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만나고 헤어지는 곳.

참 여러가지 일이 일어나는 곳.



내게 있어선, 참 여러가지 생각을 많이 하게 만들었던 장소.

그리고 여러가지 추억들이 남아있던 장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좋은'이라는 말을 사용할 때는

 특별히 조심할 필요가 있다.

당신이 그 형용사를 붙인 명사가 무엇이느냐에 따라

당신의 가치관이 한 번에 드러나버리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연말 각종 시상식의 여배우들과 그들을 취재하는 기자들을 보면서

 우(牛)시장에 나온 암소들과 상인들이 떠오르는 건

나 혼자뿐일까.
 

 

여성의 몸을 상품화 하는 데에는

남녀가 따로 없고,

더 배우고 덜 배우고가 상관없으며,

오직 교양의 유무만이 영향을 줄 뿐이다.

 

 

교양없는 인간 군상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지막 기말고사 종료를 기념해 머리 염색을 해버렸습니다.

색깔은 짙은 포도주 색.

햇볕에 비치니 제법 빠알간 빛깔이 찰랑거리는군요. ㅋㅋ




근데.. 염색 중에 너무 여기 저기를 긁어대서...;;

두피에 빨간 염색약이... ㅡㅡ;;

따뜻한 물로 문지르면 지워진다는데, 그럼 머리에 든 물도 빠진다던데요.

어찌해야 하오리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무리 게으른 사람이라도,

일 년에 한 두 번 쯤은 책장정리를 하기 마련입니다.

특별히 부지런한 사람은 수시로 할 지도 모르겠지만,

제 경우엔 뭔가 분위기를 바꾸거나 할 때 주로 하죠.

 

 

 


엔, 정말 일 년에 한 두 번은

제 방에 있는 몇 안되는 가구 위치도 옮겨보고 그랬는데,

이젠 나이가 들어선지 그나마도 귀찮아지는 듯한 느낌입니다. ㅡㅡ;;

오늘은 그냥 두 책장에, 그리고 책상과 방 여기저기에 널부러져있던 책들을

정리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장정리를 해 본 분들은 다 아시겠지만,

우선 정리를 하기 위해서는 제대로 꽂히지 않은 책들을 다 뽑아내야 합니다.

생활하다보면 책장에 책 이외의 것들도 꽂혀지기 마련이죠.

제 경우엔 이것저것 메모를 해 놓은 쪽지라던가,

나중에 쓰려고 한 두장씩 모으기 시작한 이면지 뭉치 같은 것들이

책꽂이에 꽂혀있더군요.

그 외에도 세로로 제대로 꽂히지 않고 그 위에 가로로 눕혀져있는 책들..

 

 

 

연한 이야기겠지만, 이런 책들을 정리하기 위해 하나 둘씩 빼 놓고 나면,

방은 아주 엉망으로 어지러지게 됩니다.

책장 정리에 책상 정리, 바닥까지도 어느정도 정리를 하려고 했던 제 경우는,

어지간한 전쟁영화를 찍어도 될만큼 뒤죽박죽이 되어버렸죠.

그걸 보시던 어머니는 몇 번씩 빨리 방 치우라고 말씀하시고,

전 치우는 중이라고 대답하고....

다들 익숙한 풍경이리라 생각됩니다만. ㅡㅡ;

 

 

 

정리를 할 때 가장 중요하면서도 어려운 것은,

어떤 식으로 분류를 하고 정리하느냐 하는 기준의 문제입니다.

책이란 것은

"책장에 잘 꽂아놓고 자신이 얼마나 많은 책을 가지고 있는 것만을

자랑하기 위한 것일 뿐"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책의 주제와 용도에 맞게 모아서 꽂아놓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야 다음번에 금방 찾을 수 있으니까요.
 

 

 

론, 제 방에 있는 책이 너무 많아서

하나씩 둘러봐서는 찾기 어려울 정도는 아니죠.

대충 세어봐도 200 여 권도 안되는 것 같네요.

아무래도 제 경우에는, 성격 탓이 더 강한 요인인것 같습니다.

뭔가 주제에 맞게 정리를 해 놓지 않으면 못 배기는... ^^;

 

 

 

격 탓이든, 책을 쉽게 찾기 위해서든,

전 책들을 크게 세 분류로 나눴습니다.

하나는 전공에 관련된 책들,

다른 하나는 역사와 관련된 책,

나머지 하나는 그 외의 다양한 책들.

 

 

렇게 기준을 나눠놓고 정리를 하면 쉬울 것 같았는데,

다시 얼마 못 가 어려움에 빠져버렸습니다.

같은 전공책이라도 세부적인 관련성에 따라 따로 정리해야 하니까요.

그럼 그렇게 정리하면 되지 않느냐 하는 질문을 하실 분들이 있을지도 모르는데,

문제는 계속 이어집니다.

어떤 책의 경우는 분류가 불명확하거든요.

『신학과 철학』이라는 책은 신학 가깝게 꽂아야 하는지,

철학 쪽에 가깝게 꽂아야 하는지...

 

 

 


런 문제들을 하나씩 생각하면서 책을 정리하려면,

몇 권 안 되는 책이지만 족히 몇 시간은 걸리게 되어 버립니다.

그리고, 대개 결론은 별로 만족스럽지 못하죠.

왜냐하면 아무리 생각해도 『신학과 철학』이 신학인지 철학인지

명쾌한 결론을 내리기 어렵거든요. 후훗.

 

 

 

활을 하다보면, 이것저것 정리를 해야할 때가 있습니다.

이런 저런 일들이 갑자기 많이 일어나서 정신이 하나도 없을 때,

너무 많은 관계들 사이에서 나 자신을 찾기가 어려울 때,

때론 너무 많은 선택지가 있는 문제 앞에서 어려움을 겪을 때도 있죠.

 

 

 

럴 땐 말입니다.

너무 오래 생각하고, 너무 깊이 생각하는게

오히려 안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이 책을 여기에 꽂을까, 저기에 꽂을까 고민만 하다간,

결국 하루가 다 지나도록 방이 엉망으로 남을 수도 있으니까요.

잘 곳도 없이 그렇게 되면 곤란하지 않을까요.

 

 

 

 
게, 넓게 생각하세요.

일단은 큰 기준으로 빨리 나누는게 중요합니다.

정리할 부분은 빨리 정리를 하고,

선택한 부분만을 가지고 보다 세밀하게 나누는거죠.

너무 오래 고민하는건 오히려 건전한 판단력을 흐리게 만드는 경우가 많아요.

오래 잡고 있다고해서 꼭 좋은 판단이 나오는 건 아니니까요.

 

 




을 정리하면서, 머릿속도 조금씩 정리되는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

지난 몇 년 동안 공부했던 일들도 떠오르고..

방학 동안에 책 많이 읽어야겠다는 생각도 들고..

훗.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