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나의 작은 새 인생그림책 18
윤강미 지음 / 길벗어린이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4.28.

그림책시렁 1367


《미나의 작은 새》

 윤강미

 길벗어린이

 2023.2.24.



  《미나의 작은 새》는 “새에 대해 공부도 하고”로 첫머리를 여는데, 뭔가 아리송합니다. 새를 알고 싶다면, 새한테 다가설 노릇이요, 새하고 한마음으로 지낼 일이며, 새가 깃드는 나무랑 동무하면서, 새가 노래하는 숲을 품을 줄 알면 넉넉합니다. 한자말 ‘공부’와 우리말 ‘배우다’는 다릅니다. ‘工夫’는 “솜씨 다스리기”를 나타낸다면, ‘배우다’는 ‘몸에 배고 마음에 받아들이기’를 나타냅니다. 그나저나 《새들의 아이 미나》(에릭 바튀/이수련 옮김, 달리, 2003)라는 그림책이 자꾸 떠오릅니다. ‘새·미나’라는 두 마디가 책이름에까지 똑같이 나올 수 있고, “우리에 갇힌 새”마저 똑같이 나타나며 줄거리가 닮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미나의 작은 새”라는 책이름은, 작은 새를 ‘내 것’으로 삼는 마음씨입니다. 적어도 “미나와 작은 새”를 바라볼 줄 모른다는 얼개예요. 어린이책에 ‘-의’를 함부로 쓰니 얄궂으면서, ‘새 곁에 어떻게 있느냐’를 제대로 바라보지 못 하는 모습입니다. 우리는 새가 깃들 터전을 마구 밟았고 빼앗았습니다. 새한테 묻지 않으면서 서울을 넓히고, 부릉부릉 매캐하게 온누리를 더럽힙니다. 부디 새 곁에서 이 숲을 바라보기를 바라요. 새도 사람도 별 너머에서 보면 똑같이 작습니다.


ㅅㄴㄹ


《미나의 작은 새》(윤강미, 길벗어린이, 2023)


새에 대해 공부도 하고

→ 새를 배우고

→ 새를 살펴보고

여는말


나의 작은 새야, 드디어 숲이야! 좋은 공기를 마음껏 마셔 봐

→ 작은 새야, 드디어 숲이야! 맑은 바람을 마음껏 마셔 봐

5


숲의 공기룰 온몸으로 느끼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 숲바람을 온몸으로 느끼는 듯합니다

6


내 작은 새도 저 새들처럼 하늘을 날 수 있을까요

→ 우리 작은 새도 저 새처럼 하늘을 날 수 있을까요

6


아마 곧 날 수 있을 거야

→ 아마 곧 날 테지

→ 아마 곧 날겠지

6


작은 새는 미나의 주변을 천천히 날기 시작했습니다

→ 작은 새는 미나 곁을 천천히 납니다

→ 작은 새는 미나 둘레를 천천히 날아요

9


작은 새는 새들의 소곤거리는 속삭임애 귀 기울이는 겉 같았습니다

→ 작은 새는 소곤거리는 새소리에 귀 기울이는 듯합니다

→ 작은 새는 속삭이는 새소리에 귀를 기울입니다

17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는 활짝 피어나려고 기다리고 있어 위고의 그림책
마리카 마이얄라 지음, 정보람 옮김 / 위고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4.28.

그림책시렁 1395


《너는 활짝 피어나려고 기다리고 있어》

 마리카 마이얄라

 정보람 옮김

 위고

 2023.3.1.



  꽃은 다 다르게 핍니다. 잎은 다 다르게 돋습니다. 줄기는 다 다르게 오르고, 뿌리는 다 다르게 뻗습니다. 그러나 서울도 시골도 풀꽃나무를 함부로 치고 자르고 손댑니다. 나무가 나무답게 가지를 뻗거나 잎을 내는 길을 싫어하는 오늘날이에요. 길나무는 어디에서나 삭둑 잘리거나 줄기를 빼앗기고 가지를 잃습니다. 산 목숨을 함부로 다루는 손은 사납습니다. 나무를 아무렇지 않게 들볶으니, 이웃사람도 괴롭히고, 아이를 억눌러요. 《너는 활짝 피어나려고 기다리고 있어》를 돌아봅니다. “Taikurinkukka”를 옮겼으니 “마법사 꽃”이라 하면 될 텐데, 책이름을 잔뜩 늘어뜨립니다. ‘마법’이란 다른 길이 아닌 ‘꽃길’이나 ‘빛길’입니다. 꽃솜씨나 빛솜씨를 한자말 ‘마법’으로 가리킵니다. 꽃으로 빛나는 손길이기에 ‘마법’이에요. 모든 어른이 처음에 품은 어린넋이 꽃빛입니다. 모든 사람이 처음 태어나면서 건사한 숨결이 꽃넋이에요. 사랑을 펴는 사람이라면 어린넋을 살리면서 보듬는다는 뜻입니다. 사랑을 등진 채 사납거나 가위질을 일삼는다면 스스로 넋을 잃고서 헤맨다는 뜻입니다. 어느 훌륭한 분만 꽃이지 않습니다. 수수한 누구나 꽃입니다. 모든 숨결은 들숨빛이자 숲꽃에 숲나무입니다. 우리 마음을 들여다봐요.


#MarikaMaijala

#Taikurinkukka (마법사 꽃)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할머니체조대회 - 2022년 행복한 아침독서 추천도서, 2022년 제2회 도깨비 그림책 문학상 본심 선정도서, 2023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도서
이제경 지음 / 문화온도 씨도씨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4.28.

그림책시렁 1396


《할머니 체조대회》

 이제경

 문화온도 씨도씨

 2023.8.12.



  할아버지가 모인 놀이마당은 어떤 모습이려나 하고 떠올려 봅니다. 어질거나 즐겁거나 신나는 놀이판일는지 좀 아리송합니다. 오늘날 우리나라 할아버지는 집일을 썩 달가이 안 여겨 버릇했거든요. 앞으로 할아버지도 집안일에 바느질에 아기보기를 즐거이 맡는다면 “할아버지 놀이마당”이 새롭게 피어나리라 봅니다. 할머니가 모인 놀이마루는 어떠할는지 헤아려 봅니다. 요사이는 꽃짝(화투)을 노는 분이 꽤 많습니다만, 어린날부터 집살림을 도맡던 할머니는 할아버지하고 다르게 서로 살리는 놀이를 가눌 줄 압니다. 꽃씨를 묻을 줄 알고, 꽃말을 아이한테 들려줄 수 있고, 꽃길을 천천히 걸어갈 줄 알기에 할머니라고 합니다. 《할머니 체조대회》는 온누리 할머니가 저마다 어떤 삶길을 걸으면서 오늘에 이르렀나 하는 줄거리를 북적북적 수다판으로 들려줍니다. 집안과 집밖에서 온사랑을 들인 손길이기에, 스스로 즐거우면서 둘레를 환하게 가꿉니다. 보금자리에 참사랑을 품은 숨결이기에, 스스로 기쁘면서 마을을 밝게 일굽니다. 곧잘 생각해 봅니다. 나라지기나 벼슬아치를 구태여 뽑지 말고, “아이를 돌보고 집살림을 맡은 수수한 할머니”한테 나라지기랑 벼슬아치를 맡길 노릇이지 싶습니다. 살림을 아는 사람은 어질고 착하거든요.


ㅅㄴㄹ


《할머니 체조대회》(이제경, 문화온도 씨도씨, 2023)


우리가 점프하고 구르기를 하면

→ 우리가 뛰고 구르기를 하면

5쪽


철봉에 매달리는 게 가능해?

→ 홰에 매달리실 수 있어?

→ 장대에 매달리실 수 있어?

6쪽


이제 대회를 시작하겠습니다. 선수 입장∼

→ 이제 하겠습니다. 들어오세요!

→ 이제 엽니다. 들어와요!

7쪽


할머니가 공중으로 리본을 멋지게 던지는 순간

→ 할머니가 하늘로 꽃댕기를 멋지게 던지자

→ 할머니가 도투락을 높이 멋지게 던지니

9쪽


그것은 파스타 면이 되어 줄줄이 떨어졌어요

→ 줄줄이 국수 가닥이 되어 떨어져요

10쪽


내 고향 마을 언덕에서 소중히 가꾸던 꽃들이잖아∼

→ 우리 마을 언덕에서 알뜰히 가꾸던 꽃이잖아!

17쪽


할머니가 도약하기 위해 뜀틀에 손을 대는 순간

→ 할머니가 뛰어오르려고 뜀틀에 손을 대니

→ 할머니가 날려고 뜀틀에 손을 대자

27쪽


수제비를 뜨면 이게 몇 인분이야?

→ 수제비를 뜨면 몇 그릇이야?

29쪽


그것은 통통히 차오른 염소의 젖이 되었어요

→ 통통히 차오른 염소젖이 되어요

4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원수 선생님이 들려 주는 김구 산하인물이야기
이원수 글, 허구 그림 / 산하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4.27.

읽었습니다 318



  예부터 어른은 아이한테 이야기로 삶을 들려주고, 살림을 일깨우고, 사랑을 속삭였습니다. 어른이 아이한테 들려주는 이야기에는 ‘훌륭님’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스스로 하루를 짓는 어진 사람이 나오고, 스스로 사랑을 꽃피우는 어른이 나오며, 스스로 삶을 노래하고 살림을 일구는 숨결이 나올 뿐입니다. 《이원수 선생님이 들려 주는 김구》를 곰곰이 읽었습니다. 언뜻 보면 ‘위인전’이되, 가만히 보면 ‘작은이’ 이야기입니다. 대단하거나 놀라운 일을 한 분이라기보다는, 우리 곁에서 누구나 이처럼 ‘사랑’을 나라에도 쏟거나 마을에도 기울이거나 보금자리에도 펼 수 있다는 길을 보여준다고 느껴요. 집안에서 아늑하면서 아름다울 적에 마을에서도 알차고 빛납니다. 나라사랑만 할 수 없어요. ‘나사랑’에서 ‘너사랑’으로 잇고, ‘우리사랑’을 바라볼 줄 알기에, ‘누리사랑’으로 피어납니다. 누구나 사랑으로 일어나는 사랑누리를 그립니다.


ㅅㄴㄹ


《이원수 선생님이 들려 주는 김구》(이원수, 산하, 2002.8.23.)



길마를 머리에 이고 지붕 위에서

→ 길마를 머리에 이고 지붕에서

9쪽


상놈만도 못한 행실을 하는 어른이라고

→ 막놈만도 못한 짓을 하는 어른이라고

→ 만무방보다 못한 어른이라고

39


해주에서 과거를 보인다는 방(공고문)이 나붙었습니다

→ 해주에서 물음풀이를 보인다는 글이 나붙었습니다

→ 해주에서 글겨룸을 보인다는 알림이 나붙었습니다

48


글씨를 쓴 종이 위에 또 글씨를 썼습니다

→ 글씨를 쓴 종이에 또 글씨를 썼습니다

50쪽


객사(여관)에 들 형편이 못 되는

→ 길손채에 들 살림이 못 되는

51


창수의 뒤에는 우리 2천만 동포가 있습니다

→ 창수 뒤에는 우리 한겨레가 있습니다

81


아드님의 호령이 얼마나 당당하던지

→ 아드님 목소리가 얼마나 당차던지

→ 아드님이 얼마나 힘차게 외치던지

81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편지의 시대 창비시선 495
장이지 지음 / 창비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꽃 / 문학비평 . 시읽기 2024.4.27.

노래책시렁 419


《편지의 시대》

 장이지

 창비

 2023.12.22.



  손으로 밥을 지어서, 손으로 수저를 쥐고서 먹습니다. 손으로 씨앗을 심고서, 손으로 호미나 낫을 쥐고서 거두거나 캡니다. 손으로 아이를 씻기고 돌보노라면, 어느새 아이는 무럭무럭 자라서 손을 맞잡고서 거닐다가, 어느새 손을 가볍게 흔들면서 저만치 앞서 달려갑니다. 아스라이 먼 옛날부터 손수 짓는 살림을 말로 담았습니다. 말을 담는 그림은 글이 태어난 뒤에도 아주 오래도록 손으로 글을 적었습니다. 이제는 손으로 글을 쓰거나 적는 일이 확 줄었는데, 어떻게 옮기는 글이어도 ‘마음을 담은 글’일 적에라야 비로소 마음이 만나거나 흐릅니다. 《편지의 시대》는 글월과 나래꽃 사이에서 오간 마음을 적는 듯싶습니다만, 어쩐지 “편지의 시대”라는 이름부터 일본스럽습니다. 우리나라 웬만한 자리마다 일본말에 일본빛이니 어쩔 길이 없다고 할 테지만, 조금씩 마음을 기울이면 하나씩 씻거나 털면서, 우리 이야기를 도란도란 펼 만합니다. 글월을 주고받는 ‘글월철’입니다. ‘글날’입니다. ‘글빛나날’에 ‘글길’이에요. 글을 글로 여기는 눈길일 적에 마음을 마음으로 나누는 마음길을 열어요. 억지스레 짜거나 맞추는 글로는 어떤 마음도 못 움직여요. 더 멋지거나 드문 나래꽃을 얻으려는 마음으로는, 그저 시늉이었겠지요.


ㅅㄴㄹ


누가 먼저였는지 잊었지만 편지와 함께 외국의 멋진 우표도 동봉하게 되었는데 진귀한 우표를 찾으려고 발품깨나 팔았지요 우리의 편지는 차츰 우표를 교환하기 위한 것이 되더니 어떤 일로 영영 끊어지게 되었어요 (우표수집―삼총사/65쪽)


너는 그것을 몰라 너를 보지 않겠다고 한 건 보고 싶지 않아서가 아니야 너에게 주려던 편지를 흐르는 강물에 버린 것을 네가 알까 (졸업/75쪽)


+


《편지의 시대》(장이지, 창비, 2023)


사랑의 취기가, 도취의 파도가 소인으로 찍히는 것을 상상하면서

→ 거나한 사랑이, 반한 물결이 쿵 찍히는 모습을 떠올리면서

→ 비칠대는 사랑이, 기쁜 물결이 톡 찍히는 무늬를 그리면서

8쪽


은하의 실타래 위에 이미 있었네

→ 별밭 실타래에 이미 있네

→ 별숲 실타래에 이미 있네

→ 별떼 실타래에 이미 있네

12쪽


천변만화의 구름이 뿔뿔이 흩어졌다가

→ 덩굴진 구름이 흩어졌다가

→ 물결치는 구름이 뿔뿔이 가다가

12쪽


대관람차의 형해(形骸)가 방치돼 있다

→ 큰바퀴 뼈대를 내버린다

→ 큰고리가 덩그러니 나뒹군다

→ 고리눈 부스러기가 구른다

18쪽


칠이 벗겨진 말들이 막사 안에서 선잠을 잔다

→ 겉이 벗겨진 말이 오두막에서 선잠이다

→ 옷이 벗겨진 말이 움막에서 선잠이다

18쪽


나뭇잎 사이로 흘러내리는 햇빛의 무늬를, 초록색의 점자를 갑충이 더듬더듬 읽는다

→ 나뭇잎 사이로 흘러내리는 햇빛무늬를, 푸른글씨를 딱정벌레가 더듬더듬 읽는다

23쪽


너머에서 도시가 비의 부식(腐蝕)을 견딘다

→ 너머에서 마을이 비에 삭지 않으려 한다

→ 너머에서 서울이 비에 슬지 않으려 한다

25쪽


백지와 마주할 때 나는 역광을, 광배(光背)를 얻는다

→ 나는 흰종이와 마주할 때 뒷빛을 얻는다

→ 나는 빈종이와 마주할 때 빛살을 얻는다

25쪽


외국의 멋진 우표도 동봉하게 되었는데 진귀한 우표를 찾으려고

→ 이웃나라 멋진 나래꽃도 넣었는데 값진 나래꽃을 찾으려고

→ 옆나라 멋진 날개꽃도 담았는데 드문 날개꽃을 찾으려고

65쪽


너는 그것을 몰라 너를 보지 않겠다고 한 건 보고 싶지 않아서가 아니야

→ 너는 몰라 너를 보지 않겠다고 한 말은 보고 싶지 않아서가 아니야

→ 너는 몰라 너를 보지 않겠다고 했는데 보고 싶지 않아서가 아니야

7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