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을 잘한다는 것 - 자신만의 감각으로 일하며 탁월한 성과를 올리는 사람들
야마구치 슈 외 지음, 김윤경 옮김 / 리더스북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병렬적 사고가 아닌 시간적 스퀀스를 바탕으로 가려진 핵심을 꿰뚫는 사람이 ‘일을 잘한다‘는 소리를 들을 것이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라져 가는 풍경들
이용한 지음 / 상상출판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라져 가는 풍경들>, 이용한 지음, 상상출판, 2020


<사라져 가는 풍경들>은 우리의 일상에서 이미 사라졌거나, 사라져가는 물건과 생활양식에 대한 박물지이다. ‘사라지는 것을 막자거나 옛 것으로 돌아가자고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예전에 이러한 것이 있었음을 추억과 함께 기록하고 있다.


볏집을 올린 초가집, 억새를 올린 샛집, 나무를 쪼개 얹은 너와집, 평평한 돌을 얹은 돌너와집, 참나무 껍질을 얹은 굴피집 등 지붕에 얹은 재료로 다양하게 불리던 집들. 모두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비바람 피하고, 여름은 시원하게 겨울은 따뜻하게 지내기 위한 지혜가 담겨있었고, 집의 재료와 외형으로 주변 환경과 생활 양식을 엿볼 수 있었다.


집 뿐만 아니라 떡메, 삼베, 등잔, 무명, 참빗, 죽부인, 한주, 쌀엿, 메주 등 편리하고 저렴한 물건에 대체되어 사라져가는 것도 담고 있다. 과거 미신이라며 없앤 민간 신앙도 담고 있는데, 다른 문명의 민간 신앙인 그리스-로마 신화나 북유럽 신화와 별반 달라 보이지 않았다. 그럼에도 제우스, 헤라클래스, 포세이돈, 디오니소스, 토르, 오딘은 친숙하고 익숙하게 느끼면서도 삼신할매, 성주신, 조왕신, 터주신은 낯설게 느껴지는 것은 우리 신화는 미신이라는 내 무의식적 편견이 작용한 때문인 듯 하다.


말과 글을 통해서 나르시시즘이나 판도라의 상자니 그리스-로마 신화를 인용하곤 했는데, 이런 이야기의 원형은 우리 신화에도 있지 않을까 싶어, 우리 신화에 대한 호기심이 생겼다. 무의식적 편견은 직접 접하는 것으로 상당 부분 깨진다고 하니 언젠가 우리 신화도 이야기의 원형으로 비유되지 않을까 싶다.


옛 사람들은 집안에 신이 깃들어 있다고 믿었다.
집안에 거처하는 여러 신 가운데 으뜸은 성주로,
집안의 중심인 대청마루에서 집안 전체의 운과 복을 관장한다.(
)
안방에는 아기를 점지해 주고, 생명을 돌보는 삼신할매가 깃들어 있었다.()
부엌에는 불과 재물을 관장하는 조왕신이 기거한다.()
집의 출입구인 대문에는 수문장신이 지킴이 노릇을 한다.()
집 뒤란에도 집터를 관장하는 터주신이 깃들어 있다고 여겼다.
터주신은 장독대 근처에 모시는데 일반적으로 짚주저리를 세워 신체를 삼는다.
이것을 터주가리 혹은 터줏대감, 토지막이라 부른다.
장독에는 자식의 건강을 돌보는 칠성신이 깃들어 있다.(
)
뒷간은 측신이 가족을 보고하고 관장하는 곳이다.()
옛날 우리에게 집이란 사람과 신이
한데 어울려 공존하는 공간이나 다름없었다.(241~244)


사라져 가는 것은 풍경, 물건 등 눈에 보이는 것만은 아닌 것 같다. 물건을 비유하며 사용했던 말과 함께 사라지는 것 같다. 등잔의 심지를 두개 켠다는 의미의 쌍심지 켠다가 화가 나 두 눈을 부릅뜨는 모양을 일컫는 말로도 사용되었다고 한다. 꽤 어린 시절에는 종종 듣고 쓰던 말이었는데, 이제는 쉽게 들을 수 없는 말이다. 등잔이 사라진 후에도 남아있던 단어이지만 이제는 그 단어 마저도 사라져 간다.


물건을 사라졌지만 다른 의미로 여전히 남아있는 말도 있었다. 키로 알곡을 까부르는키질에서 유래했다는 까불다라는 말도 키질과 함께 까부르는것은 사라지고, 까불대는 동작만 남았다. 다른 예로는 맷돌의 손잡이인 어처구니’, ‘어이도 물건은 사라지고 어처구니 없다’, ‘어이 없다같이 말만 남았다.


보통 등잔에는 외심지를 썼지만, 환하게 불을 밝히기 위해 간혹 쌍심지를 켜기도 하였다.
옛말 가운데눈에 쌍심지를 켠다는 말은 바로 여기에서 비롯된 말이다.(120)


우리말에 까불다라는 말이 있다.
경망하게 행동하거나 촐싹대는 모양을 일컫는 말인데,
이 말도 키질의 까부르다에서 온 말이다.
팔랑팔랑 키질하는 모양도 모양이거니와 키질을 하게 되면 검불이나 쭉정이가
마구 튀는 것이 사람의 경망한 행동을 닮았다고 보았던 것이다.(127)


도시에서 나고 자라서 <사라져 가는 풍경들>에 기록된 물건들에 추억이 깃들어 있지 않아 아련함이나 아쉬움이 있지 않지만 우리 신화나 우리 말의 어원에 남아 있는 옛 것에 대한 호기심이 생겼다.


사실 이 세계는 무수한 사라짐 속에서 구축된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 주변에 엄연히 존재했던 그것들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는 것들이다.(5)


* 해당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제공받았으며, 제 주관에 따라 솔직하게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인생을 바꾼 한 권의 책 - 부와 행복의 길로 이끌어준 46가지 깨달음
잭 캔필드.게이 헨드릭스 지음, 손정숙 옮김 / 리더스북 / 2020년 12월
평점 :
품절


<내 인생을 바꾼 한 권의 책>, 잭 캔필드/게이 헨드릭스 지음, 손정숙 옮김, 리더스북, 2020

 


신영복 교수는 세상에서 가장 먼 여행이 머리에서 가슴까지, 그리고 가슴에서 발까지의 여행이라고 했다. 머리로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보다 실천하고 행동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책을 읽으면 몰랐던 사실에 대해서 깨닫는 부분도 있고, 알고 있지만 놓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새삼 깨닫게 된다. 책을 읽을 때는 이것도 하고 싶고 저것도 하고 싶다는 마음이 들다가도 막상 책을 덮으면 다시금 언제 그랬냐는 듯 기존의 생활을 되풀이한다.


 

가끔 주변에서 인생의 책이 무엇이냐고 물어오곤 한다. 사실 내가 읽은 모든 책이 오늘의 나를 만들었다는 생각에 모든 책이 인생의 책이라 답하고 싶지만, 묻는 사람의 기대를 저버리는 현문우답이란 생각에 애써 한 권을 골라 설명한다. ‘인생 최고의 날은 아직 오지 않았다는 말을 차용해 인생의 책은 아직 읽지 않은 책이라고 이야기하곤 했다.


 

한 권의 책으로 인생이 바뀔 수 있을까 의문을 가졌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내 인생을 바꾼 한 권의 책>을 통해 단 한 권의 책으로도 인생이 바뀔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내 인생을 바꾼 한 권의 책>을 소개한 46명은 인생의 변곡점에서 우연히 만난 한 권의 책으로 인생이 바뀌었음을 증언하고 있다.


 

 

마침내 넌 할 수 없어라고 말하는 이들 말고
내가 밟아가야 할 바람직한 단계를 제시해주는 사람들을 만난 셈이었다.
그들의 격려 덕분에 과거에는 해내지 못했던 어려운 공부를 해냈다.
그들은 아무것도 보장해주진 않았지만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꿔주었다.
내 태도도 변했다.
이제 나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자 희망이 생겼다
-
루디 루티거 (30)

 


나도 또한 낮은 자존감, 열등감, 두려움 등 내 몫의 악마와 싸우고 있음을 깨달았다.
내가 맞닥뜨린 가장 악랄한 악마들은 내 정신 속에 있었던 셈이다.
-
다이엔 윌슨 (38)


 

꾸밈없이 내 인생을, 하루를, 이 순간을, 지금 앉아 있는 이곳에 비치는
태양의 아름다움을 곱씹으며 나는 만족한다.(
)
내 인생 경험에서 두 가지만은 분명하게 말할 수 있다.
첫째, 우리 인생이 앞으로 어떤 모습일지는 아무도 모른다는 것.
둘째, 자신의 인생을 받아들이고 계속 앞으로 나아가겠다고 마음먹었다면
항상오케이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
-
다이엔 윌슨 (48)

 


나 스스로에게 끊임없이 물었다. 이게 가치 있는 일인가?
질문에 대한 대답이 항상 같지는 않았다.
내가 이렇게 노력해봐야 무슨 소용이랴 싶은 날도 분명 있었고,
정말 이게 가치 있는 일인지 자문하는 날도 있었다.
어찌 되었든 결론은 이게 내 일이라는 것이었다.
-
웨이프 에스퀴스 (90)


 

사막을 어떻게 건너야 할지는 몰랐지만
첫발을 어떻게 내딛는지는 알았다.
-
아밀리아 안토네트 (138)


 

첫째, 내가 목표를 분명히 설정하지 않았다는 것.
둘째 종종 다른 사람들에게 비생산적으로 보이면 어쩌나 하는
죄책감에서 일하고 있었다는 것.
셋째, 내 삶이 너무도 일사분란하게 조직화되어
익숙하지 않은 것을 대하면 두려움에 빠지게 됐다는 것이었다.
이런 습성들은 압도적인 힘으로 내게 성공을 가져다주었지만
나의 영혼과 정신을 파괴하고 있었다.
-
팀 페리스 (158)


 

그는(빅터 프랭클) 실제로 많은 시간을 행복 속에서 보냈다.
우리의 행복이 외부 환경에 좌우되지 못한다는 것을 알았기에 가능한 일이다.
행복이란 선택의 문제일 뿐이었다.
-
도린 버추 (162)


 

다른 사람에겐 어려운데 내겐 쉬운 것이 무엇인가?
돈을 벌지 못해도 오랫동안 하고 싶은 일이 있는가?
대답이 나왔다면 그것을 바탕으로 주변 사람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스스로에게 이런 질문을 던져보니 사업 아이디어가 쉽게 떠올랐다.
-
파라 그레이 (171)


 

인생을 바꾼 책이라고 하면 고난을 행복으로 바꾼 책이라 생각하겠지만, 막스 에델만은 행복을 고난으로 바꾼 책도 있음을 이야기한다. 2차 세계대전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막스 에델만은 히틀러가 쓴 <나의 투쟁>이라는 책 한 권으로 행복한 일상을 죽음의 공포로 바꾸었다고 이야기한다. 당시 유대인에 대한 차별은 히틀러의 제3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민주 국가에도 있었음을 깨닫는다. 지금 난민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과 다르지 않아 더욱 가슴 아팠다.


 

히틀러가 당긴 유대인에 대한 증오의 불길이 마구 번져나가면서
내 고향 마을에서도 유대인을 겨냥한 물리적 공격이 눈에 띄게 잦아졌다.
삶은 점점 더 견디기 버거워졌다.
우리 가족은 왜 떠나지 않았느냐는 질문을 종종 받는다.
우리도 떠나려 시도했지만 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었다.
전 세계 민주 국가들이 유대인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대안이라곤 조상의 땅인 이스라엘로 돌아가는 것이었지만
이마저도 꿈 같은 희망 사항이었다.
수백만 명의 다른 유대인들처럼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우리 가족도 포로가 되고 말았다.
-
막스 에델만 (204)


 

자유의 몸이 된 데 대한 감사도 잠시,
나는 곧 자기 연민에 빠지고 말았다.
풀려났으니 다행이야, 그래 좋아. 하지만 난 장님이 됐잖아
내 동생을 빼곤 우리 가족도 모두 사망했다.
나는 혼자나 마찬가지였다. 너무 두려웠다.
포로수용소에서 늘 따라다녔던 죽음의 공포보다
눈앞에 놓은 삶이 더 무서웠다.
나는 살아남은 소수의 행운아였지만
히틀러의 책이 불러일으킨 참상은 평화가 찾아온 이후로도
계속해서 나를 파괴하려 들었다.
-
막스 에델만 (206)


 

헬렌 켈러는 이렇게 썼다.
교육의 가장 숭고한 결과는 관용이다.
물난리와 천둥 번개도, 도시를 파괴하는 자연의 잔인함도,
관용을 잃어버린 편협한 한 사람이 자행하는 파괴력에 미치지 못한다.
그는 수없이 많은 귀중한 목숨과 삶을 인류에게서 앗아간다.”
-
막스 에델만 (208)


 

아직 읽지 않은 내 인생의 책을 위해 오늘도 열심히 책을 읽어야겠다고 다짐하며, 머리로 이해하고 가슴으로 공감하는 것들을 실천하고 행동하고자 다짐한다.


 

* 해당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제공받았으며, 제 주관에 따라 솔직하게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인생을 바꾼 한 권의 책 - 부와 행복의 길로 이끌어준 46가지 깨달음
잭 캔필드.게이 헨드릭스 지음, 손정숙 옮김 / 리더스북 / 2020년 12월
평점 :
품절


한 권의 책은 가볍지만, 한 사람의 인생을 바꿀 만큼 결코 가볍지 않다. 인생의 변곡점이 필요하다면 이 책부터 읽어도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 개의 죽음이 내게 말해준 것들
고칸 메구미 지음, 오시연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 개의 죽음이 내게 말해준 것들>은 죽음이 두려운 것만은 아니라 죽음에 대한 대비를 통해 그저 평범한 일상을 특별하게 만들고, 삶을 보다 겸허하게 받아들이게 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