 적지 않은 거 같다. 이 다음 이어지는 문장들도 이와 비슷하게 완전히 바슐라르적 삶의 예찬, 공부 예찬 ㅎㅎㅎㅎㅎ 문장들. 오늘 읽으면서 나는 거의 울었. 이런 말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심정으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great courses에서 출시한 강의들 중에 

특히 더 효자상품, 스테디/베스트 셀러들이 있는데 

이 <과학의 즐거움> 강의가 그 중 대표일 거 같다. 


어제 1강 들어보았다. 

과학이란 "way of knowing"에 관한 것이고, 그 "way of knowing"을 위한 과학의 "방법"이 있고, 미국 시민 모두에게 과학적 문해력이 요구되고, 그 문해력과 함께 과학 교육의 개혁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고, 이런 얘기 체계적이고 압축적으로 하고 있었다. 막연하게 듣기 좋은 소리가 아니었. 다시 들어봐야 하고 강의 자료도 보면서 하튼 좀더 "각잡고" 봐야 할 내용이었다. 이것도 스프링 제본이 필요하다. 가슴에 확 와 닿은 두 대목이 있었는데, 하나는 어떤 질문들은 과학적 질문이 아니었다가 과학적 질문이 되기도 한다던 얘기. 그런 질문의 예로 교수는 "우주의 기원"을 들었다. "우주의 기원"이라는 문제는 20세기에 들어서야 (허블 망원경과 함께?) 과학의 질문이 될 수 있었다. 그러기 전에 그것은 공허하고 한가한 질문이었다. 예를 하나 더 추가하면 "의식 (consciousness)"의 문제는 현재 과학적 질문이 아닌데, 아마 곧 과학적 질문이 될지 모른다고 교수는 덧붙였다. 


다른 하나는, 무엇보다 좋은 질문들이 과학을 풍요하게 하고 과학을 앞으로 이끄는데, 바로 그렇기 때문에 과학은 여성 과학자, 소수 집단 과학자들을 적극적으로 과학으로 끌어들여야 한다던 얘기. 새로운 관점의 유입이 부단히 필요하다. 


이런 얘기 듣는 게 정신 건강에 막대히 도움이 된다. 

부정적 감정들에 장악될 거 같을 때 이런 얘기 들으면, 그 감정들을 차단 혹은 정화할 수 있다. 


세상엔 좋은 것들이 있고 특히 인간 정신이 성취한 좋은 것들이 있는데 

그것들이 자기 삶과 직접 연결되게 해야 한다는 것. 남의 일이 아니게 해야 한다는 것. 

그것들을 내가 직접 살아 보아야 한다는 것. 


그걸 남의 일로 만드는 모두에게 맞서야 한다는 것. 

------ 그렇다고 새삼스럽게 생각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새들이 살고 있는 나무. 

이걸 이사한 집에서 매일 눈으로 보는 중이다. 

새가 많은데 그래서 새 소리도 계속 들리고 눈에 잘 보이지는 않지만 까마귀도 있는지 주로 시끄럽지 좋은 소리가 아니다. 까악 까악 (아마 까마귀), 지절지절 꺄르르 (듣기 좋은 지저귐) 중 앞 쪽이 압도함. 그런데 새들과 눈을 마주칠 만한 거리에서 새들이 가지와 가지 사이를 오가는 걸 보는 건 신기하긴 했다. "bird watching"이 진지한 여가 활동이 된다는 게 이해가 되었다. 어두운 녹색 잎들, 빽빽한 나뭇잎들 사이에서 하늘색 주황색 깃털 색이 오묘한 새가 출현하는 순간. 가장 흔한 새여도 그 순간이 특별하다면 보기 쉽지 않은 새를 어쩌다, 마침내, 보게 되는 건 정말 특별하겠다. 자기가 왜 "bird watching"에 빠져들었나 말하면서 리처드 로티가 강조한 게 저런 것이기도 했다. 


근처에 복사, 스캔, 제본하는 집이 있는데 양면 복사가 30원이다. 

연희동에서 이용했던 복사집은 단면 복사에 100원이었다. ㅎㅎㅎㅎㅎ 30원, 100원(200원) 차이에 행복하게 놀랄 수 있다. 이 복사집은 스캔을 하면 처음 5페이지는 페이지당 200원이었나 500원이었나 그렇고 그 장수를 넘어가면 페이지당 100원이었나, 하튼 복사 따로 스캔 따로 요금 체계가 있었다. 둘 다 이해할 수 없고 비쌌음. 집에 프린터(스캐너, 복사기) 둘 공간이 없으니 그 집 자주 이용했는데 어떤 땐 뭐가 이렇게 비싸, 한탄하면서 나오게 되던 집. 그냥 때에 따라 부르는 게 값이었던 걸 수도. 이사하면 복합기를 하나 사려고 했지만 지금 집에도 그걸 둘 공간이 마땅치 않다. 그런데 근처에 저렴하고 잘 해주는 복사집이 있어서 잘 이용하고 있는 중. great courses에서 제대로 들어봐야 하는 강의들 pdf 자료를 이 복사집에서 스프링 제본해서 보고 있다. 앞으로도 제본할 거 아주 많다니까 복사집 아저씨가 매우 좋아하셨다. 계속 보내라고. 다 바로 바로 해주겠다고. 


저렴하게 스프링 제본 잘해주는 집. 

이런 집이 가까이에 있다는 것도, 그게 이렇게 좋은 것이다. 

제본도 제본인데, 스캔해서 pdf 파일로만 갖고 있어도 될 책들. 그냥 버려도 되겠지만 스캔 비용이 저렴하다면 스캔해서 파일로 갖고 있다면 그냥 버리는 것보다는 마음 편해질 책들. 이런 책들을 처리할 수 있게 되어서 안도하게 되기도 한다. 그런 책들 비워내는 것만으로도 책장에 공간이 생길 것이다. 



시간이 없다는 거 실감하게 되고 

인생이 2막에 갑자기 끝날 수도 있다는 것도 (히친스에게 그랬듯이) 실감하게 되고 

.... 그렇다. 이런 때일수록 만족감, 행복감을 (부질없는 종류일지라도) 적어두면서 버티는 것이.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an22598 2021-06-17 12: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프링 제본. 한국의 아름다운 문화 ㅎㅎㅎㅎㅎㅎ 그립네요.

몰리 2021-06-17 18:23   좋아요 0 | URL
아름답고, 게다가 저렴합니다! ㅋㅋㅋㅋㅋ 아 만약 미국에도 해주는 곳이 있다면 (어디 있긴 있을 거 같아요) 적어도 한국의 세 배일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