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 얘기 서재에 자주 썼지만 

10여년 전 처음 알고 나서 아주 좋아했던 책이다. 세 권 갖고 있다. 하드커버 하나. 페이퍼백 하나. 독일어판 하나. 


논문을 무슨 주제로 쓰든 아도르노 책이 (가급적 <부정변증법>) 반드시 참고문헌에 

포함되게 쓰자. (....) 이런 다짐이 어쩌다 저절로 든 적도 있다. 그 다짐 후 쓴 (그냥 뭐 한 세 편 되나) 논문에 전부 

아도르노 책이 포함되었다. 


저 부제, <훼손된 삶에서 나온 성찰> 

이거 아주 너무 좋음. 세상에 꼭 해야 할 일이 있으면 그걸 하는 누군가도 있는 것이다. 


이걸 처음 읽던 때는 대학원생이었는데, 이 책과 그 시절의 삶은 서로 녹아 있다. 

여기서 저기로 바로 갈 수 있다. 


이 책에 쓰인 세 개의 제사 중에, 다 좋지만 그래도 최고는  

"모두가 나쁜 곳에서는 최악을 아는 것이 좋다" (Where everything is bad, it must be good to know the worst). 


논문도 부지런히 써야겠지만 논문 아닌 글도 쓰고 싶은데 

논문 아닌 글에서는 가장 먼저 저걸 제목으로 써야 한다는 작정을 본격적으로 올해 하였는데 ㅎㅎㅎㅎㅎㅎ 이것에 대해 내가 나에게 올해의 작정상을 주려는 참이다. 


<모두가 나쁜 곳에서는 최악을 아는 것이 좋다>. 

제목이 다함. 아니 제목이 다하는데 뭘 써? 


이 제목으로 쓰고 싶어지는 모두가 쓴다면 좋을 거 같다. 


2,30년뒤 누군가의 논문 참고문헌이 이런 식으로 쓰인다면 보기에 아주 좋.  


<모두가 나쁜 곳에서는 최악을 아는 것이 좋다>, 김--

<모두가 나쁜 곳에서는 최악을 아는 것이 좋다>, 나--

<모두가 나쁜 곳에서는 최악을 아는 것이 좋다>, 박--

<모두가 나쁜 곳에서는 최악을 아는 것이 좋다>, 이--

<모두가 나쁜 곳에서는 최악을 아는 것이 좋다>, 정--


존재하는 작품의 제목을 차용하는 건 표절이 아니고 저작권 위반이 아니라고 한다. 저작권 법의 세계도 복잡하고 오묘한 듯. 암튼 누군가의 논문 참고문헌이 위와 같이 작성되는 게 불가능한 일이 아닌 것이었. 아직 저 제목은 책으로는 (책이 아니라면 하여튼 '작품'으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 일단 하나가 존재하기 시작하자 다수가 존재하기까지 얼마 걸리지 않. 그랬으면 좋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슐라르에 따르면 과학은 처음부터 사회적 활동이었다. 

"고대에 홀로인 인간의 과학이라도, 이미 그것은 사회적 활동이었다. 

과학 사유이면서 이기적인 사유는 없다." 


과학이 사회적 활동인 것, 누구도 혼자서는 합리주의자가 될 수 없는 것. 

합리적 사유를 하려면 합리주의자들의 사회로 가야 하고 그 사회 안에서 다른 합리주의자의 감시가 필요한 것. : 바슐라르에 따르면, 과학사가 진보의 역사가 되게 한 중요한 비결이 여기 있다. 이런 얘기를 좀 많이 함축적으로 하시고, 심지어 시적으로 하시고 하튼 그래서 흩어져 있는 말씀들을 해석하고 일관된 논의로 묶어내고 하는 게 쉽지 않지만, 어쨌든 그의 입장은 이런 것. 이런 입장에서 "과학 도시" 이 말을 사랑하고 자주 쓰시기도 하는 것. 


합리주의자가 되려면 다른 합리주의자들이 생산해 둔 관습들을 받아들일 줄 알아야 한다. 

타인의 정신에 자기 정신을 동질화시킬 수 있는 사람만이, 합리주의자로서 타인과 대화할 수 있다. 


"정신의 동질화. 이것이 일어나지 않을 때, 철학자 키에르케고르와 수학자 아벨의 대화는 

광인들의 대화일 것이다." 





아 저거. 웃겼던 말이다. 바슐라르 특유의, 진정 뜬금없이 철학사, 문학사의 거인들 소환하기. 

키에르케고르가 나올 대목이 전혀 아닌데, 나옴. 그리고 그것은 키에르케고르의 의문의 1패가 아니고 필연적 1패. 예상된 1패. 너무 늦게 온 1패. 이성을 의심하고 멀리했던 키에르케고르. 심장의 인간 키에르케고르. 


나는 그의 사회에 대한 ('과학도시' '과학사회'로 한정하긴 하지만) 이 엄청난 낙관. 

모든 인간에게서 그의 지적 능력의 최선을 실현시키는 공간에 대한 이 흔들림없는 믿음. 

이게 참으로........... 존경스럽기도 하고 부럽기도 하고. 믿기지 않기도 하고 그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표지가 이렇게 심심한 이 책은 

pdf 구해서 보니 내용도 심심하진 않은 거 같았다. 내용은 간간함. (응.... 그려......??;;;) 

<철학의 실패>. 사실 얼른 보고 싶은 책. 대강 본 바로는 서양 철학은 이천수백여년 그 역사 전부 실패의 역사, 라는 관점과 함께 하는 거 같았다. 


오 그래요. 그렇군요. 궁금합니다. 실패에 공감할 수 있습니다. 

강한 얘기 해주시기 기대하겠습니다. 




방금 페이퍼 마지막 문장을 써서 갑자기 홀가분해진 상태다. 

며칠 전 1페이지 남았을 때 서재 들와서 서재 글 쓰고 나서, 다시 페이퍼로 돌아갔을 때 

1페이지가 남은 게 아니라 (실질적 작업 양으로는) 10페이지쯤 남은 것임을 알게 되면서 

잠도 못 자고 괴로워 했었다. 1페이지 남았다고 착각했을 때 '오 이건 이 정도면 잘했쓰' 만족하고 있었는데 

실제론 10페이지쯤 남았으며 무엇도 조금도 잘하지 않았음을 알게 될 때의 Horror! Horror! 


아마 비슷한 일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마지막 문장을 썼는데, 다시 돌아가 보니 마지막 문장 100개가 남아 있었다. 같은. 

그러니 착각하는 동안, 곧 끝날 착각하는 동안의 홀가분함을 120% 누려야 한다. 



그렇습니다. 

착각이 끝나고 만족이 없더라도, 최대 이틀 안에 끝을 내긴 낼 거라서 

만족을 못함으로 인한 잠 못 자고 괴로워함에 맞서 미미하게나마 홀가분함이 우세하게 될 이틀 뒤에는 

............ 술마시며 여러 포스팅을 하겠다는 계획도 해보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덕후가 책을 위해 지은 집. 

저 서재도 서재지만 그 말고도 마음에 들어오는 면들이 많은 집이었다. 


광주. 무등산 초입 숲에 싸여 있다. 

(.... 그래 이거죠. 숲! 그런데 국립공원. 그런데 광역시.... 최고의 조합 같..) 


이 동네는 그가 좋아하는 식당이 있던 동네다. 그 식당 단골로 다니다가 매물로 나온 터를 보고 사서 집을 지었다. 

(아니 이것도 너무 좋은 거 아닙니까. 좋아하는 단골 식당이 지척. 식당을 다니다 터를 사게 되다니...) 


집의 모든 공간이 책을 읽기 좋은 공간으로 되어 있다. 

2층에는 긴 복도가 있고 복도의 한쪽 끝에 책상이 있는데 수도자의 독방을 연상시키는 분위기. 

창 밖엔 푸른 숲이 가득하다. 그런데 좀 멀리 있어서, 벌레 걱정은 안해도 될 거 같다. 



하튼 이것저것, 이것도 좋고 저것도 좋은 집이어서 

아아 나도 돈 부지런히 벌고 모아 광주로 가야겠다, 광주 무등산 입구로! 

............. 진심으로 진지하게 잠시 생각했다. 지금까지 유튜브에서 봤던 집들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집. 집은 숲에 싸여 있지만 시내가 바로 근처인 것도 굿굿. 음 이런 거 진짜 좋음. 



............... ;;;; 어쩌라고. ;;;; 아니 이 포스팅을 시작한 이유가, 무엇인가 주제가, 있었던 거 같은데 

아니 없었나. ;;;;; 늠 힘들었던 하루라서 그런가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과학사는 진보의 역사인가, 아닌가. 

이게 질문이 된다는 게 지금 내게는 좀 이해가 안된다. 

명백히 진보한 거 아닙니까. 아니 이게 진보가 아니면 진보가 무엇? 진보는 무엇인가. 어디에 있는가. 

진보란 없는가. 그것은 미망인가. 


과학사의 휘그 해석(진보 사관)에 반대하는 입장 책들을 아직 읽은 게 없어서 

blissfully ignorant 하다보니 이해가 안되는 것일 수도 있겠어서 

그런 책들 구해서 보려는 중이긴 하다. 



그런데 바슐라르. 페이퍼 쓰는 동안 읽은 바슐라르의 과학사 관련 글들은 

그의 글들 중에서는 아주 쉬운 편이고 (과학사 관련 글들은 그냥 보통의 책을 읽듯이 읽을 수 있다. <응용 합리주의> 같은 책은 음.... 머리 싸맴. 머리 줘뜯으며 읽...) 어떤 대목은 천재적으로 재치(프랑스인이시니 "에스프리")있으시고 현웃 나오는 웃긴 대목도 적지 않고 그러했다. 




과학사가 진보의 역사가 아니라고? 

<과학 사유 쇠망사> 같은 제목을 너는 상상할 수 있니? 

Decline of ---- : 이건 과학사 책의 제목으로 결코 쓸 수 없는 제목이다. 

수학사에서 수학이 퇴보한 시기가 있었다고 생각하니? 

수학에서 진리의 획득을 하지 못함은 그냥 곧바로 오류다. 

누가 수학사에서 퇴보 혹은 정체의 시기에 집중하는 책을 쓴다면 그 책은 "나쁜 수학도의 역사"지 "진짜 수학자의 역사"가 아니다. 




대강 저런 말씀들, 대강 저런 풍으로 하신다. 

(*아주 정말 대강 저렇다는. "수학에서 진리의 획득을 하지 못함" 이런 건 그냥 제 말입니다. 

바슐라르는 쉽게 읽을 수 있는 글에서도 심오하고 어떤 공격이든 이겨낼 오묘한 표현으로 말씀하셔서....

잘 기억도 안 남. 책 펴서 찾아봐야 함) 



그런데 그러다 비장하게 말씀하시기도 하는데 


"우리는 오직 과학에서만, 우리가 파괴한 것을 

사랑한다." 과학사의 진보 성격에 대해 한 말씀 하신 후 끝으로 하시는 말씀. 

이런 문장이 내게는 "숨이 멎는" 문장. 생각하다보면 심지어 눈이 뜨겋ㅎㅎㅎㅎ 워. 질 수도 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