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리 부는 딸


 어버이 되는 사람은 제 아이가 무언가 더 배울 수 있기를 바라면서 학교에 넣는다. 그러나 오늘날 이 나라 학교는 무언가 더 배울 수 없도록 짜맞추어지고 만다. 왜냐하면, 오늘날 한국땅 학교는 초등학교부터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온통 ‘대학입시 싸움터’로 바뀌었으니까. 이런 학교에 아이를 보낸대서 아이가 무언가 더 배울 수 있지 않다.

 어버이 되는 사람은 예나 이제나 슬기롭지 않으면 안 된다. 어버이 되는 사람부터 슬기로와야 아이가 슬기로움을 물려받는다. 어버이 되는 사람이 일에 바쁘면 아이는 사랑을 받지 못한다. 아이 또한 제 어버이와 마찬가지로 일에 바쁜 어른으로 자라겠지.

 어버이 되는 사람은 제 아이뿐 아니라 제 동무나 제 어버이, 곧 아이한테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되는 사람한테까지 사랑을 나누어야 한다. 어버이가 아이 할머니나 할아버지한테 옳게 하지 못한다면, 아이가 커서 제 아이(나한테는 손주)를 낳는다면, 나는 내 아이나 내 아이가 낳은 아이한테도 사랑받을 수 없다.

 어버이 되는 사람은 아이하고 하루 내내 복닥이다 보면 할 일조차 못한다 여길 만하고 몸이 따르지 못하니까 힘에 부치곤 한다. 어버이 되는 사람이기 앞서 ‘어엿하게 홀로선 한 사람’이라는 생각으로 ‘아이키우기는 훌훌 털듯 잊으며 내 꿈을 펼친다고 외치’며 아이를 어린이집이나 학원이나 학교나 시설에 넣곤 한다. 이렇게 해야 ‘어버이 아닌 한 사람’으로서 제 겨를을 즐기거나 누릴 수 있을 테니까.

 어버이 되는 사람으로 살아가면서 아이랑 스물네 시간을 붙어 지내는 나날이 얼마나 고된지 모른다. 참으로 고되다. 그러나 이렇게 고된 나날이기 때문에 아이한테 아무것이나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함부로 할 수 없는데다가 아무 말이나 할 수 없으며 아무 짓이나 할 수 없다. 아이는 내 고운 사랑이면서 내 착한 지킴이가 되고 내 살가운 돌봄이이자 길동무가 된다.

 돈이 있다면 돈으로 집일을 누군가한테 맡길 수 있다. 돈이 있으면서도 집일과 집살림을 거뜬히 치를 수 있다. 돈이 없으면 집일을 누군가한테 맡길 수 없을 뿐더러 집살림을 함께 알뜰히 치르도록 더욱 마음을 쏟아야 한다.

 아침부터 내내 아이하고 복닥이듯 지내다가 저녁밥을 차려 먹이고 나서 아이를 씻긴다. 아이를 씻기고 나서 아버지 등허리 좀 펴자며 살짝 쉬자니, 아이는 아버지 뒤에서 피리를 불며 논다. 고맙구나. 네가 이렇게 살짝이나마 혼자서 놀아 주니, 이동안 아버지는 자리에 드러누워 등허리를 펴든 셈틀을 켜고 글조각을 조금 끄적이든 할 수 있구나.

 4월 13일을 맞이한다. 오늘은 옆지기 태어난 날이다. 생일 잔치밥으로 무엇을 차리면 좋을까를 곰곰이 생각한다. (4344.4.13.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이 씻기기


 집에서 물을 쓸 수 있는 지 나흘 만에 드디어 아이를 씻긴다. 나흘 동안 꾸준히 물을 쏟아내고 쉬고를 되풀이한 끝에 씻긴다. 한창 흙물이나 쇳물을 빼더라도 한두 시간쯤 지난 뒤 다시 틀면 또 흙물과 쇳물이 나온다. 겨우내 물꼭지를 쓰지 못했다고 이렇게 흙물과 쇳물이 이어진다.

 아버지는 저녁을 차리면서 물꼭지를 활짝 연다. 밥을 하고 국을 끓인다. 날푸성귀를 물에 씻어서 먹기 좋은 크기로 썬다. 밥상을 닦고 밥그릇과 수저를 옮긴다. 반찬통을 밥상에 올린다. 밥을 푸고 국을 뜬다. 이제 아이는 자리에 앉고, 둘째를 밴 어머니도 자리에 앉는다.

 저녁을 먹을 무렵에는 물을 잠근다. 저녁을 다 먹고는 보일러를 돌린다. 보일러를 돌린 다음 설거지를 한다. 설거지를 마치고는 물이 따뜻해질 때까지 빨래 넉 점을 한다. 넉 점을 마쳤는데 물이 덜 따뜻하기에 기저귀 빨래 두 점을 더 한다. 이제 꽤 따뜻하다고 느껴 아이를 부른다. 아이 옷을 벗긴다. 아이를 씻는방에 들어가라 하고 먼저 몸에 물을 끼얹는다. 아이가 씻는 물에는 목초물을 뿌렸다.

 아이 몸을 헹구고 나서 아이를 아버지 무릎에 눕힌다. 아이는 머리를 숙여 머리 감는 일을 그닥 안 좋아한다. 이제 아이는 꽤 무게가 나가지만 이렇게 무릎에 눕히고 머리를 감긴다. 아이는 슬며시 눈을 감는다. 아이 이마에 뽀뽀를 쪽 하면서 머리카락을 물로 적신다. 다른 바가지 하나는 아이 머리 밑에 둔다. 아이 머리를 적신 물이 다른 바가지에 차면, 이 물을 아이 몸에 끼얹는다. 비누로 머리를 문지른 다음 손가락을 조물딱조물딱 하면서 머리를 비비고, 바가지로 물을 조금씩 떠서 아이 머리에 솔솔 돌아가며 붓는다.

 머리를 감겼으니 이제 씻는 통에 아이보고 들어가라 한다. 조그마한 물주전가를 아이한테 건넨다. 아이는 물주전자로 논다. 기저귀 빨래를 마저 헹군다. 그러고는 아이 목부터 때를 벗긴다. 때수건을 쓸까 하다가 그냥 아버지 손으로 비비기로 한다. 목, 가슴, 배를 비빈 다음 왼팔을 먼저 비비고 오른팔을 비빈다. 오른다리를 비비고 왼다리를 비빈다. 마지막으로 어깨와 등을 비빈다.

 아이는 모처럼 물놀이를 하는데 더 놀고파 한다. 아이로서는 좀 모자라다. 그러나 아이 어머니도 씻어야 하기 때문에 아이보고 이제 그만 나가자고 열 번 남짓 말한다. 아이는 드디어 일어나 준다. 미안하면서 고맙다. 아이 땟물이 흐르는 물을 먼저 아버지한테 조금 끼얹고, 아이 몸에도 끼얹는다. 새로 받은 물로 아이 몸을 다시 헹군다. 이제 수건으로 아이 머리와 몸 물기를 닦는다.

 아이 몸을 수건으로 닦을 때마다 ‘수건’이라는 낱말이 참 얄궂다고 생각한다. ‘수건’이 뭐람. 어쩜 이런 엉터리 낱말을 짓고도 사람들은 아무렇지 않게 살아갈 수 있지?

 이제 아이 웃도리부터 입힌다. 바지를 입히려는데 아이는 아랫도리는 안 입은 채로 이 방 저 방 뛰며 웃는다. 아이고. 아이 바지를 입힌다. 아이 머리가 얼추 말랐기에 빗질을 한다. 아이는 저 스스로 빗질을 더 한다. 조금 뒤, 아이는 신나는지 제 놀이바구니에 올라서서 피리를 분다. 피리를 부는 틈틈이 피리질을 멈추고는 고개를 까딱하며 인사를 한다. 아버지는 손전화로 아이 놀이를 동영상으로 담는데, 손전화가 꽉 찼다며 더 못 담는다. 어, 손전화 꽉 차면 어떻게 하지? 어떻게 셈틀로 옮기는지 모르는데. 아이는 아버지 무릎에 엉덩이를 들이밀고 앉아서 논다. (4344.4.12.불.ㅎㄲㅅㄱ)
 

 

(물 얻어다 쓰던 이오덕학교에서 씻던 모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이 재우기


 새근새근 잠든 아이와 냠냠짭짭 밥먹는 아이를 바라볼 때에 참으로 아름답다고 느낀다. 아침에 깨어나는 아이와 신나게 뛰어노는 아이를 바라볼 때에 똑같이 어여쁘다고 느낀다. 아이는 제 어버이를 닮아 잠을 쫓으며 조금이라도 더 놀고파 하지 않을까 하고 느낀다. 제 어버이 되는 사람부터 온몸이 무너질 듯 고단한 나날이더라도 빈책을 펼치건 셈틀을 켜건 글조각 하나를 건사하려고 애쓰니까.

 하룻밤만 자고 돌아오는 인천마실은 몹시 힘들다. 시골집에서 새벽에 길을 나서며 서울로 들어선 다음에 전철을 여러 차례 갈아타고 인천으로 간다. 하루만에 이 길을 거꾸로 되짚으며 시골집으로 돌아온다. 시골 버스역에서 시외버스를 마지막으로 내린 다음 택시를 타기로 한다. 아이도 힘들고 옆지기도 힘들다. 애 아버지 혼자 마실을 하고 돌아올 때에는 택시를 타는 일이 없다. 애 아버지는 몸이 아무리 고단해도 택시삯 1만 원을 아끼고 싶어서 시골버스를 삼십 분이고 한 시간이고 기다리다가 꾸역꾸역 논둑길을 걸어서 돌아온다.

 아이는 옆지기와 마찬가지로 몸이 참 고단하다. 그러나 쉽사리 잠들려 하지 않는다. 잠자리에 눕힌다. 잠자리에 눕히기까지 참 여러 차례 같은 말을 되풀이해야 한다. 아이는 같은 말을 수없이 들은 끝에 겨우 눕는다. 그런데 오늘도 어김없이 기저귀를 차고 이불을 여미고 나서 다시금 “쉬 마려.” 하고 말한다. 쉬를 누고 누웠는데 이런다. 기저귀를 풀고 변기에 앉히면 쉬를 안 눈다. 나올 쉬가 없으니까. 쉬 마려운 느낌이 나니까 그럴까. 조금이라도 나오지 않을까 생각하며 그럴까. 일부러 그럴까.

 잠들기 앞서 이것저것 다 챙기더라도 꼭 되풀이하도록 일을 곱으로 늘린다. 아버지는 머리가 터질 듯하다. 힘든데다가 지쳐서 눈이 무겁게 감기는데, 아이하고 자리에 함께 누워도 결리는 허리를 다시 펴며 일어서야 한다.

 왜 곱게 잠들지 않을까. 왜 곱게 잠자려 하지 않을까. 이러면 제 어버이가 뻔히 힘든 줄을 모를까. 이러는 동안 제 어버이가 얼마나 힘들어 하는가를 못 느낄까.

 바깥일을 하느라 바쁜 오늘날 여느 어버이들은 이런 ‘아이 재우기’를 잘 모르거나 거의 못 느끼겠지. 바깥일을 하며 돈을 벌어 집안을 꾸린다는 거의 모든 웬만한 아버지 되는 이들은 이 같은 ‘아이 재우기’를 몸소 겪을 일이 드물 테지. 집에서 집일과 집살림을 하는 어머니가 아이를 토닥토닥 얼른 재우지 못할 때에, 그러니까 아이가 더 놀려 하거나 칭얼거릴 때에 얼마나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아버지일까. 나는 내가 집일과 집살림에다가 아이키우기를 도맡지 않는 나날을 보내는 여느 남자였다면, ‘아이 재우기’를 얼마나 헤아리거나 느끼거나 살피거나 돌아볼 수 있었을까. 아니, 나부터 아이를 낳아 키우는 삶을 조금이나마 제대로 깊이 두루 생각한 적이 있었는가.

 아이는 참말 고단하고 졸리면서도 잠자리에서 여러 차례 뒤척인다. 아까 진작에 재웠으면 이렇게 여러모로 칭얼거리지 않았을 수 있다. 생각해 보니, 아이가 꽤 졸립다 할 적에 불을 끄고 다 함께 잠자리에 들었어야 했구나 싶다. 아이는 여러모로 같은 일을 되풀이 시키면서 ‘제 어버이가 겨우 잠이 들려 할’ 때에 “엄마, 손!”이나 “아빠, 손!”을 외친다. 손을 잡아 주며 잠이 다시 달아났다가 가까스로 다시 잠이 들려 할 때에, 몸을 이래저래 뒤척이며 잠이 제대로 못 들도록 한다. 누운 채 손을 잡고 자기 힘들어 손을 놓고 몸을 좀 돌리거나 허리를 만지려 하면 또 “엄마, 손!”이나 “아빠, 손!”을 외친다. 이런 실랑이를 삼십 분쯤은 한다.

 그래그래, 너는 예쁜 아기이고 착한 아기이지. 너는 고마운 아기이며 사랑스러운 아기이지. 아무쪼록 밤새 고운 꿈결을 누비면서 아침에 개운하게 일어나렴. (4344.4.9.흙.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머니 손뜨개


 옆지기는 나한테 옆지기이지만 아이한테는 어머니이다. 아이 어머니는 둘째를 배어 힘든 몸을 가누는 동안 뜨개질을 하면서 마음과 몸을 달랜다. 다른 여느 사람이 뜨개질을 한다면 어떠할까 궁금한데, 아이 어머니는 아이 옷 하나를 뜨는 데에 퍽 오랜 나날을 들인다. 한 땀씩 천천히 뜨니까.

 내 어머니가 형과 나한테 옷을 떠 주던 어린 날을 돌이킨다. 어머니로서는 딱히 옷을 사 주기 힘들었으니까 언제나 형 옷을 내가 물려입는데, 형 몸집이 동생하고 견주어 너무 커지니까 나중에는 형 옷을 나한테 물려줄 수 없었다. 형 옷은 내가 나중에 키가 커지더라도 입기 힘들 만큼 큰 옷이어야 했고, 형 몸크기에 맞는 옷을 찾기도 만만하지 않았다. 나는 우리 어머니가 나한테 옷을 몇 벌쯤 떠 주었는지 떠올리지 못한다. 어머니한테 여쭈어도 따로 말씀해 주시지 않는다. 국민학교 사오 학년 때까지는 아무 생각 없이 잘 입었으나, 육 학년이 될 때부터는 어머니가 떠 준 옷을 부끄럽다고 여겼다고 떠올린다. 한 반에 어느 누구도 뜨개옷을 입지 않았을 뿐더러, 이웃 반에서도 마찬가지이고, 아랫학년에서도 매한가지였기 때문이다. 어머니는 퍽 오랜 나날 손뜨개로 내 몸이 꼭 맞춤한(이라기보다 조금 널널한) 옷을 지어 입혀 주었으나, 손품이 깃든 이 옷이 얼마나 사랑스러우면서 좋은가를 이 철없는 때에 말 그대로 철없이 못 느꼈다. 어쩌면, 그때에 철이 없었다기보다 오늘날까지 철없는 사람이 아닌가 싶고, 제대로 삶과 사람과 사랑을 볼 줄 몰랐으니 예나 이제나 엇비슷하지 싶은데, 아무튼, 어머니한테 뜨개옷 안 입겠다고 말했다가는 구두주걱으로 엉덩이에 불이 나도록 얻어맞으니까 말은 못하지만 뜨개옷을 입고 학교에 가야 하는 날은 잔뜩 우거지얼굴이었다. 어머니도 아셨겠지. 나는 오늘날에도 내 속내가 얼굴에 고스란히 드러나서 내가 어떤 마음인지를 다 안다고 하니까.

 그런데 이렇게 뜨개옷을 입으며 지내던 육 학년 어느 날, 우리 반에서 꽤 예쁘다 하고 집안도 가장 부자이면서 부반장이고 여러 아이들한테 사랑받던 계집아이가 저보고 내 뜨개옷이 예쁘고 부럽다고 이야기한다. ‘요년이 날 놀리나?’ 이 아이는 나보다 키가 훨씬 크고 발도 훨씬 크며 힘도 훨씬 센 터라, 나나 다른 작은 아이들은 이 아이한테 아이스께끼를 꽤 시달리는데, ‘갑자기 뭔 소리?’

 그렇지만 이 한 마디를 듣고 난 다음에는 어머니 뜨개옷을 부끄러이 여기지 않았다. 더구나, 담임 교사가 허구헌날 우리들을 몽둥이로 두들겨팰 때에, 나는 내 몸보다 헐렁하도록 크게 지은 뜨개옷을 요모조모 접어서 엉덩이에 꽤 두툼하게 걸쳐지도록 했다. 담임 교사는 엉덩이를 몽둥이로 철썩철썩 두들겨패는데, 나는 뜨개옷으로 두툼하게 걸쳐진 자리에 맞으며 하나도 안 아프지만 아픈 척하며 아슬아슬 지나가고, 새삼 이 뜨개옷이 얼마나 고마운가 하고 느꼈다.

 형이나 내가 몸이 자라면, 어머니는 우리 옷을 이웃에 주거나 버려야 했다. 집에 살림이 늘어나니까 다 건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어머니가 손수 뜬 뜨개옷은 받으려는 데가 없다며 버리려 하셨다. 하기는, 나부터 뜨개옷을 그닥 좋아하지 않았는데, 다른 집에서도 다르지 않았겠지. 그러나, 이무렵 뜨개옷이 버려지는 일이 내키지 않았다. 어머니는 ‘이제 입을 수 없는 옷을 집에 두는 일’을 못마땅해 하셨지만 꼭 한 벌만은 남겼다. 어머니한테는, “나중에 제가 커서 아이를 낳으면 우리 어머니가 손수 떠 준 이 옷을 보여주고 싶다.”고 말하면서 한 벌만큼은 남겼다. 어머니 뜨개옷은 워낙 오래 입어 꽤 늘어나고 처져서 볼썽사납다 할 수 있지만, 이 한 벌만은 남아 옷상자에 고이 깃들었다.

 첫째 아이가 입은 뜨개옷을 둘째 아이가 물려입을 수 있겠지. 첫째 아이에 이어 둘째 아이도 제 어머니 뜨개옷을 좋아해 줄 수 있을까. 첫째 아이는 제 손뜨개 옷을 동무나 또래나 동생이나 언니 오빠 앞에서 어떻게 여기려나. 손뜨개로 지은 옷을 입으며 다니는 사람이 거의 없는 오늘날, 우리 아이는 어떤 모습 어떤 마음으로 살아갈 수 있을까. 우리 아이도 “어머, 네 옷이 참 예쁘네. 부럽구나. 좋아.” 하고 말해 줄 좋은 동무를 만날 수 있을까. (4344.4.4.달.ㅎㄲㅅㄱ)
 

 

1987년. 국민학교 6학년. 

 

첫째 아이 세 번째 뜨개옷 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이낳기


 둘째가 태어나자면 두 달쯤 남았다. 두 달 동안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두 달을 곰곰이 생각하며 집안을 이제부터라도 제대로 갈무리해야 한다고 느끼지만, 하루하루 닥치는 일을 맞아들이는 데에도 넋이 나가고야 만다. 이래서는 안 될 텐데, 애 어머니가 더 힘들어 할 모습만 보여주니 나 스스로 몹시 부끄럽다.

 글쓰기로 살아가는 내 나날을 곱씹는다. 그래, 나는 어쩔 수 없이 글을 쓰는 사람이라 한다면, 난 무슨 글을 써야 할까. 내가 나 스스로하고 내 옆지기하고 내 아이 앞에서 떳떳하며 올바른 삶을 일구는 모습으로 함께 어깨동무를 하자면, 나는 어떤 글부터 써야 할까.

 여러 달 차근차근 생각한 끝에 지난주부터 조금씩 갈피를 잡는다. 나는 다른 어느 글보다 ‘아빠 육아일기’를 써야 한다고 느낀다. 앞으로 자라날 푸름이한테 들려줄 ‘아빠 육아일기’부터 쓰지 않고서야 내 글이 글다울 수 없겠다고 느낀다.

 그러나, 아버지로서 그닥 옳거나 바르게 살아가지 못하는 만큼, 이러한 글을 제대로 쓸는지 못 쓸는지 아리송하다. 그렇지만, 이 글부터 쓰지 않고서야 다른 무슨 글을 쓴다고 깝죽댈 수 있겠는가.

 아직 옆지기한테는 차마 말을 꺼내지 못한다. 그러나 이 글을 옆지기가 읽는다면 알아챌 텐데, 내가 쓸 ‘아빠 육아일기’란 나 스스로 겪은 삶뿐 아니라 나 스스로 맞아들일 삶을 쓰는 글이어야 한다. 그러니까, 이제부터 하나씩 다스리거나 다독이는 삶을 적는 글이어야 하는 셈이다. 둘째를 낳기까지 집안을 어떻게 갈무리하면서 어떤 매무새로 어떤 일을 살피는가부터, 둘째를 집에서 낳도록 어느 만큼 마음을 기울이고 몸을 움직이는가를 더 배우고 돌아보면서 쓸 글이어야 한다.

 잘 못하니까 다시 배우고 새로 배우면서 써야 한다. 제대로 못했으니까 거듭 배우고 꾸준히 돌아보면서 써야 한다. 나부터 이러한 이야기를 쓸 수 있게끔 삶을 고쳐야겠지. 나부터 이러한 이야기가 겉발린 말이 아닌 몸으로 움직여 내는 하루하루가 되도록 살아가면서 글을 써야겠지. 그러니까, 내 삶을 바꾸고자 내 글을 바꾸어야 한다. 내 글을 바꾸면서 내 삶을 바꾸고, 내 삶을 바꾸면서 내 글을 바꾸어야 한다.

 생각해 보면, 첫째를 낳아 돌본 나날이란 내 삶을 고치는 나날이었으나, 영 뾰족하거나 시원하거나 아름답게 고치지 못한 나날이라고 느낀다. 그럭저럭 나아지기는 했다손 칠 수 있겠지. 그래, ‘했다손 칠’ 수 있다. ‘했다’고 여길 수 없다.

 둘째를 낳을 때까지도 나는 내 삶을 못 고치는가. 둘째를 낳는 자리에서마저 나는 내 삶을 고치려고 애쓰지 못하겠는가. 삶을 고쳐야 글을 고치고, 글을 고칠 때에 모든 일이 풀리기 마련이다.

 아침부터 저녁 아홉 시까지 집일만 하느라 글이건 책이건 손에 쥘 수 없었다. 그러나 집안일이란 이렇다. 게다가 이렇게 집일 하나만으로도 글이건 책이건 손에 쥘 수 없다 하더라도 살림을 옳게 했다고 여길 수 없다. 살림을 옳게 하자면 더 마음을 쏟아 훨씬 제대로 살아내야 한다. 밥을 차리고 설거지를 하며 빨래를 한다고 살림이 아니다. 이는 그저 집일일 뿐이다. 집일을 했다고 살림을 했다 말하지 않는다. 날마다 맞아들이는 집일만큼, 날마다 여미거나 다스릴 살림이 있다. 나는 어느 무엇보다 이 살림 다스리기에 너무 젬병이었거나 무디었다. 이제 두 달이면 코앞이라 할 만한데, 짧다면 아주 짧은 나날이지만, 이 짧은 나날이 짧지만은 않도록 더 잘 살아가고 싶다. 더 사랑스레 살아가고 싶다. 온몸이 찌뿌둥하며 고단하지만, 난 오늘 이 말을 글 한 조각에 담고 싶어 졸립고 지치지만 두 시간째 셈틀 앞에 앉아서 글을 쏟아낸다. 글을 쏟아내는 까닭은 이렇게 다짐을 하고 싶기 때문이다. 허튼 말이나 겉발린 시늉으로 그치고 싶지 않으니까, 참말 잘 살고 싶으니까, 참으로 즐거이 살고 싶으니까, 이렇게 다짐을 하려고 두 눈을 부릅뜨면서 한 글자 두 글자 적는다. 팔꿈치가 대단히 시리다. (4344.3.23.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