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이랑 놀자 7] 물빛그림

 


  ‘수채화’가 언제부터 수채화였을까 궁금합니다. 물감을 물에 풀어서 그리는 그림을 두고 언제부터 누가 왜 ‘수채화’라는 이름을 붙였는지 궁금합니다. 국민학교 다닐 적에는 ‘수채’가 무엇인지 몰랐고, 중·고등학교 다닐 적에는 ‘수채’라는 한자말을 그냥 외웠습니다. 어른이 되어 아이를 낳아 함께 살아가면서, 아이와 함께 그림놀이를 하다가 문득 생각합니다. 일곱 살 어린이한테 굳이 ‘수채’라는 말을 써야 할까 하고. 일곱 살 어린이한테는 새로운 이름을 지어서 알려주어도 될 만하지 않을까 하고. 그래서 나는 아이와 그림놀이를 하며 “자, 물감에 물을 묻혀 그려 볼까?” 하고 말하면서 “물빛그림을 그리자.” 하고 덧붙입니다. 4347.3.27.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6] 배짱

 


  일본사람은 한자말 ‘근성(根性)’을 ‘곤조’로 읽어요. 한국에서는 한자말 ‘근성’을 무척 단단하며 야무진 매무새를 가리킬 적에 쓰곤 하는데, 이 한자말을 일본사람이 읽는 ‘곤조’로 받아들이는 자리에서는 다른 느낌이나 뜻을 담으려 해요. 이를테면 ‘골부림’이라거나 ‘고약한 외곬’로 여긴다고 할까요. 우리가 일제강점기를 거친 탓에 이 땅에는 일본말이나 일본 한자말이 너무 많이 퍼졌어요. ‘근성’이나 ‘곤조’ 같은 말이 함부로 스며들기 앞서는 ‘배짱’이라는 낱말을 썼어요. 두둑한 배짱이라느니, 배짱이 있게 산다느니, 하면서 스스로 단단하면서 야무지게 먹는 마음씨를 가리켰습니다. 아무래도 어느 말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삶이나 마음이나 넋이 달라질 테니, 슬기로우면서 착하고 참다운 빛을 누리고 싶다면, 낱말 하나도 슬기로우면서 착하고 참답게 다스려야지 싶어요. 우리들이 갖출 매무새라면 배짱이어야지 싶어요. 우리들이 걸어갈 길이라면 배짱 있는 씩씩함이어야지 싶어요. 우리들이 아끼고 사랑할 넋이라면 배짱이 두둑하면서 착한 눈빛이어야지 싶어요. 4347.3.26.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5] 꽃빔

 


  곁님이 지난해에 람타학교 공부를 하러 여러 달 이웃나라를 다녀오는 길에 일본 어느 공항을 거치면서 ‘기모노’라는 옷을 두 벌 장만했습니다. 아이들 입는 예쁜 꽃무늬 깃든 옷입니다. 우리 집 아이들은 치마저고리와 바지저고리를 입어도 예쁘지만, 이웃나라 고운 옷을 입어도 예뻐요. 베트남옷이라든지 중국옷을 얻을 수 있다면, 이웃 다른 나라 고운 옷을 얻어서 아이들이 입으면 새롭게 예쁜 빛이 샘솟으리라 생각합니다. 온통 꽃무늬인 일본옷을 입은 아이를 바라보며 절로 ‘꽃옷’이네, ‘꽃빔’이네, 하는 말이 튀어나옵니다. 한겨레 아이들 옷은 ‘색동옷’이라 하는데, 나는 우리 겨레 아이들 옷은 ‘무지개옷’이기도 하다고 느껴요. 아이들 옷에 무지개빛이 환하면서 꽃무늬가 눈부시면 얼마나 고울까 하고 마음속으로 그려 봅니다. 4347.3.26.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4] 온날꽃

 


  백 날 동안 꽃이 핀대서 ‘백일홍’이라는 이름을 쓰기도 하는 나무가 있습니다. 이 나무는 ‘배롱나무’입니다. ‘간지럼나무’라고도 하는 나무인데, 도시에서 사는 사람이나 나무장사를 하는 이는 ‘목 백일홍’이라고도 가리킵니다. 왜 ‘배롱나무’나 ‘간지럼나무’라는 이름을 안 쓰고 한자로만 이름을 붙이려 할까 알쏭달쏭하곤 해요. 더욱이, ‘백 날’이라는 이름에서도 옛사람은 이런 말은 안 썼으리라 느껴요. 왜냐하면, 옛사람은 시골사람이고 시골사람은 시골말을 쓰니 ‘온’이라는 낱말을 넣어 ‘온꽃’이나 ‘온날꽃’이나 ‘온날붉은꽃’처럼 썼겠지요. 4347.3.24.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3] 삼월꽃

 


  별꽃이랑 코딱지나물꽃이랑 봄까지꽃은 이월을 밝히는 눈부신 꽃입니다. 앉은뱅이 봄꽃 세 가지는 마당이며 논둑이며 들판을 덮습니다. 냉이꽃이랑 꽃다지꽃이랑 꽃마리꽃도 앉은뱅이 봄꽃 둘레에서 나란히 앉아서 한들한들 어깨동무합니다. 숲속에서는 할미꽃이랑 복수초랑 현호색이 곱게 고개를 내밉니다. 삼월로 접어들 무렵에는 진달래가 하나둘 기지개를 켜고, 때이른 유채꽃과 갓꽃이 피는 한편, 닥나무꽃이랑 매화나무꽃이랑 수유나무꽃이 해맑게 흐드러집니다. 삼월에 피어나며 눈부신 꽃을 바라보며 생각합니다. 동백나무꽃은 삼월꽃일까요, 이월꽃일까요. 제비꽃도 삼월에 방긋방긋 고개를 내미니 삼월꽃이라 할 테지요. 사월에는 사월을 빛내는 하얀 딸기꽃이 피고, 딸기꽃에 앞서 앵두꽃이 곱습니다. 요즈음은 앵두꽃이나 딸기꽃을 누리는 사람은 드물고 으레 벚꽃만 누리는데, 달마다 이 꽃 저 꽃 즐기면서 꽃한테 이름 하나 새롭게 붙여 봅니다. 너희는 삼월꽃이로구나, 너희는 이월에도 피고 사월에도 피니 삼월꽃이면서 이월꽃이요 사월꽃이로구나, 너희는 사월에 흐드러지지만 삼월부터 피어나니 사월꽃이면서 삼월꽃이로구나, ……. 봄꽃이고 봄맞이꽃이며 삼월꽃입니다. 봄내음꽃이고 봄바람꽃이며 봄빛꽃입니다. 4347.3.22.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