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밤은 koi kaze의 엔딩만으로도 괜찮다.

난 역시 마음이 여린 남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예전에 어디선가 읽은 기억이 있는데, 먹고 사는 일이 바빠서 책을 읽을 정신도 없다 라는 말이 생각난다.  그땐 뭐 이런 사람이 다 있나 생각을 했었다.  책은 굶어도 읽어야 하는 거 아닌가 하면서 말이다.  그런데 사무실을 차려 3개월 째를 맞이하는 요즘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3월은 상담만했고, 4월에는 2건의 계약을 하여 적자를 면했지만, 정해진 월급이 없으니 항상 신경쓰는 것은 결국 '돈'인 것이다.  아니, 돈은 두 번째고, 일을 계속 해야 녹이 슬지 않을텐데, 일이 자꾸 들어오면 그저 기쁘지 싶다.  꾸준히 읽으려고 노력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흥미를 잃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래도 4월까지 68권의 책을 읽었다.  quality나 내용을 따질 여유는 없는 것이다.  손에 잡히는 대로 읽어제낀다. 

 

좋은 책을 좋은 가격에 보면 그저 사들고 온다.  덕분에 읽을 책은 많아졌는데, 천천히 다 읽어야 하겠지 하면서 쌓여가는 득템물에 흐뭇하게 미소만 짓고 있다.  이번 주 내로 추리소설 몇 권을 더 읽고, 읽다 내버려 두었던 시리즈를 다시 시작하려 한다.

 

벰파이어 헌터 D는 17권, 야샤키덴은 2권을 읽고 있다.  헌터는 17권까지가 현재 나와있고, 야샤키덴은 5권까지 나와있느니 조금 밀린 셈이다.

 

이런 책도 좋아하는 것을 보면 나도 아직은 주진우 선생처럼 17살 소년인 것인가?  조금은 다른 의미로 말이다.  아무튼 머리가 복잡하거나 다른 생각이 들 때에는 판타지도 나쁘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근 성추행자, 또 논문표절자의 국회입성을 보면서 느끼는 점.  원래 정치판이 그러니까, 멀쩡한 사람도 그판에 들어가면 그렇게 된다고 생각했었고, 같은 맥락으로 딴누리당 들어가면 괜찮은 사람도 이상하게 변하는 것인줄 알았다.  그.러.나.

 

계속 터지는 일련의 사건들, 나경원의 자위대 행사참여, 각종 이 당 소속 의원들의 친일발언 및 친일사관, 성문란, 뇌물수수, 정치공작, 등등을 보면서 차츰, 원래 저런 놈들이 저런 당에 들어가서 저런 짓을 하는 것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할 즈음.

 

문대성.  체육계의 논문표절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닐것이다.  무엇보다, 엘리트 체육을 하는 나라에서 초, 중, 고, 대학 내내 공부라는 것을 하지 않다가 갑자기 석-박사 한다고 공부가 되는 것이 아닐진데, 교수를 하려면 석-박사 논문을 써서 학위를 받아야 하는 것이 현 제도.  미국을 보면 유수의 코치들, 교수급 이상의 대우를 받는 계약직 트레이너들, 학위와는 무관하게 자신의 업적과 실력을 평가를 받고 임용된다.  사실, 학위가 필요한 정밀 트레이닝, 또는 therapist같은 것이 아닌, 운동 분야라면 석-박사가 무슨 소용이람? 

 

anyway.  문대성씨가 표절을 했다고 추정되는 정황이 여럿 나왔는데도 꿋꿋하게 버티어 국회 입성을 하였다.  김모 성추행자 (로 추정)가 "성추행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당 (이라 쓰고, 근혜라 읽는다)을 위해" 탈당한다고 하자, 자기도, "표절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당에 피해를 줄 수 없어" 탈당을 하려다가, 전화 한통을 받고 나서는 '국민대 심사'결과를 보고 결정하겠단다.  에이.  사람이 체면이 있어야지.  관행에 따라서 표절하고 박사 따서 교수짓 하다가 들켰으면 깨끗하게 인정을 해야지.  이젠 형평성을 따져서 정세균 논문 이슈도 짚고 가잖다.  그런 논리면 그 당은 국회의원은 커녕 인간 부적격자 투성인데, 똥도 그냥 똥이 아닌 우라늄 똥을 잔뜩 묻힌 개새끼들이 8-10년 전에 묻힌 겨를 가지고 김용민과 김구라를 압박한다.  형평성 같은 소리하고 있네. 

 

이봐요.  문대성씨.  이름이 아깝소.  무도인으로서, 인간으로서, 학자로서 당신은 실격이고.  정치인으로서는 더 말할 가치도 없는 사람이 되어 버린 당신.  태권도의 하락에 일조하시겠구랴.  저런 놈들이 하는 운동이라고 말이지.  부끄러운 줄 아쇼.

 

결론적으로.  딴누리당에 들어가는 인간들이 원래 저런 파렴치한 유전자를 가지고 있고, 그런 놈들이 수백명씩 모여 있으니 그러고들 노는 것이겠지.  명명백백히 반국가적인 짓을 저지른 가카와 딜을 하고, 추종하는 그들.  에이. 성질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e Templar Legacy는 Da Vinci Code와 비슷한 느낌이고 비슷한 테마인 르렌샤토의 보물, 그리고 성전기사단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 무엇인가 좀더 활극의 느낌이 난다.  예전에 사두고 묵혀오던 책인데, 우연히 손이 가서 읽기 시작했다.  지금은 운동하면서 틈틈히 읽고 있으니, 주말 정도면 다 읽을 듯.

 

마의 산은 여전히 진행중이다.  예전에  브란덴브로크가의 사람들을 읽을 때와 마찬가지로 초기의 진도는 느리고, 테마를 파악하는 것 또한 조금은 어렵다.  도대체 이 작가가 여기서 말하려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는데, 아직은 보이지 않는다.  그래도 이렇게 글쓰기를 연습하면서 생긴 좋은 독서습관/형태의 변화는 이런 'critical thinking'이나 'analytical thinking'인데 독서를 취미로 해왔기에 많이 연습이 되어 있지 않은 나로서는 매우 좋은 변화라고 생각된다.

 

Steve Jobs도 여전히 조금씩 읽고 있는데, 빽빽하게 차 있는 내용이 재미는 있지만, 진도를 느리게 한다.  읽을수록 이 사람이 훌륭하다는 생각보다는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 사람이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런 스타일의 사람은 타인의 생각과 행동을 조종하고, 교묘하게 덮어씌우며, 노력의 결과물을 빼앗는데 익숙하다.  또한 거의 다중인격적인, 또는 유체이탈적인 면을 자주 보이는데, 일부는 내가 알던 누구와도 닮았다.  나는 Apple의 매니아도 아니고 추종자도 아니기에 그런지도 모르겠다. 

 

하워드 진을 반 정도 읽었는데, 원래 읽던 '오만한 제국'도 마저 읽어내야 한다.  이 학자를 생각하면 두 가지가 떠오르는데 하나는, 적어도 현재의 미국이라는 나라에서는 소위 좌파지식인도 얼마든지 명문대의 교수를 하고 강연을 하며 책을 쓰더라도 정부의 탄압을 받지 않는다는 것 - 작금의 대한민국의 현실을 볼 때 생각하게 만드는 무엇이 있다.  두 번째는 개인적인 에피소드인데, 자주가는 Logos라는 책방에서 하워드 진의 서명이 들어간 책을 보고 - 책의 상태가 조금 더러웠는데, 가격은 내 기준으로 볼 때 조금 비싸다고 느꼈다 -  바로 사지 않아서 놓쳐버린 것.  친필서명이란 수집에 있어 묘한 매력이 있는 것인데.  그래도 Susan Sontag의 서명본은 사고 싶지 않다.  요즘의 나는 홀로코스트, 유대인, 이스라엘 이런 이슈에 대해 약간은 수정주의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기에 그런지도 모르겠다.  옛날에 대학생 때 레니 리펜슈탈을 비판하는 손탁의 글을 감명깊게 읽은 기억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니 말이다.

 

요즘의 독서는 나에게 꾸준한 노력을 요구하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거 결과를 뉴스로 확인했다.  그러니 힘이 쭉 빠지는 것은 단지 아직은 덜 바쁜 내 사무실 형편때문만은 아닐게다.  과연 희망이란 존재하는가?  '악재'라고 표현했다지만, 엄연히 현직 대통령, 친인척, 최측근, 및 동조세력이 합작으로 이루어낸 수많은 비리와 범법, 불법, 위법, 탈법, 편법...etc. 행위에도 총선의 투표율은 60%를 넘기지 못했다.  10.26처럼 부정선거의 결과였다면 차라리 열이라도 받을 텐데. 

 

정권심판이라는 테마와 통합, 그리고 바람직한 보수/진보를 표방하지 못하고, 전략과 기획부재, 및 구태의연으로 기존세력의 물타기에 당해버린 연합.  할 말이 없다.  희망이라면 그나마 서울과 수도권, 소위 '깨인'자들이 좀더 많다고 여겨지는 이곳에서의 결과이겠지만, 국가전복세력은 여전히 집권세력이다.  도대체, 국민 대다수가 가난해지고 있는 지금, 불만으로 가득차 있는 지금, 떨고 있는 지금, 어떻게 이런 결과가 나올 수 있을까?

 

난 항상 말해왔다.  정치는, 투표는, 결국 보다 덜 나쁜 사람을 뽑는 것이라고.  절대악은 존재할 수 있지만, 정치에 있어 절대선이란 것은 존재할 수 없다.  '우리'는 그들과 다르다가 아니라, 우리는 '그들'보다 낫다가 반-국가전복세력의 구호가 되었어야 하지 않았을까? 

 

대선의 전초전이라던 총선.  결국 이대로 가면 BBK도, 부정선거도, 4대강도, 저축은행비리도, 그 밖의 모든 것들의 배후를 밝히기는 어렵게 된다고 생각한다.  왜?  이명박근혜 이니까.  모종의 정치적인 deal이 있었다고 생각할 수 밖에 없다.  도대체 다카키 마사오의 망령과 이 귀신을 신으로 숭배하는 cult신도들은 언제 이 세계를 떠날것인가?

 

한국인들이여.  이 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민생은 60년전의 이씨때나 지금의 이씨때나 별로 달라보이지 않는다고 하면, 그 동안 자유민주의 제단에 목숨을 바친 열사들의 넋에 누가 될 것인가?  답답하다. 

 

어쩌면, 서울시장선거 이후 우리는 지쳐버린 것인가?  연일 터지는 사건소식, 압제, 뉴스조작, 여론조작, 물타기 이런것들을 보면서 장기화 될 수 밖에 없는 이 싸움에서 지쳐버린 것인지?  나조차도 이렇게 힘이 빠지지, 본토에서 힘겹게 싸움을 이어가고 있는 우리들은 더 하겠지?  하지만, 일어나자.  다시 시작하는 거다.  내일은 내일의 해가 뜰 테니까.  희망을 버리지 말아야 하겠지?  대선에서 독재자의 망령과 국가전복을 노리는 떼거지들을 한번에 쓸어 버릴 수 있도록.

 

한국의 자유민주화를 위한 시민혁명이여 실망하지 말고 앞으로 나아가자. 

 

써놓고 보니 넋두리도 이런 넋두리가 없구만...

 

PS: 하워드 진, 역사의 힘 - Howard Zinn on History - 를 읽으면서 마음을 달래고 있다.  무엇인가 내가 할 수 있는게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