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 1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그때 프리드리히가 있었다 청소년문학 보물창고 17
한스 페터 리히터 지음, 배정희 옮김 / 보물창고 / 200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퇴근해서 집에 돌아왔습니다.
그런데 학교 선생님인 아내의 얼굴이 어둡습니다. 이야기를 들어보니 학교에 다니는 스리랑카 아이가 이제는 더이상 학교에 못 온다고 합니다. 이 친구는 우리 딸 아이와도 친하게 지냈기에 저도 잘 알고 있었습니다.

이유를 물어보니 우리나라에서 불법체류자인 아버지가 단속에 걸려 출입국관리사무소에 구금되어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불법체류자이기 때문에 얼마 뒤에는 스리랑카로 가야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딸 아이가 친언니처럼 따르고, 그 아이도 딸아이를 친동생처럼 아끼던 사이라 마음이 많이 아팠습니다. 아직 딸아이는 잘 모르겠지만 이제 볼 수 없다는 것을 조만간 알게 되겠지요.

마음이 무거워진 것을 느꼈을 때 국민학교 때 읽었던 「그때 프리드리히가 있었다」가 생각났습니다.

당시에는 ABE전집에 수록되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어머니는 마녀가 아니에요」와 함께 가장 슬펐던 작품이었습니다.

같은 독일인이었고 친구였지만 나치 독일 하에서 `유대인-비유대인`으로 나뉘게된 비극을 다룬 작품이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아마도 같은 학교를 다니며 친하게 지내던 딸아이와 언니가 원치 않게 떨어져야하는 상황이 벌써 30년 전의 이 책을 기억에서 소환시킨 것 같습니다.

1930년대의 국가사회주의 독일 제3제국과 2010년대 우리나라 현 상황이 같지 않겠지요. 불법체류 역시 법을 어긴 것이니 이에 대해 말하고자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국적과 관계없이 웃고 놀던 아이들의 얼굴이 어두워질 것만을 생각하면 작품과 현실 둘 다 비극이라 생각됩니다.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5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억의집 2016-10-05 21:1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참 그렇다고 불법체류를 옹호할 수고 없고... 고국에 가서 잘 살았으면 좋겠네요.그리고 오랜만에 보는 ABE 전집 !! 입니다.

겨울호랑이 2016-10-05 21:14   좋아요 1 | URL
네. 그 친구 밝으니 잘 지낼것이라 믿어봅니다. 저도 ABE전집은 어렸을 적 브리태니커 백과사전과 더불어 2대 책장 인테리어 소품으로 기억합니다..^^:

나이니 2016-10-05 22:3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모르는 아이지만 스리랑카에서도 밝고 건강하게 잘 자라길 기원해봅니다.

겨울호랑이 2016-10-05 22:39   좋아요 1 | URL
나이니님 감사합니다
...세상 어린이들 모두가 걱정없이 자라나야할텐데 쉽지 않네요.

커피소년 2016-10-06 12:56   좋아요 1 | URL
“세상 어린이들 모두가 걱정없이 자라나야할텐데"

겨울호랑이님의 따뜻한 마음을 느낄 수 있는 댓글..

감사드립니다..^^

시이소오 2016-10-05 22:4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안타까운 일이네요. 이사오면서 ABE 전집도 눈물을 머금고 팔았네요. ^^;

겨울호랑이 2016-10-05 22:44   좋아요 1 | URL
시이소오님께서는 최근까지 ABE전집을 가지고 계셨나봐요. 다양한 종류의좋은 책이 많았던 추억의 전집이었습니다^^:

꿈꾸는섬 2016-10-06 06:0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안타깝네요. 불법체류를 옹호하진 않지만 사연이 있겠죠.ㅜㅜ

겨울호랑이 2016-10-06 06:21   좋아요 1 | URL
네.. 특히 아무것도 모른 채 자신이 살아온 환경을 떠나야하는 아이를 생각하면 더욱 그렇네요.

yureka01 2016-10-06 07:3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스리랑카면 꽤 먼 곳인데 어떻게 여기 까지 온 사연도 많겟네요...

겨울호랑이 2016-10-06 08:05   좋아요 1 | URL
네 제가 사는 곳 주변에 동남아 근로자들이 많습니다. 각자 자신만의 꿈을 가지고 이곳으로 오겠지요..

커피소년 2016-10-06 12:57   좋아요 1 | URL
그러게 말입니다.. 멀리까지 올 수 밖에 없는 사연...

커피소년 2016-10-06 12:5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고.. 이 부분..

“ 딸 아이가 친언니처럼 따르고, 그 아이도 딸아이를 친동생처럼 아끼던 사이라 마음이 많이 아팠습니다. 아직 딸아이는 잘 모르겠지만 이제 볼 수 없다는 것을 조만간 알게 되겠지요。"


겨울호랑이 2016-10-06 13:25   좋아요 1 | URL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네. 나중에 딸아이가 ˝언니 왜 안와?˝라고 물었을 때 뭐라 대답해야할지 난감하네요. 이러한 헤어짐도 인생의 일부려니 하지만, 조금 늦게 경험해도 좋을 텐데 하는 아쉬움도 드네요...

커피소년 2016-10-06 17:43   좋아요 1 | URL


˝언니 왜 안와?˝

무섭고도 슬픈 말이 될 것 같네요...



“조금 늦게 경험해도 좋을 텐데 하는 아쉬움도 드네요... ”

공감 합니다...

세상을 알면 알수록.. 좋은 것 보다 나쁜 것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될텐데..

동심이라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지... 알게 되니..

조금 늦게... 아니 아주 늦어도 좋다고 생각됩니다...

그렇다고 .. 영원히 몰라서는 안 될 일이지만요..

겨울호랑이 2016-10-06 18:16   좋아요 1 | URL
그렇지요.. 김영성님 깊이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스 비극의 이해
천병희 지음 / 문예출판사 / 200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리스 비극의 이해>는 그리스 고전의 번역학자 천병희 교수의 그리스 비극(悲劇)에 대한 해설서다. 책의 목적과 주요 내용은 작가의 머리말을 따라가 보자.

이 책에서는 그리스 비극의 기원에 관한 설명에 이어 3대 비극 작가들의 생애에 관한 자료들과 현존하는 비극 31편 및 사튀로스 극 1편에 대한 해설이 제공될 것이다. - 천병희-

특히, 3대 그리스 비극작가인 아이스퀼로스(Aischylos), 소포클레스(Sophokles), 에우리피데스(Euripides)의 생애와 작품 소개가 책의 주요 내용이다. 고등학교 세계사 시간에 짧게 이름만 들어봤던 이들이지만, 그들의 작품은 그리스 신화와 <일리아스>, <오뒷세이아>의 재해석이 대부분이다. <그리스 비극의 이해>를 통해 그리스 비극의 주요 내용이 낯설지 않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책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그리스 비극에 세 작가가 미친 형식적인 영향

배우의 수를 한 명에서 두 명으로 늘린 것은 아이스퀼로스가 처음이며, 소포클레스는 배우의 수를 두 명에서 세 명으로 늘리고 무대 배경을 도입했다.- 아리스토텔레스, 시학(詩學)-(p11)


아이스퀼로스는 이런 의미에서 비극의 창시자이고, 소포클레스는 비극의 완성자라고 불린다.

우리의 판소리가 소리꾼 1명에 의해 진행되는데 반해, 그리스 비극에서는 주요 화자인 배우가 2~3명으로 아이스퀼로스와 소포클레스를 거치면서 늘어가고 있는 것은 대조적이다. 배우의 수가 늘어난 이유에 대해 저자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아이스퀼로스가 배우의 수를 1명에서 2명으로 늘려 대화가 드라마의 중심이 되게 하였고, 소포클레스가 다시 배우의 수를 2명에서 3명으로 늘린 것도, 인간이 주역인 드라마에서는 좀더 폭넓은 인간 관계를 통하여 다양한 시각에서 주인공의 성격과 의도와 행위를 조명할 필요를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p114)

서양에서는 이처럼 배우의 수(數)를 늘려가면서, 보다 복잡한 인간 내면을 표현하려고 했던 반면, 우리나라의 전통 판소리에서는 전지(全知)적 시점에서 사건을 조명하려고 한  차이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형식의 우열을 말하기는 어렵지만, 인간(人間) 내면의 감정에 대해서는 그리스에서 보다 많은 관심이 있었고,  그러한 관심은 사실적인 그리스 미술(美術)에도 반영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한편, 세 작가들이 사용한 주요 기법과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아이스퀼로스의 비극은 동일한 행위가 한 순간에 두 얼굴을 가진다는 특징을 가지며, 이러한 특징은 <아가멤논>에서 잘 나타난다.(p49)

소포클레스 비극은 '비극의 확대(parekstasis tragica)'라는 기법을 통해 인간의 생각과 현실 사이에 큰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p92)는 면에서 다른 작가들과 차별점이 있으며, <아이아스>에 이러한 점이 잘 나타난다.

에우리피데스의 비극에서는 '상황 희극(狀況 喜劇)'적인 면을 통해 희극에 영향을 주었다.(p200)

2. 세 작가의 내용적 특성

 

살라미스 해전에서 아이스퀼로스는 전사로서 몸소 이 전투에 참가했고, 소포클레스는 소년 합창단의 선창자로서 이 전투의 승리를 감사드리는 찬신가를 주도했으며, 에우리피데스는 전투가 있던 바로 그 날 태어났다....

아이스퀼로스가 평생동안 자신의 드라마에서 신들의 위대함을 찬미하고, 신들의 섭리에 관하여 사색했다면, 아테나이의 욱일승천(旭日昇天)과 서산낙일(西山落日)을 다 겪은 소포클레스는 아이스퀼로스 못지않게 신들의 힘과 위대함을 인식하고 신을 공경하는 경건한 생활을 하지만, 신은 알 수 없는 존재였기에, 소포클레스는 인간 존재의 한계성을 보여준다. 이에 반해, 다른 세대로부터 이 승리를 전해들었을 뿐인 에우리피데스는 소피스트(sophistes)들의 상대주의에도 영향을 받아 모든 정신적 유산에 대해 비판적으로 수용하려는 태도를 취했다.(p80)

공통적으로 세 작가 모두 그리스 신화에서 그 소재를 가져와서 작품을 구성했다. 청중들과 공감할 수 있는 소재를 바탕으로 작품을 만들었지만, 그들의 해석은 저마다 달랐다. 재해석된 작품의 내용은 동일하지만  다른 주제로 씌여져 있기때문에, 마치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랴소몽(羅生門)> , 박찬욱 감독의 <아가씨>같은 매력이 있다는 생각이 든다. 서로 세 작가의 다른 시선을 생각하면서 작품을 해석하는 것도 그리스 비극을 감상하는 다른 매력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마지막으로, 작품 해석을 보니 그리스 비극에는 고대 신화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으면서도 당대의 현실에 대한 비판과 풍자가 담겨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상은 2000년의 시간이 경과하면서 빛이 바랜 채색화처럼 되버렸지만, 그 안에 뼈대를 구성하는 인간에 대한 공통된 고민이 지금의 우리에게도 호소력을 가지는 것 같다. 그리고, 인간에 대한 공통된 고민이 생명력을 가지고, 작품들을 고전의 반열에 올려놓은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예전에 <그리스 비극의 이해>를 읽기 전 <그리스 비극 걸작선>을 먼저 읽었다. 그리스 비극에 대한 사전 이해가 없는 상태에서 접한 비극(悲劇)은 내게 다른 의미에서 비극(비劇)이었다. 그리스 비극에 대한 이해가 되지 않은 상황에서 작품을 접하고는 '다시 읽지 않겠다'고 다짐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섣부른 판단이었다. 문학작품에 있어서는 특히 작품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을 다시 한 번 느끼게 된다. 그러한 의미에서 <그리스 비극의 이해>는 충분히 우리에게 그리스 비극에 대한 안내자의 역할을 수행해 준다.

그리스 비극에 있어 불행한 결말보다는 인간 존재의 근본적인 문제들에 관련된 비극적 상황이 비극의 필수 조건이었다.(p187)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곰생각하는발 2016-08-10 14:1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역시 고전 하면 겨울호랑이 님이십니다..

겨울호랑이 2016-08-10 14:24   좋아요 0 | URL
제겐 과찬이십니다만, 센스하면 곰곰생각하는발님이시지요^^: 감사합니다.
 
일리아스 원전으로 읽는 순수고전세계
호메로스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상에서는 인간의 전쟁, 그리고 하늘에서는 신들의 전쟁이 벌어진다. 그리고, 여신의 아들이자 영웅인 아킬레우스의 분노와 복수가 글의 주된 내용이다.

대강의 줄거리는 알고 있었지만, 직접 읽어보니 `불멸의 신`과 `필멸의 인간`이 많은 면에서 비교, 대조되었다.

불사의 존재인 것을 제외하면 인간과 거의 같은 그리스 신들의 모습 속에서, 인간의 부족함을 긍정하는 그리스인의 세계관이 마음에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리스 비극 걸작선 - <오이디푸스 왕> 외 3대 비극작가 대표선집 원전으로 읽는 순수고전세계
아이스퀼로스 외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이니 좋은 내용이겠지만
그리스 비극에 대한 배경지식과 문화적 감각이 없는 내게는 많이 어려운 책이었다

문학작품에서 `언어`의 역할은 단순히 내용 전달 이상임을 깊이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 1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