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킹 던 - 나의 뱀파이어 연인 완결 트와일라잇 4
스테프니 메이어 지음, 윤정숙 옮김 / 북폴리오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이 모름지기 논 픽션도 있고 픽션도 있지만, 어느정도를 감안 하더라도 이번 책은 읽어가는 내내 정말 지루했다. 손에 쥐는 스릴러도 아니고 그렇다고 아주 깊은 로맨스도 아니고, 전작에 이은 연결고리라서 그런가... 내겐 그저 너무 허무맹랑한 이야기의 연속성을 갖게 했다. 소재 자체가 서양에서 아주 뿌리박은 뱀파이어의 이야기고 흡혈을 한다는 것 외에 진정한 사랑을 느낀 뱀파이어의 이야기라서 소재면에선 신선하다 할지라도 그렇다고 이야기가 방대하다 못해서 그것을 채우려고 너무 주위 산만하게 끌고 가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책 두께와 글씨체도 읽기 시작부터 부담이 된것도 한 몫을 했다. 인쇄면의 비용을 생각 안한고 출판하지 않을 순 없다 치더라도 말이다. 

 인간과 뱀파이어의 사이에 태어난 흔히 말하는 혼혈 잡종이 태어나고 그걸 지키려는 벨라의 모셩애, 벨라를 살리기 위한 뱀파이어들의 노력, 뱀파이어 일원이된 벨라가 자신의 초능력을 이용해서 모두를 구하는 구성은 재미가 있었다. 소설이란 것이 허구의 창작세계고,  그것으로 우리를 몰입하게 하는 글 솜씨도 작가의 어는 정도 기량이 요구되지만, 글 내용보단 나는 소재와 구성에 점수를 높이 사고 싶다. 참신한 발상이었다고 생각이된다. 기존의 냉철한  뱀파이어들의 특징을  보다 더 인간적으로 그려내고 있단 점에서다. 끝 부분에 가서 모두 해피로 끝난 것도 괜찮고... 아마 다른 독자들의 요구나 작가의 다른 구상이 떠오른다면 이번의 책이 진정한 완결편이 아닌 저 브라질에서 온 혼혈 뱀파이어와 미국의 여자 뱀파이어의 또 다른 이야기로 다른 얘기가 나올지 책장을 덮는 순간 궁금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돈 까밀로의 작은 세상 - 신부님 우리들의 신부님 7
죠반니노 과레스끼 지음, 주효숙 옮김 / 서교출판사 / 200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비록 공산주의와 종교간의 화합 할 수 없는 상징으로 대변이 되는 카밀로 신부와 빼뽀네 읍장간의 인간사의 이야기 시리즈는 읽으면서 웃음이 절로 나온다. 아무리 서로가 다른 생각과 이념을 지니고 있다 하더라도 결국엔 서로 인간들의 상화 보완된 처지를 이해하고 도움을 주고 받는 따뜻한 세상을 그리고 있어 좋다. 읽다가 웃음을 지니게 하는 것도 작가의 능력인지라, 부럽기만 하다. 종지기의 파업얘기에선 실소가 연일 터져나오고, 초등학교도 제대로 졸업하지 못한 빼뽀네의 노력과 그것을 도와주려는 신부의 노력은 참으로 각박한 시대라 할지라도 살 만한 세상이란 생각이 들게 한다. 나중에 나오는 놀이기구에서의 공포스런 상황에서도 머릿속에 그 상황이 그려진지라 웃음을 참을 수가 없었다. 작가는 타고난 유머작가가 아닐가 할 정도로... 

특정 종교를 가지고 이 책을 읽어도 좋고 그렇지 않더라도 누구나 이웃에 있는 우리네 얘기인지라 마음을 편히 갖고 읽어도 될 책이란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년의 금서
김진명 지음 / 새움 / 200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가 알게 모르게 뿌리박혀 있던 일제의 역사의식속에 살고 있고, 중국의 치밀한 역사 왜곡 계획아래 우리의 찬란하고 광활했던  영토에 대해서, 또 진지하게 "한"이라는 뜻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방식의 사건 해결 실마리를 풀어나가는 방식의 소설은 언뜻 추리 소설을 형식을 이용하면서 우리의 역사에 대한 궁금증을 알고자 하는 욕구를 만든다. 작가의 자세한 조사가 어우러져 그간 무심히 "한"이라는 것에 대한 궁금증 조차 생각지 않던 내겐 많은 생각을 하게 해 준 책이었다. 역사란 흘러가며 당대 보단 후 세대에 의해서 평가가 되어지고 살아있는 본보기가 되기에 작가의 이번 책은 좀 더 우리의 역사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키기에 부족함이 없단 생각이 들었다. 다만, 소설의 구성상 죽은 교수가 어떻게 침입을 당해서 죽었는지, 그리고 중국에서의 살인 사건  추적 과정에서 도움을 받았던 중국인의 접근성, "한"이라는 내용에 대한 발표회, 에 대한 서술 과정이 초 스피드로 행해지는 면이 있어서 조금 아쉬운 감이 없지 않다. 처음에 나온 과정처럼 천천히 좀 더 스릴을 느낄 수 있게끔 복선을 깔았더라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완전 바보 - 스물아홉 싱글 청년의 막장 연애 도전기
토미 야우트 지음, 유현주 옮김 / 뿔(웅진)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나보다 레벨이 한참 떨어지는 인간들이 귀여운 여자들과 함께 다니는 이유는 도대체 무어란 말인가. 신사 숙녀 여러분, 세상이 도대체 어떻게 굴러가고 있는 겁니까. 왜 여자들이 잘못된 신호를 보내서, 가뜩이나 힘든 남자들의 인생을 더 어렵게 만드는 일이 아직도 허용되고 있는 겁니까? 예쁜 옷을 걸치고 여기서는 ‘키스해 줘요.’라는 눈빛을 보내고, 또 저기에서는 ‘날 덮치세요.’라는 눈짓이나 해대며 돌아다녀도 괜찮단 말입니까? 어떠한 경우에도, 진심이 아니라면 그래서는 안 되는 겁니다! 아니 도대체, 섹스가 목적이 아니라면 클럽에서 생전 처음 만난 술 취한 남자 집까지 왜 따라오는 겁니까? 부엌의 포크와 나이프를 깔끔하게 정리해 주려고요? 세척기에 전용 세제를 넣어 주려고요? 아니면 냉동고를 제대로 청소해 주려고? 턱없는 소리 아닌가요! - 37쪽 중에서 

윗 글대로 주인공인 시몬은 29살을 얼마 안남기고 30을 맞이하는 독일의 청년이다. 마치 우리나라 가요인 "신 인류의 사랑"이란 노래 가사가 떠오른다. 독일식 연애담이랄 수 있는 이 책은 누구나 겪을 수있는 좌충우돌의 얘기를 하고 있다. 몸을 만들려고 헬스에 등록한  곳은 게이전용이며, 탈퇴를 하려고 해도 유효기간이 2년이 경과되야 소멸되는 곳이다. 그 곳에서 운동을 하며 건너편 스타벅스에서 일하는 아가씨에게 마음을 품고 친구인 연애 박사인 피올라에게 충고를 듣지만 그녀의 본성을 보곤 아연실색케 한 장면, 청소 도우미 크로아티아 출신 아주머니로 부터 소개를 받은 아가씨와의 어울리지않은 만남, 친구인 플릭과의  축구장 사건, 플릭과의 화해, 필에 의한 곤경에 빠지는 것 등등... 읽다보면 시몬에겐 도대체 맘 속에 이루어지고자 했던 모든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그저 허탈과 웃음의 연속으로 한숨이 나온다. 펄펄 끊는 젊은이들의 연애사고 방식, 몇 달간 이성과의 만남을 못가진 것에 대해서 오는 초조함과 주의의 반응들이 현대 젊은이들이 요즘 겪는 심리 상태를 대변해 주고 있는듯 하다. 다소 우리의 환경설정과는 다르고 그래서 몇몇 감성지수가 이해가 안된 곳도 있지만 그래도 세상은 언젠가 자신과 뚯이 맞는 상대가 있다는 희망을 안겨주고 있기도 하다. 가볍운 맘으로 읽을 수 있는 청춘 고뇌/유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돈 카밀로와 패포네
죠반니노 과레스끼 지음, 피노 마랭고 엮음 / 서교출판사 / 2009년 2월
평점 :
품절


그 동안 tv매체를 통해서만 웃음을 짓다가 간만에 통쾌하게 웃은 책이다. 이렇게 재미있을 줄은 예상을 못했기에 기대하지 않고  본 것이 정말 대박을 터트린 기분이랄까? 

반도국가란 특성이 우리나라와 비슷하고 그래서 정서도 비슷한지도 모르겠지만, 책을 엮은 피노 마랭고 란 분이 책 첫 페이지에 어릴적 생각으로 번역을 하면서도 웃었단 글을 보고 같은 나라 사람으로서 어릴 때 보았던 그 정서가 추억의 한 페이지로 장식이 됬구나 하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읽어가는 도중 짦은 얘기 속에 그토록 간결한 대화체에서 우리에게 어떨땐 심금을 울려주고 생각도 하게 만드는 잠언집 같은 책이란 생각이 들었다. 시대가 시대인 만큼 어렵고도 힘든 시대에 사상과 이념의 차이에서 오는 갈등속에서도 인간이 가진 천연의 본성을 그대로 나타내고 미울수없게 만드는 작가의 솜씨가 훌륭하다. 어두운 시대 배경이 될 수도 있는데도 굳이 심각하게 시대를 표현하지 않고 그 시대속에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활상이 아주 자연스럽게 녹아든다.  특히 "고해성사"란 내용에서 혼자 실없이 마구 웃어제낀 기분이다. 아마 누가 옆에 있었다면 실없는 사람으로 오해를 샀을만도 하다. 물론 번역가의 시대에 맞는 우리나라 어휘를 많이 사용함으로써 좀 더 가깝게 내용에 다가갈 수 있지 않았나 하는 , 새삼 번역의 힘을 느낀다. "젊은 의사의 지혜"는 이념을 떠나 의사의 본분에 대한 , 아니 그보다도 인간의 존엄성에 대해서, "로미와 줄리엣"은 그야말로 돈 카밀로 신부의 풍채나 행동이 마치 영화속 한 장면을 연상케 하는 극대화의 표현이 극에 달한다. 더운 날, 머리를 가볍게 식힐 겸 손에 들었다가 놓치기 싫은  책 중의 하나가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