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蜀)은 용을 얻었고, 오(吳)는 호랑이를 얻었으며, 위(魏)는 개를 얻었다." 형제간인 제갈량(諸葛亮, 181 ~ 234), 제갈근(諸葛瑾, 174 ~ 241) 그리고 사촌인 제갈탄(諸葛誕, ? ~ 258)이 각각 서로 다른 삼국(三國)에 종사한 것을 두고 말한 사람들의 평이다.


 <자치통감 資治通鑑> 70권에는 유명한 제갈량의 남만(南蠻)정벌과 출사표(出師表)가 나온다. 실력으로는 천하의 8할을 차지한 위나라에서도 출세할 수 있었건만, 유비를 따라 세상으로 나와 결국은 오장원(五丈原)의 별이 된 제갈량. <삼국지연의 三國志演義> 속에서 신출귀몰한 재주를 가졌으면서도, 끝까지 유비(漢 烈祖 昭烈皇帝 劉備, 161 ~ 223)에게 충성을 한 모습이 후세의 귀감이 되었다면, 오늘의 기준에서도 그 모습을 아름답다고 할 수 있을까.


 신은 본래 포의(布衣)로 몸소 남양(南陽, 하남성 南陽市)에서 밭을 갈며 진실로 난세 속에서 생명을 온전히 보존하려는 것이었기에, 제후들에게 저에 대한 소식이 전달되기를 구하지 아니하였습니다. 먼저 돌아가신 황제께서는 신을 낮고 천하다고 생각하지 아니하시고 진실로 스스로를 굽히시고 저의 초막으로 세 번이나 돌아보아 주시어 신에게 당세에 해야 할 일을 자문하였습니다. 이로 말미암아 감격하여 드디어 먼저 돌아가신 황제에게 달려가겠다고 허락하였던 것입니다. 뒤에 상황이 기울어지고 넘어지는 때를 당하고, 패배한 군사가 되었을 때에 책임을 맡았으며, 위험하고 어려운 가운데 명령을 받들어온 지 21년이나 되었습니다. 먼저 돌아가신 황제께서는 신이 삼가면서도 신중하다는 것을 잘 아셔서 붕어하실 때 신에게 큰일을 맡기셨습니다._사마광, <자치통감 70>. p32/60


 오늘날의 기준에서는 대기업에서 촉망받는 신입사원으로 입사해 탄탄대로를 갈 인재를 중소기업 사장이 데려다가 열정페이를 지급하면서 죽도록 혹사시킨 것으로 비춰질 수 있을 것인데, 그런 상황에서도 제갈량의 모습을 아름답게 볼 수 있다면, 그것은 '한결같음'이 아닐런지... 정사 <삼국지 三國志>에 실린 실제 역사가 대의(大義)의 역사는 아니었을지라도, 역사에 남겨진 어쩌면 바보같은 우직함이 우리가 <출사표>를 읽었을 때 눈물을 흘리게 만드는 것은 아닐까...


 이제 밝으신 공께서 정치를 하시면서 마침내 몸소 스스로 부서(簿書)를 대조하시며 종일토록 땀을 흘리게 되시니 역시 어찌 수고롭지 않겠습니까?"사마광, <자치통감 70>. p15/60


 제갈량은 세상을 다스리는 이치를 터득한 뛰어난 인재로서 관중, 소하와 비교할 만하다. 그러나 해마다 군대를 움직이고도 성공하지 못한 것은 아마 임기응변의 지략이 그의 장점이 아니었기 때문인 듯하다._진수, <삼국지 : 촉서> <제갈량전> ,p13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은 본래 포의(布衣)로 몸소 남양(南陽, 하남성 南陽市)에서 밭을 갈며 진실로 난세 속에서 생명을 온전히 보존하려는 것이었기에, 제후들에게 저에 대한 소식이 전달되기를 구하지 아니하였습니다. 먼저 돌아가신 황제께서는 신을 낮고 천하다고 생각하지 아니하시고 진실로 스스로를 굽히시고 저의 초막으로 세 번이나 돌아보아 주시어 신에게 당세에 해야 할 일을 자문하였습니다. 이로 말미암아 감격하여 드디어 먼저 돌아가신 황제에게 달려가겠다고 허락하였던 것입니다. 뒤에 상황이 기울어지고 넘어지는 때를 당하고, 패배한 군사가 되었을 때에 책임을 맡았으며, 위험하고 어려운 가운데 명령을 받들어온 지 21년이나 되었습니다. 먼저 돌아가신 황제께서는 신이 삼가면서도 신중하다는 것을 잘 아셔서 붕어하실 때 신에게 큰일을 맡기셨습니다.(32/60) - P32

한의 주군이 태자에게 조칙을 내려서 말하였다. "사람이 50세가 되어 죽는다 하여도 요절이라고 부르지 않는데, 나의 나이 이미 60여 세이니 다른 무슨 한스러움이 있겠느냐? 그러나 너의 형제들이 마음 쓰일 뿐이다. 부지런히 하고 또 부지런히 하여라. 악한 일은 작아도 하지 말아야 하며, 선한 일은 작아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오직 현명함과 덕스러움만이 사람들을 복종시킬 수 있다. 네 아비의 덕이 얕으니 본받기에는 많이 모자란다. 너는 승상과 더불어 일을 해나가되 그를 아버지처럼 섬겨라."(14/60) - P14

이제 밝으신 공께서 정치를 하시면서 마침내 몸소 스스로 부서(簿書)를 대조하시며 종일토록 땀을 흘리게 되시니 역시 어찌 수고롭지 않겠습니까?"(15/60) - P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속담에 이르기를 ‘가난한 사람은 검소한 생활을 배우지 않고, 비천한 사람은 공손함을 배우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사람의 본성에 차별이 있어서가 아니라 형세가 그렇게 만들었을 뿐이다.(16/107) - P16

황제가 일찍이 꿩 사냥을 나갔다가 여러 신하들을 돌아보고 말하였다. "꿩 사냥이 즐겁구려!"
신비가 대답하였다. "폐하에게는 아주 즐겁겠습니다마는 여러 아랫사람들에게는 아주 고통스러운 일입니다."(13/107) - P13

관우는 굳세지만 자만하였으며, 장비는 잔학하고 은혜를 베푸는 일이 없어서, 단점으로 실패하게 되었으니 이치가 늘 그러한 것이다.(13/107) - P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나라의 무제(武帝)가 포악하고 사나움을 가지고도 천하의 큰 공을 세운 뒤에 황제가 없다고 여긴 마음을 가진 지가 오래되었으나 마침내 죽을 때까지 감히 한나라를 없애고 스스로 서지 아니하였으니, 어찌 그 뜻이 하고자 하지 않아서이었겠습니까? 오히려 명분과 의리를 두려워하여 스스로를 억누른 것입니다. 여기에서부터 그것을 본다면 교화를 어찌 태만히 할 수 있으며 풍속을 어찌 소홀히 할 수 있겠습니까?(41/69) - P41

교화란 것은 국가가 급히 해야 할 일인데도 세속의 관리가 그것을 태만히 하고 풍속이란 것은 천하의 큰일인데도 용렬한 임금이 그것을 소홀히 합니다. 무릇 오직 밝고 지혜로운 군자만이 깊이 알고 멀리 생각한 연후에 그 일을 하면 이로움이 크고 성공을 거두면 멀리까지 간다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39/69) - P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로 이전의 법령대로 하여도 진실로 그들의 마음으로부터의 소망을 이미 끊어버립니다. 그런데 함부로 그것을 더욱 무겁게 한다면, 저 고유는 아마도 지금부터 군대에 있는 병사 가운데 한 사람이 도망치는 것을 보면 죽음이 장차 자기에게도 미칠까 역시 서로 따라서 달아나게 되어 다시는 죽일 수조차 없게 될까 걱정입니다. 이러한 무거운 형벌은 도망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더욱 늘어나게 합니다.(23/59) - P23

"지존하신 인주(人主)께서는 항상 당연히 신중함을 지녀야 합니다. 오늘의 일은 거의 화를 입어 패배하기에 이를 번하였습니다. 많은 아래 사람들이 떨면서 두려워하기를 마치 하늘과 땅이 없어진 것으로 생각하였으니, 바라건대 이것을 죽을 때까지 훈계로 삼도록 하십시오."(30/59) - P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