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지평선 2023.12.13.물.



하늘을 보며 살아가던 사람은 ‘하늘’이라는 말을 지었어. 마음을 나누고 느끼고 일구며 살아온 사람은 ‘마음’이라는 말을 지었어. 비를 보고 마시며 살던 사람은 ‘비’라는 말을 지었어. 바다를 품고 생각하며 살았으니 ‘바다’라는 말을 지었어. 사람이 서는 자리를 살피면서 ‘사이’를 짓고, 사이좋게 가지 않을 적에 ‘싸우다’를 짓지. 누구나 하루를 보내지만, “삶을 누린다”고 하기는 어려워. 그저 흘러가거나 지나가는 때라면 쳇바퀴일 뿐이야. ‘삶(사는 하루·길·날)’이라는 말로 나타내려면, 몸으로 겪고 느끼면서 마음으로 담는 이야기가 늘 새롭게 샘솟아서 스스로 살피고 ‘말’을 짓거든. 네가 보고 듣고 느끼는 대로 ‘네 말’을 그리거나 빚거나 짓거나 엮지 않는다면, 넌 네 하루를 살지 않았다는 뜻이야. 모든 말이란 모든 삶이야. 그래서 삶이 없는 사람은 ‘삶짓기·말짓기·마음짓기’가 없기에 ‘살림짓기·사랑짓기·꿈짓기’가 없어. 삶이라 여길 수 있을 적에 살림이 있어. 말로 그릴 수 있을 적에 사랑을 일으켜. 마음에 담을 적에 꿈을 헤아리고 나아가지. 들끝이 하늘하고 맞닿는 들금(지평선)을 보니? 들금을 보는 사람은, 들하고 하늘이 어우러지는 길을 천천히 품으면서 풀어내는 씨앗을 심어. 물금(수평선)을 보는 사람은, 물·바다랑 하늘이 함께하는 살림을 가만히 노래하면서 노는 씨앗을 묻어. 하늘은 땅에 깃들고, 땅은 하늘로 뻗어. 하늘은 땅에 깃들면서 사람과 숱한 숨결로 스미고, 새삼스레 땅에 풀꽃나무에 고요히 물들면서 환하게 피어난단다. ‘금’은 ‘끝’을 알리면서 ‘꽃’처럼 새로 나아가는 첫길을 그려서 보이는 곳을 보여준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대학교를 왜 2023.12.12.불.



‘대학교를 바라보는 초·중·고’를 왜 보내야 하는지 생각한 적 있니? ‘하고픈 일’이나 ‘걸어갈 삶’이나 ‘이루려는 꿈’이나 ‘나누려는 사랑’이 아닌 ‘대학교 마침종이(졸업장)’를 어디에 쓸 셈이니? 가르치고 배우는 자리에서도 돈이 들 테니까, 배움삯이나 가르침삯을 나라가 대거나 스스로 치를 수 있어야겠지. 그런데 깊고 넓게 살피면서 배우는 길이 아니라, ‘자격·증명’이라는 허울로 대학교에 붙고 다녀서 마쳐야 한다면, 그런 나라는 미쳤어. 그런 나라를 버티는 사람도 나란히 미쳤지. 보렴. 사랑은 대학교나 초·중·고에서 못 배우고 못 가르치더라. 어른다운 어른과, 어버이다운 어버이를 대학교에서 가르칠까? 나무읽기·바람읽기·숲읽기·나비읽기·벌레읽기·흙읽기·비읽기·별읽기·오늘읽기·마음읽기 ……를 비롯해서, 집살림·밥살림·옷살림·사랑살림·마을살림을 어느 대학교나 초·중·고에서 가르치니? 이런 삶·살림·사랑을 못 보고 모르는 채 나이를 먹고서 졸업장·자격증만 갖추는 틀이라면 무엇을 하겠니? ‘글읽기’를 그곳에서 배울는지 몰라. 그런데 삶·살림·사랑·숲을 모르는 눈으로 글을 어떻게 읽을까? 아이를 돌보지 않고, 아이가 앞으로 살아갈 이 터전을 가꾸지 않는 손으로 어떤 글을 읽을까? 나라가 살아나려면 대학교를 버릴 노릇이야. ‘나’로서 ‘나’를 세우고  일으키려면 늘 ‘나’를 바라보고 가꿀 노릇이야. 푸른별 모든 곳이 배우는 터전이야. 모든 곳에서 스스로 눈을 뜰 때라야 따로 배움터를 다닐 수 있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온난화 2023.12.11.달.



집이라는 곳은 따뜻하게 쉬고 포근하게 품는 마음이 흘러야겠지. 안 따뜻하다면 괴롭잖아. 너희가 사는 별은 너희한테는 커다란 집이야. 너희 넋으로서는 너희 몸이 ‘옷’이나 ‘집’이지. 몸을 누이는 집이 있고, 이 집을 품는 숲과 마을이 있어. 그리고 숲과 마을을 별이 넉넉히 품는단다. 별은 너른누리(우주)가 새롭게 품는데, 너른누리도 또다른 온누리(대우주)가 품지. 이 모든 곳은 씨앗 한 톨이 새록새록 품어. 씨앗 한 톨에는 온누리가 다 들어가고도 남는단다. 모든 다른 누리는 크기로 보거나 따지지 않거든. 요즈막에 너희는 ‘달군다(온난화)’고 하더구나. 겨울이 안 춥고, ‘늘얼음’이 자꾸 녹는다고 하던데, 좀 얄궂지 않아? 부릉부릉 몰잖아? 부릉길(찻길)을 자꾸 늘리잖아? 흙집이 아닌 잿집(아파트·시멘트집)에서 살잖아? 끝없이 그림(영상·영화·방송)을 찍어대잖아? 날개(비행기)는 또 얼마나 많이들 타니? 들숲을 파헤쳐서 ‘관광지·체육관’을 또또 세우잖아? 다 너희가 벌인 짓 탓인데, 너희 ‘서울살이(도시문명)’는 더 키우면서 말만 시끄럽더구나. 온통 쓰레기밭인 별을 치우려면 겨울이 따뜻해야 해. 모기와 파리가 겨울에도 일해야 하거든. 서울이라면 바퀴벌레가 겨우내 몹시 애써야겠지. 예전에는 겨울이면 이 아이들이 포근히 자면 되었는데, 이제는 겨울에도 ‘치움일’을 해야 하니까, 파리모기에 개미에 숱한 벌레가 겨우내 못 쉬면서 바쁘단다. 그러니 ‘재우는 겨울눈’이 아닌 ‘씻고 치우는 겨울비’가 내려. 부디 하늘땅을 읽고 사랑하기를 바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작은학교 2023.12.10.해.



배우는 곳은 커야 할까? 아니면 작아야 할까? 곰곰이 생각해 보겠니? ‘작은배움터’여야 할는지 ‘큰배움터’여야 할는지 네 마음을 가누어 보렴. 네가 사는 푸른별은 더 커야 하니? 더 작아도 되겠니? 너희 집은 커야겠니? 좀 작아야 좋겠니? 돈은 많이 벌어야겠니? 적게 벌거나 안 벌어도 되겠니? “배우는 터전”이라는 ‘배움터’라면, 크든 작든 배우는 터전으로 알차고 알뜰하고 아름다울 노릇이야. 살림터도 일터도 놀이터도 같아. 살림을 하고, 일을 하고, 놀이를 하는 즐겁고 아늑하고 넉넉한 터여야겠지. 배울 터전으로는 제구실을 않고서, 크기만 따진다면, 얼마나 어리석고 엉성할까? 배우고 나누는 길을 헤아리기보다, 크기를 더 들여다보면, 처음부터 엇나가겠지. 어린이는 빨리 자라야 하지 않아. 어린이가 껑충 커야 하지 않아. 더 많이 알아야 하지 않아. 살림짓기하고는 멀면서, 사랑짓기하고는 등지면, 이런 매무새로 아무리 많이 배운들 머릿속은 어지럽고 ‘안 아름다운’ 수렁으로 치닫지. 빨리 해내거나 바로 해낼 적에 안 나빠. 그러나 ‘무엇’을 ‘어떻게’ 하면서 ‘왜’ 하는가를 잊거나 모른다면, 쳇바퀴나 뒷걸음으로 갇힌단다. 작은배움터이기에 아름답지 않아. 숲을 품고 들을 마주하고 바다를 끼고 하늘을 마시고 풀꽃나무랑 이웃하고 풀벌레랑 동무하기에 아름답단다. 배울 일을 그리렴. 배울 길을 보렴. 배울 하루를 찾고, 배울 뜻을 생각하렴. 모든 곳이 배움터일 테니까.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책이라는 2023.12.9.흙.



종이로 묶는다고 다 ‘책’이 아닐 테지? 글이나 그림을 묶기에 모두 ‘책’이지 않겠지? 줄거리가 있는 글·그림·사진을 엮으면 ‘책’일까? 생각해 보렴. 모든 곳에는 ‘오늘 하루’가 있어. 이 ‘오늘’하고 ‘하루’를 맞아들이고 치르기에 ‘삶’이 피어나지. 이 ‘삶’이란 ‘줄거리’야. 살아가는 길을 되새기며 자라는 줄거리란다. 그러나 줄거리(내용·콘텐츠·지식·정보)에서 그치면 쳇바퀴야. 너희가 날마다 내놓는 신문·방송에 영상·영화는 아직 ‘줄거리’일 뿐이란다. 이 줄거리를 많이 알거나 뭉쳐 놓는다면, 그저 무겁게 대롱거리는 ‘혹’이겠지. ‘책’이라는 이름을 붙이려면, 삶을 잇는 길을 열 노릇이야. 어제를 오늘로 잇고 모레로 새로 이어 스스로 일어서는 마음이 있을 적에 ‘책’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어. 그러니까 ‘이야기’로 가야지. 고이는 말이 아닌, 가두는 말이 아닌, 마음을 주고받으면서 깨어나는 ‘이야기’로 갈 적에 ‘책’일 수 있어. ‘책’은, 이야기를 담지. 이야기는 글이나 그림이나 사진으로 풀어낼 수 있고, 따로 종이가 아닌 마음에 심는 말씨앗으로 여밀 수 있어. ‘밥을 짓는 살림’과 ‘집을 짓는 일손’과 ‘옷을 짓는 하루’와 ‘새와 만나는 노래’와 ‘흙을 돌보는 손’과 ‘바람을 읽는 눈’도 언제나 책이지. 종이꾸러미만 책이지 않아. 오히려 숱한 종이꾸러미는 사람들 눈길·마음·손길·몸짓을 가두거나 길들이는 굴레나 담벼락이기도 해. 참답게 책이라면, ‘책’은 한결같이 이어가. 종이꾸러미를 불사르건 꽁꽁 숨기건, ‘참답게 책’이라면 누구나 언제나 읽고 배우고 느끼지. 너희가 ‘살덩이’ 아닌 ‘빛’이라는 넋이듯, 너희가 품고 이어가는 책은 ‘빛발’을 이룬단다. 햇빛이나 별빛을 없앨 수 없겠지? 참빛일 적에 비로소 말이요, 이야기요, 책이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