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발음기호



 발음기호로 사용하기에 충분하다 → 바른소리로 넉넉히 쓸 만하다

 발음기호를 착각했다 → 소릿결을 잘못 봤다

 발음기호의 독해법을 학습하기 위해 → 소릿길 읽기를 배우려고


발음기호(發音記號) : [언어] 말소리를 눈으로 볼 수 있는 형태로 나타내어 기록한 부호. 국제 음성 기호 따위가 있다 = 발음부호



  소리를 눈으로 보도록 그렸다면 ‘소릿값·소릿길’이라 할 만합니다. ‘소릿결·소릿가락’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소리를 내는 길을 또렷하게 밝힌다고 여겨서 ‘바른소리·바른말’이라 해도 되어요.



표음문자인 파스파자는 한자의 발음을 표음하는 데 더할 나위가 없는 좋은 발음기호였다

→ 소리글인 파스타글은 한자 소리를 말하기에 더할 나위가 없는 소릿값이었다

→ 소리글씨 파스타글은 한자 소리를 내기에 더할 나위가 없는 소릿결이었다

《한글의 발명》(정광, 김영사, 2015) 31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89 : 일반 백성 글자 필요 생각하다


일반 백성들은 글자를 알 필요가 없다고도 생각했고

→ 사람들이 글씨를 알 까닭이 없다고도 여겼고

→ 누구나 글을 알아야 하지 않는다고도 보았고

《아빠가 들려주는 한글 이야기》(김슬옹, 한솔수북, 2022) 18쪽


한자말 ‘백성’은 ‘일반 사람(일반인)’을 가리킵니다. ‘일반’이라는 한자도 ‘여느 사람(백성)’을 가리켜요. “일반 백성”은 얄궂게 쓰는 겹말입니다. 우리말로 ‘사람들’이라 하거나 ‘누구나’나 ‘우리’로 바로잡습니다. ‘-자(字)’로 붙이는 한자는 군더더기예요. ‘글자’는 ‘글’로 손보거나 ‘글씨’로 고쳐씁니다. 예부터 우두머리는 수수한 사람이 굳이 글을 익혀야 하지 않는다고 여겼어요. 웃자리에서는 중국글만 글로 여길 뿐 아니라, 사람들 누구나 글을 배우는 길이 아닌, 몇몇 벼슬아치하고 임금만 중국글을 알면 된다고 보았습니다. 이 보기글은 끝자락을 “생각했고”로 맺는데, ‘생각’은 이런 자리에 안 씁니다. “-다고 여기다”나 “-다고 보다”처럼, ‘여기다·보다’를 붙여야 알맞습니다. ㅅㄴㄹ


일반(一般) : 1. 한모양이나 마찬가지의 상태 2. 특별하지 아니하고 평범한 수준. 또는 그런 사람들 3. 전체에 두루 해당되는 것

백성(百姓) : 1. 나라의 근본을 이루는 일반 국민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 ≒ 국본·지민 2. 예전에, 사대부가 아닌 일반 평민을 이르던 말 ≒ 생치

글자(-字) : 말을 적는 일정한 체계의 부호 ≒ 글·글씨·자

필요(必要) : 반드시 요구되는 바가 있음

생각하다 : 7. 어떤 일에 대한 의견이나 느낌을 가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속담 俗談


 속담 그대로 → 옛말 그대로 / 삶말 그대로

 그 속담은 → 그 살림말은 / 그 말씀은


  ‘속담(俗談)’은 “1. 예로부터 민간에 전하여 오는 쉬운 격언이나 잠언 ≒ 언속 2. 속된 이야기 ≒ 세언·속설”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낮춤말·삿대말·거친말·막말’이나 ‘똥말·쓰레말·허튼말·구정말·더럼말’로 고쳐쓸 만하고, ‘삶말·살림말’이나 ‘수수말·투박말’로 고쳐씁니다. ‘옛말·옛날말’이나 ‘말·말씀·이야기·얘기’로 고쳐써도 됩니다. ㅅㄴㄹ



초록은 동색이요 가재는 게 편이란 속담은 아마 이럴 때 쓰는 말인 모양입니다

→ 풀빛은 같고 가재는 게 쪽이란 옛말은 아마 이럴 때 쓰는가 봅니다

→ 같은 풀빛이고 가재는 게 쪽이란 삶말은 아마 이럴 때 쓰는가 봅니다

《장미 밭의 전쟁》(이어령, 문학사상사, 2003) 325쪽


안하무인(眼下無人)이다. “사람 위에 사람 없고, 사람 밑에 사람 없다”라는 속담을 이들은 전혀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 거드럭댄다. 이들은 “사람 위에 사람 없고, 사람 밑에 사람 없다”라는 옛말을 하나도 모를 듯하다

→ 우쭐댄다. 이들은 “사람 위에 사람 없고, 사람 밑에 사람 없다”라는 삶말을 통 모를 듯하다

《어떤, 낱말》(아거, KONG, 2019) 44쪽


이 말이 속담이라는 걸 모르는 사람이 없지만

→ 이 말이 삶말인 줄 모르는 사람이 없지만

→ 이런 옛말을 모르는 사람이 없지만

→ 이 오래말을 모르는 사람이 없지만

《서울 밖에도 사람이 산다》(히니, 이르비치, 2023) 7쪽


또 속담이랑 사자성어 사전을 보느라 공부를 하나도 못 하고 있어

→ 또 옛말이랑 넉마디말 꾸러미를 보느라 하나도 못 배웠어

→ 또 삶말이랑 넉글씨 꾸러미를 보느라 하나도 못 배웠어

《쿠지마 노래하면 집이 파다닥 1》(콘노 아키라/이은주 옮김, 미우, 2023) 4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수어지교



 그들은 수어지교(水魚之交)라고 할 수 있다 → 그들은 한넋이라고 할 수 있다

 둘의 관계는 수어지교였다 → 둘은 서로이웃이다 / 둘은 한지붕이다

 공생할 수 있는 수어지교(水魚之交)를 지향한다 → 함께가는 길을 바라본다


수어지교(水魚之交) : 1. 물이 없으면 살 수 없는 물고기와 물의 관계라는 뜻으로, 아주 친밀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수어, 수어지친, 어수지교, 어수친 2. 임금과 신하 또는 부부의 친밀함을 이르는 말



  서로 떨어질 수 없는 사이라면, ‘한몸·한몸짓·한몸꽃·한짓’이나 ‘한마음·한벗·한동무’라 할 만합니다. ‘한뜻·함뜻·한사람숲·한몸마음·한마음몸’이라나 ‘하나·하나꽃·하나되다·하나로’라 해도 어울립니다. ‘한넋·한얼·한삶·한살림·함살림’이라 할 수 있고, ‘한꽃·한꽃같다·한덩이’나 ‘한빛·한빛살·한사랑·한꿈’이라 하면 돼요. ‘한집·한집안·한집살림·한지붕·한꽃집’이나 ‘한동아리·한울·한울타리·한목소리’도 어울리고, ‘함께·함께가다·함께걷다·함께걸음·함께하다’나 ‘함께살기·함께살림·함께사랑’이나 ‘같이·같이가다·같이걷다·같이하다’라 할 수 있어요. ‘너나없다·너나하나·너나사랑·너나우리’나 ‘나너없다·나너하나·나너사랑·나너우리·나우누리’나 ‘나란하다·나란빛·나란꽃·나란살림’으로 나타내어도 어울리고, ‘다같이·다함께·담허물기·뜻같다·뜻맞다·마음맞다’나 ‘모두·모조리·몽땅·송두리째·죄’라 할 수 있습니다. ‘모두하나·모두한빛·모두한꽃·모두한길’이나 ‘몸꽃·몸숲하나·몸흙하나’도 어울립니다. ‘손맞추다·손발이 맞다·발맞추다·죽맞이·찰떡같다’나 ‘버무리다·서로얽다·서로이웃·섞다·쿵짝’으로도 나타내고, ‘오롯이·옹글다·옹골지다·옹골차다’나 ‘온집·온집안·온지붕·집님·집벗’으로도 그리며, ‘온하나·온한빛·온한꽃·온한길’이나 ‘우리·우리네·우리답다·저희’로 나타내어도 돼요. 가만히 헤아리면, 우리말로 우리 나름대로 풀어낼 이름과 말이 한가득입니다. ㅅㄴㄹ



“죽마고우는 아닌데.” “으음, 수어지교 아닐까요?”

→ “너나들이는 아닌데.” “으음, 함께살기 아닐까요?”

→ “마음동무는 아닌데.” “으음, 나란살이 아닐까요?”

→ “너나들이는 아닌데.” “으음, 한울타리 아닐까요?”

《쿠지마 노래하면 집이 파다닥 3》(콘노 아키라/이은주 옮김, 미우, 2023) 11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5.1.

오늘말. 낛


따뜻하되 축축한 날에는 빨래가 안 마릅니다. 후덥지근한 날에도 빨래는 영 마를 낌새가 없습니다. 바람이 눅지면 여름에도 빨래가 후줄근합니다. 덜 마른 옷을 입으면 몸도 추집니다. 잘 마른 옷을 둘러야 몸도 상큼하지요. 어릴 적을 돌아보면, 아직 안 마른 옷을 아무렇지 않게 입었습니다. 신조차 다 안 마른 채 꿰고서 신나게 뛰고 달렸어요. 몸을 한참 놀리면 옷도 나란히 마르리라 여겼습니다. 주머니가 두둑해야 살림을 펴지 않고, 옷가지가 많아야 하루가 곱지 않아요. 거둔 몫이 적으면 적은 대로 누리기에 오붓합니다. 우리 몫이 넉넉하다면 이웃집을 돌아보면서 스스럼없이 나누면서 호젓하고요. 바람을 거스르면 걷기에 살짝 버겁지만, 거꾸로 가는 길은 나쁘지 않더군요. 어제 어떤 일을 했는지 돌아보듯, 때를 곰곰이 거슬러오르면서 살림살이를 되짚습니다. 작은 보금자리뿐 아니라, 나라일도 같아요. 꼭 낛을 잔뜩 거두어야 나랏돈이 푸지지 않아요. 조금 덜 거두었어도, 알맞게 쓸 곳에 밑돈을 대줄 수 있다면, 서로 포근하게 일어날 수 있어요. 목돈이 아니어도 모둠돈입니다. 살리는 밑천이니 살림돈이에요. 사슬이 아닌 노래를 채울 일입니다.


ㅅㄴㄹ


따뜻하고 축축하다·따뜻하고 끈적하다·따뜻축축·따뜻끈적·후덥다·후덥지근·후텁지근 ← 고온다습


입다·입어보다·갈아입다·대다·대보다·대주다·감다·두르다·쓰다·씌우다·들쓰다·신다·매다·차다·채우다·하다·해보다 ← 시착(しちゃく·試着), 착의(着衣), 착용


거스르다·거꾸로·거슬러가다·거슬러오르다·오르다·올라가다·되짚다·되새기다·돌아보다·돌아가다·톺다·톺아보다 ← 소급(遡及)


거두다·거두어들이다·거둬들이다·거둠돈·나랏돈·낛·나가시·모둠돈·살림돈 ← 세금(稅金), 세수(稅收), 세수입(稅收入), 조세(租稅)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