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기 용이 있다
페르난도 레온 데 아라노아 지음, 김유경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중남미 소설은 거의 처음이나 마찬가지인데 책표지가 주는 묘한 신비로움, 책제목이 주는 알수없는 호기심이 이책을 읽어보게 싶게 만들었네요,,게다가 작가인 페르난도 레온 데 아라노아는 각종 영화제에서 상을 휩쓸어 영화계를 평정한 영화감독이란다.
우리나라에서도 영화감독이 독특한 자신만의 세계관으로 직접 시나리오도 쓰시고 하시니 이분의 정신세계는 어떨지 궁금했는데 ,,, [여기 용이 있다]이 책이 2015 만다라체 상을 수상했다고도 하니 어느정도 기대를 하고 보아도 좋을 듯 해요.
의심하라, 생각하라, 비틀어라 그리고 뛰어들라!
픽션이야말로 현실의 미궁에서 당신을 구원할것이다....라니 이 얼마나 멋지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말인지,,
자! 각설하고 이책속으로 달려가보자~~
저는 웬만하면 <들어가며>글은 읽지않고 막바로 책속으로 들어가는데 이책은 머리글이 너무 길고 종이책도 달리했길래 읽어보았는데 안 읽었으면 정말 큰일날뻔했다. < 여기 용이 있다 >라는 책제목에 대한 의문점이 여기에서 풀린다
중세 지도 제작자들은 항해자들에게 배를 침몰시킬 최악의 위험지대의 바다에 ' 여기 용기 있다 '라고 표시를 해 놓고 모험심을 품지 못하게 했다고 합니다,,그러니 일종의 <위험 표지판> 정도로 보면 될것 같은데 반면 그 말은 은유적으로 우리의 지식이 끝나는 그곳에서 상상이 시작된다는 뜻(P6)이기도 하다고 저자는 말하네요.
그러면서 독자들에게 이야기 한편한편을 읽을때마다 반드시 몇초간 휴식을 취한다음에 이야기들을 순서대로 천천히 읽어달라고 부탁을 하네요,,,총 113편의 단편의 이야기들이 있으니 순서대로 안 읽고 제목이 이끌리는대로 골라 읽는 독자들도 분명 있을텐데 이리 권하니 순서대로 천천히 아니 읽어볼수가 없네요.
첫번째 이야기 <전염병>부터 뭐지뭐지 상당히 독특합니다,
언어들이 전염병처럼 실종되어 죽어가는 세상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음~~ 뭐라고 해야 할지 난해하면서도 독특하네요
이어지는 113편의 모든 이야기들이 참으로 독특합니다. 이름이 같은 일곱명의 일곱개의 무덤 이야기, 두개의 심장을 가진 바렐라 가의 사람들의 이야기는 독특하면서도 독자들에게 한번쯤 생각을 해보게 하는 이야기네요,,하나는 사랑을 위한 심장, 또 하나는 미움을 위한 심장으로 한 사람에 대해 사랑과 미음울 동시에 느끼기도 하고 바렐라는 두 심장으로 동시에 두 사람을 사랑하기도 합니다, 사람들이 계속 죽어나가는 집, 잠이 오지 않는 집, 영감이 잘 떠오르는 집등 세상의 다양한 집들의 이야기도 있고, <경고>라는 글은 같은 글 같은 내용의 글이라도 다시 읽어보면 그 사이에 흐른 시간과 바뀐 공간에 따라 새로운 의미를 찾고 다른 해석, 새로운 의미로 읽힌다고 말하네요,,그러면서 저같은 같은 책을 두번은 잘 안 읽는 사람들을 위한 경고의 말도 날려주시네요.
가장 재미있게 다가왔던 글은 <소원들>이였는데,,, 유죄를 선고를 받은 사람들이 사형집행 직전에 말한 마지막 소원을 문서화시켜 분류와 통계화한것인데 그 마지막 소원이라는 것이 참,,,,변덕과 두려움, 그리고 그 와중에서 인간본성의 악함을 보여주는 소원들도 있네요,
또 가장 짧았던 길이의 글은 < 인간 >이라는 글인데,,,,, 인간은 같은 돌, 정말 똑같은 돌에 두 번씩이나 걸려 넘어지는 유일한 동물이다.( 174) 이 글이였네요.
한편한편 순서대로 천천히 읽어내려가면 처음엔 각각 아무 의미도 없던 글들이 단계적인 진행이 있고 순서에 따른 작가의 의도적인 요소가 보인다고 하는데,,,어째 나는 통~~~ 전혀 그 길이 잘 보이지 않네요
난해한 이야기들 속에 잠깐잠깐 휴식이 되는 이야기도 있고 놀라움을 주는 글도, 마지막에 반전이 살짝 주는 글도 있었지만 전체적으로는 작가가 그때그때 떠오르는 글들을 마구 적어놓은 듯한 독창적이고 난해한 글들이 대부분이였어요..
쉽게 읽히지만 전혀 쉽지 않은 글들이였네요,,짧게는 한페이지에서 제일 길게는 3페이지 정도의 짧은 글들이 210 페이지 속에 113편이 들어있습니다
스페인 영화감독 작가의 독특한 상상력의 조금은 난해한 글을 읽고 싶은 독자들이라면 읽어보시길 바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