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담배연기 2023.9.10.해.



쑥잎을 말려서 불을 붙이면 그윽하게 흰김 오르면서 둘레를 감싸는 기운이 맑아. 가랑잎도 매한가지야. 다른 마른잎도 저마다 다르게 흰김으로 둘레를 부드러이 감싸고 풀어주지. 고춧잎은 좀 매울 텐데, 매운김은 매운 대로 톡톡 쏘면서 너희 눈·살갗·마음·몸을 깨운단다. 담배라는 풀도 너희를 깨우는 숱한 잎(마른잎) 가운데 하나야. 담배를 태우는 일은 나쁠 수 없어. 다만, 담뱃잎만 쓸 일이야. 섞지 마. ‘뜬금없는 것(화학조합물)’을 섞으면 ‘담뱃김’은 제구실을 안 하지. ‘살림길’이 아닌 ‘죽음김’은 너희부터 스스로 죽이고 둘레를 죽여. ‘소독차’랑 ‘화학담배’는 같아. 그리고 쑥잎·가랑잎처럼 다 다른 마른잎은 너희를 다 다르게 북돋우고 깨운단다. 또한, 애써 태우지 않아도 ‘나무에 달린 잎’ 숨결로 너희를 일깨워. ‘흙에 뿌리내린 풀잎’ 숨결로 너희를 일깨우고. 맨손으로 나뭇잎·풀잎을 쓰다듬고, 맨발로 나무줄기를 타거나 풀밭을 거닐기에, 너희 손발은 새롭게 태어날 수 있어. 무엇을 만지거나 디디면서 너희 손발이 새롭도록 하겠니? 가꾸겠니? 살리겠니? 죽이겠니? 등지겠니? 하얗게 퍼지고 부드러이 감싸면서 온기운을 반짝반짝 살리는 ‘김’을 보기를 바라. 이 김을 쐬면서 앙금을 털어. 이 김을 마시고 뱉으면서 응어리를 풀어. 이 김을 너희 보금자리에 흩뿌리면서, 엉뚱하거나 엉큼하거나 엉성하거나 엉터리인 모든 것을 걷어낸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제비도 안다 2023.9.9.흙.



제비는 아무 집에나 찾아가지 않아. 오래오래 깃들어 오면서 두고두고 즐거이 누린 보금자리를 ‘새로 낳아 돌볼’ 새끼 제비한테 보여주고 물려주고 알려주고 싶단다. 그래서 제비는 해마다 ‘같은 처마밑’을 찾아와. 제비는 한결같이 사랑으로 살림을 지으려는 마음이지만, 사람 스스로 사랑이나 살림을 잊기에 제비를 잊거나 안 그려. 그런데 제비도 알아. 살림을 잊은 사람이 살림빛을 새로 보고 느끼고 배우기를 바라면서 날갯춤을 베풀어. 사랑을 등진 사람이 사랑씨를 새로 심고 가꾸고 짓기를 바라면서 바람노래를 들려줘. 제비도 알아. 사람이 잊다가 잃느라 모를 뿐이야. 제비야말로 알아. 사람이 등지고 버리고 깨부순 마을을 새롭게 살릴 길을 그린단다. 제비가 아무 머리 위를 날겠니? 제비가 아무 데서나 바람을 가르겠니? 제비는 왜 사람들 곁으로 찾아와서 집을 짓거나 고치면서 새벽 일찍 깨고 저녁 일찍 잠들까? 예부터 사람들은 시골에서 제비랑 같이 일어나고 일하고 쉬고 노래하고 잠들며 봄여름을 누렸고 가을겨울을 맞이했어. 제비는 ‘철잡이’야. “철을 알리는 길잡이”란다. 너는 무슨 ‘-잡이’이니? 길잡이? 살림잡이? 노래잡이? 글잡이? 사랑잡이? 꿈잡이? 스스로 돌아보렴. 스스로 날아 봐. 하늘은 누구나 마실 수 있어. 바람은 누구나 탈 수 있어. 별빛은 누구나 품을 수 있어. 네가 마음을 기울이면 바로 그날부터 꽃을 피운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도와줄 사람 2023.9.8.쇠.



짐을 나누어 드는 사람이 있어. ‘거들다’라 하지. 일을 나누어 맡는 사람이 있어. ‘거들다’라고 해. 말을 보태는 때에도 ‘거들다’라고 해. 힘이 되라면서 ‘거들’어. 이와 달리 ‘돕다’는 ‘돌아볼(돌볼)’ 수 있는 마음으로 함께할 때야. 동그랗게·둥그렇게 모이는 일이고, 두레를 하거나 동무로 있기에 ‘돕다’야. 너희는 두 낱말 ‘거들다·돕다’를 가려서 쓸 수 있니? 너희는 ‘힘이 되기’를 바라는 ‘거들다’하고, 동그랗게 동무를 이루고 돌아보고 두레를 하는 ‘돕다’ 사이 어느 곳에 있니? 거들어도 대단하고 고마워. 도와도 훌륭하고 반가워. 그런데 아무나 못 거들고 못 도와. 스스로 마음을 살리고, 스스로 몸을 살피는 사람일 적에, 거들거나 돕는 손길이 찾아들 수 있어. 마음이 죽어가는 사람한테 무엇을 거들까? 몸을 살피지 않는데 누가 도울까. 하루를 꿈으로 그려서 삶을 짓기에 스스로 생각을 펴고 마음이 일어나. 하루를 사랑으로 가꾸고 살림을 지으면서 스스로 노래하고 춤추기에 몸이 깨어나. 그러니까, 스스로 빛나는 사람은 언제나 스스로 넉넉하고, 둘레에서 거들거나 도우려고 찾아와서는 오히려 ‘스스로 빛둥이’한테서 이바지를 받는단다. 거들거나 도우려고 마음을 일으켜서 몸을 움직이는 사람은 문득 사랑씨앗을 한 톨 심은 셈이야. 그래서 거들려고 나섰다가 뜻밖에 빛을 쬔단다. 도우려고 어깨동무하다가 얼결에 빛을 누려. 자, 도와줄 사람은 누구일까?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고무신 2023.11.13.달.



발에 신어서 바람처럼 다니는 연모인 ‘신’이야. 발을 신에 꿰기에 바람이 되어 가볍게 걷거나 달려. 곰곰이 돌아보면, 숲에서도 들에서도 바다에서도 하늘에서도, 신을 발에 안 꿰지. 사람도 처음에는 신이 없이 살았어. 그러나 어느 날 ‘실’을 알았고, 풀포기나 풀줄기나 털이나 고치에서 실을 얻을 수 있는 줄 알아보았지. ‘실’은 잇는 살림이지. 땅에서 자라서 하늘을 바라보는 길에 올라오는 ‘심(힘)’이 깃드는 실이야. 땅을 디디고서 하늘(바람)을 누리려는 길로 나아가는 ‘신’이지. 이런 신 가운데 고무로 지으면 고무신이야. 여러 가지 신 가운데 고무신은 바닥이 얇아서 발바닥이 땅을 느끼기 어울려. 짚신은 짚으로 엮어서 발바닥이 풀내음을 머금으니 즐거워. 나막신은 나무로 짜서 발바닥이 늘 나무를 품으니 느긋해. 그런데 요새는 땅이며 하늘을 느끼고 누리는 신하고 자꾸 멀리가네. 너희 가운데 누가 고무신을 누리니? 짚신이나 나막신(나무신)은 누가 누릴까? 오히려 땅을 등지거나 멀리하려고 ‘플라스틱으로 두꺼운 신’으로 발을 뒤덮지 않니? 흙(땅)을 잊고 바람(하늘)을 등지면서 볕(별)도 차츰 몰라가는 사람 같아. 발이 어떤 몫을 맡는 몸인지 잊고, 신을 삼거나 꿰면서 스스로 어디에서 어떻게 서는지 잊어. 살림을 멀리하니 삶하고도 멀어. 쳇바퀴로 똑같이 뒹굴거나 휩쓸 적에는 ‘휩쓸리는 치레’일 뿐이지. 맨발로 바위를 디디고, 바닷물을 가르고, 바람이 슥슥 스미던 나날을 떠올리렴. 맨손으로 냇물을 뜨고서 목을 축이던 하루를 되새기렴. 발과 손이 있는 곳에 따라서, 네가 이어가는 길이 늘 바뀐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아파트 2023.11.14.불.



개미는 깊이 굴을 파서 모둠살이를 해. 벌은 나뭇가지나 처마밑에 차근차근 집을 지어서 모둠살이를 하지. 개미나 벌은 스스로 살며 살림하는 길에 맞추어 집을 일구지. 사람은 어떨까? 사람들이 이루던 모둠살이는 겹겹이 잿더미(시멘트)로 쌓는 사슬터(감옥)이지 않았어. 나무를 심고 나물을 거둘 땅이 있는 집을 일구었단다. 그런데 사람들이 서로 밟거나 싸우는 사이에, 우두머리하고 종을 갈랐어. 둘 사이를 또렷이 보여주면서 사랑을 등지거나 내몰려고 ‘모둠집’ 아닌 ‘겹집’을 쌓았단다. 보렴. ‘아파트’라는 이름인 잿집더미가 늘어난 곳에 사랑이 흐르거나 샘솟니? 아파트가 늘어선 곳에서 노래가 푸르게 흐르거나 퍼지니? 아무런 씨앗이 싹틀 수 없는 잿더미에 사람들이 스스로 들어가는 때부터 사람들은 사람다움을 버린 셈이야. 싹도 안 트지만, 나무가 자랄 터가 없으니, 이곳에서 사람들은 들빛하고 숲빛을 잊어. 그리고 들과 숲을 짓밟는 마음이 뭉게뭉게 생기지. 오늘날 너희 나라에 서는 아파트뿐 아니라, 학교나 회사를 보렴. 모두 들숲을 짓뭉개거나 밀어서 죽인 자리에 잿더미로 높이 오르지? 그곳은 다 사슬터(감옥)야. 자는 곳도, 일하는 곳도, 놀거나 배우는 곳도 모조리 종살이로 내모는 사슬이 가득하지. 그곳에서 생각(새로운 빛씨앗)이 움틀 수 있을까? 생각은, 씨앗이 싹트고 나무가 움트는 데에서 일어난단다. 왜 나라(정부)에서 아파트를 자꾸 늘리는지, 부디 깨닫기를 바라. ‘아파트’는 ‘비싼 감옥’이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