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리셋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필수 무기, 셀프 트랜스포메이션
심효연 지음 / 상상출판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은 재료로 가득 차려진 밥상인데 정작 맛이 없고, 돌아서니 배고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일을 위한 내 일 - 일 잘하는 여성들은 어떻게 내 직업을 발견했을까?
이다혜 지음 / 창비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일을 위한 내 일>, 이다혜 지음, 창비, 2021

 


<내일을 위한 내 일>은 영화 전문 기자 이다혜가 일하는 여성들과 만나 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그 내용을 묶어 낸 인터뷰집이다. 영화감독 윤가은, 배구 선수 양효진, 바리스타 전주연, 작가 정세랑, 경영인 엄윤미, 고인류학자 이상희, 범죄심리학자 이수정을 만나 어떻게 내 직업을 갖게 되었는지를 묻고 답한다.

 


작가는 인터뷰이들이 일을 시작하거나 만들고, 때로는 멈추거나, 우회하고, 옮기거나 그만두는 등 모두 자기 방식으로 내 일을 찾기까지의 과정을 과장된 성공담으로 미화하지 않고 가감 없이 전하기 위해 애쓴 노력이 보인다.

 


진로 고민을 평생 하게 될지는 몰랐다.
'
장래희망'란을 채우던 중학생 때, 고등학생 때 상상했던
삼십 대나 사십 대는 모든 게 정해져서 권태로운 시간이었다.
살아있는 동안 끊임없이 내 일, 내 자리를 근심하고
발명하며 살아야 할 줄 몰랐다.
어른들은 늘 모든 문제에 확신을 가진 사람들로 보였으니까.
이제 알겠다.
확신이 있어서가 아니라, 스스로 확신하는 제스처 없이
버티기가 힘든 시간이 올 수 있다는 걸.
좀 알겠다 싶어질 때면 기반이 흔들리는 일이 생긴다.
기회인 줄 알고 잡았던 것은 형체가 없었다.
불운인 줄 알고 주저앉아 울면서 꾸역꾸역 한 일이 쌓여서
후일 큰 성취의 든든한 기반이 되기도 했다. (4~5)


저자는 서문에 이제 첫발을 떼는 청소년들에게 이 책을 바치고 싶다고 했다. 때론 지나치게 평범하게, 때론 지나치게 비범한 인터뷰이의 내일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청소년 뿐만 아니라 나의 자리가 어디인지 고민하는 모두에게 위로가 되기도 하고 길잡이가 되어주기도 한다.


 

저는 영화감독이 되고 싶다고 바라기만 하던 시간 동안
고민이 정말 많았는데 그걸 나누는 방법을 잘 몰랐어요.
마음이 늘 아픈 상태로 지낸 거죠.
너 혼자만 그런 거 아니야 괜찮아.
괜찮을 거고, 괜찮아질 거야. 하는 이야기를
저에게 하려고 영화를 만든다는 걸 깨달았어요.
-
영화감독 윤가은 (40~41)

 


내가 가진 것으로 인해 누군가가 긍정적인 생각을
한 번이라도 더 하게 된다는 건 중요한 가치죠.
월드 바리스타 챔피언십은 제 개인적인
욕심으로 시작한 일이지만, 외국에서 일하는
한국인 바리스타들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됐고,
모모스커피의 직원들도 일하기 편해졌고,
스페셜티 커피의 원두를 생산하는 분들도 고맙다고 말씀해 주세요.
뭐가 가장 좋다고 하나를 꼽기는 힘들지만
개인적인 목표로 시작한 일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이어져 기뻐요.
-
바리스타 전주연 (107)

 


아웃풋이 안 될 땐 아웃풋만 어떻게 해 보려고 하는데
인풋을 조정해야 맞아요.
일주일 동안 아무것도 안 나온다 하면
과감히 쓰는 걸 아예 그만두고
관련해서 책을 읽고, 영화를 보고, 다큐를 보고, 현장을 방문하고,
그 업계에 있는 사람을 만나고,
그런 작업을 하면 금방 풀리는 것 같아요.
-
작가 정세랑 (125)

 


우리가 아무것도 아니라는 게 이상한 위안을 줘요.
멸종과 새로운 종의 탄생이 진화의 원동력이니까.
인간의 멸종도 당연한 과정이라고 보거든요.
인간이 오래 존재해 왔다고 생각하지만
지구의 관점에서는 그렇지만도 않아요.
최소한 갈 때는 깨끗하게 가야 하지 않을까.
지구를 살려 내야 하는 책임이 지금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있다고 생각한다면 너무 나쁘고 무책임해요.
-
고인류학자 이상희 (172)

 


200쪽이 조금 더 되는 소책자 임에도 밑줄 긋고 싶은 문장이 참 많았던 책이다. 작가의 말 처럼 좋은 일과 나쁜 일이 번갈아 온다는 것’, ‘실패한 뒤 방향을 바꾸는 일은 부끄러워할 일이 아니라는 것을 기억하며 내일의 경력을 위해 오늘을 열심히 살기로 다짐해 본다.


 

* 해당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제공받았으며, 제 주관에 따라 솔직하게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틸 스탠딩
래리 호건 지음, 안진환 옮김 / 봄이아트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틸 스탠딩>, 래리 호건/엘리스 헤니칸 지음, 안진환 옮김, 봄이아트북스, 2020


 

<스틸 스탠딩>은 미국 메릴랜드 62대 주지사 래리 호건의 정치 인생사를 담은 자서전이다.


 

미국 동부에 위치한 메릴랜드 주는 미국 수도 워싱턴DC를 감싸고 있고, 서쪽과 남쪽으로는 웨스트버지니아 주, 버지니아 주와 접해 있고, 동쪽으로는 델라웨어 주, 북쪽으로는 필라델피아 주와 접해 있다.


 

주지사 래리 호건은 공화당 소속이지만, 연방 상원/하원, 주 상원/하원 모두 민주당이 절대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주에서 래리 호건은 공화당 소속으로 주지사에 당선되었고, 재선에 성공했다. ‘메릴랜드 주 242년 역사상 두 번째로 재선에 성공한 공화당 주지사가 되었다.


 

래리 호건의 정치 인생사를 보면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드는 사람이란 생각이 든다. 메릴랜드는 전통적 민주당 텃밭이기에 공화당 내에서도 당선 가능성이 낮은 주로 분류했다. 2014년 주지사 선거에서 래리 호건은 기업인 출신의 인지도 낮은 공화당 신인 정치인이었고, 상대는 민주당 출신 현식 부주지사였다. 선거 비용은 민주당 후보는 1,830만 달러를 모금했고, 래리 호건은 공공 자금 260만 달러였으며, 주민의 대다수가 민주당을 지지하는 상황에서 공화당 주자사의 당선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나는 속으로 되뇌었다.
적어도 승산이 없는 것은 아니라는 믿음이 생기지 않는 한 출마하지 않는다.’
그러면서 오몰리 주지사의 지지율 하락 추세와
그들의 잘못된 행정을 질타하는 3분의 2에 달하는
여론의 추이를 계속 살펴보았고,
선거에서 승리를 거둘 수도 있겠다는 확신이 들기 시작했다.
나는 또한 가능성이 희박한 후보자들이
항상 스스로 되뇌는 무언가에 의지하기 시작했다.
누군가는 앞에 나서서 적어도 이러한 문제에 대해 말하고
합당한 논거를 제시해야 한다.
(96~97
)


 

우리는 공화당 표는 모두, 무당파 표는 거의 전부,
그리고 민주당 표에서도 상당한 수를 획득해야 한다는 얘기였다.
이는 우리가 단 한 차례의 실수도 없이 게임을 주도하는 가운데
모든 것이 제대로 맞아떨어질 때 승리를 거둘 수 있다는 의미였다.(140)


 

그러나 래리 호건은 스스로 한계를 설정하지 않고, 공화당은 물론 민주당원과 무당파 유권자의 득표를 위해 직접 주민을 만나 메시지를 전달한다. 현직 주지사의 경제와 세금 정책 실정을 이야기하고 메릴랜드의 변화를 위해 자신을 선택해 달라고 호소한다. 이 호소가 받아들여져 래리 호건은 51%48%로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들었다.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든건 이뿐만이 아니다. 2016년 비호지킨 림프종 3기를 진단 받는다. 주지사직을 유지하며 항암치료를 받아 도 이겨냈다.


 

한계란 누가 정해주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정하는 것이란 생각이 든다. 눈 앞에 닥친 난관을 스스로 한계라 규정 짓고 물러서며 주변 환경 탓, 남 탓만 한 것은 아닌지 돌아보게 된다. 불가능이라 믿으면 어떤 일도 가능하지 않지만, 남들이 보기에 불가능에 가까운 일일지라도, 스스로 확신을 갖는다면 가능으로 만들 수 있음을 되새긴다.


 

I was in my early forties(고작 사십 대 초반이었지)
With a lot of life before me(
살 날이 많이 남았었는데)
And a moment came that stopped me on a dime.(
갑자기 삶을 멈추는 순간이 찾아왔네)
(
)
Someday I hope you get the chance(
언젠가 당신도 기회를 갖게 되기를 바라)
To live like you were dying.(
곧 죽을 사람처럼 살게 될 기회를)
-
팀 맥그로의 노래 <Live Like You Were Dying> 중에서

(293~295
)


 

https://www.youtube.com/watch?v=_9TShlMkQnc


 

* 해당 도서는 무상으로 제공받았으며, 제 주관에 따라 솔직하게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틸 스탠딩
래리 호건 지음, 안진환 옮김 / 봄이아트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곧 죽을 사람처럼 살게 될 기회를‘ 알려준 ‘호건 스트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디자이너가 마케터로 산다는 건 - 프로 일잘러를 위한 디자인과 마케팅 공존라이프
장금숙 지음 / 이담북스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디자이너가 마케터로 산다는 건>, 장금숙 지음, 이담북스, 2021


 

40대에 접어 들고부터 인생을 반추하는 일이 잦아졌다. 앞으로의 남은 인생은 시행착오를 줄이고 싶은 마음 때문인 것 같다. 막연한 기대감만으로는 다가올 미래가 장밋빛이 아님을 알게 되어 자꾸만 뒤돌아 보는 것 같다.


 

15년을 한 회사에서 근무하다 보니 이 직장 생활의 종착지가 어디일지, 종착지에 선 나의 모습은 어떤 모습일지 궁금해지곤 한다. 준비 없는 은퇴는 하지 않겠다고, 인생 2모작을 준비하겠다고 다짐했지만 무엇을 심고, 어떻게 키워갈지 정하지 못한 채 그저 어제와 같은 일상을 채워가고 있었다.


 

이런 와중에 <디자이너가 마케터로 산다는 건>은 어두컴컴한 골목길을 비추는 밝은 가로등처럼 반가웠다. 이 책은 20년 차 성공한 배테랑 디자이너가 어느날 준비없이 마케터가 되어 고군분투 끝에 마케터로서도 실력을 인정받는 과정을 가감없이 풀어 놓은 실용서이다.


 

디자이너와 마케터로 근무하는 이들에게는 당장 적용할 수 있는 업무 스킬부터 직업인으로서 가져야 하는 마음가짐과 철학까지 실제 업무에 도움이 되는 내용들로 채워져있다. 지금 나는 디자이너도 마케터도 아니기에 실제 업무에 직접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인생의 터닝포인트를 준비해야 하는 시점에 나의 과거를 어떻게 복기하고 앞으로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알려주는 길잡이와 같았다.


 

어떤 일이든 일관성이 중요해요.
장부장님은 항상 저녁 회식에 참석이 힘들다는 걸
모두가 인지하면 그런 요구가 줄어들고,
그걸 처음에는 좋게 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점점 이해하게 될 거예요.
사람들은 헷갈리지 않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요.
그냥 그런 사람으로 사세요.
자신감 있게, 저녁에 일찍 집에 가는 사람으로,
그게 뭐 어떻지요? 왜 그걸 문제라고 생각하시나요?
회사뿐 아니라 아이에게도 좋은 엄마가 되고 싶은
장 부장님의 사실 그대로의 모습인걸요.
회사보다 딸이 중요한 건 당연한 거예요.
그걸 문제 삼는 회사라면 내가 이런 회사를
계속 다녀야 하는지 고민해봐야지요. (279)


 

<디자이너가 마케터로 산다는 것>은 남이 인정하는 성공보다는 스스로 정의하는 성공이 더 의미 있음을 일깨운다. 내 직장생활도 다른 이의 기준으로 자타공인 실력을 인정받는 것이라면 아직까지, 아니 앞으로도 성공이라 인정 받기 어려울 수도 있지만 내 기준으로 정의한 성공에는 많이 근접해가고 있다.


 

누구나 인생 1막에서는 힘도 있고 에너지도 넘치니 오랜시간 일하고
돈도 많이 버는 일을 하게 되지요.
하지만 인생 2막에서는 좀 다른 선택이 필요해요.
아무래도 힘도 약해지고 에너지도 부족하니
가능하면 일하는 시간을 줄이면서
돈을 많이 벌려고 하기보다는
건강을 챙기는 쪽으로 방향을 바꾸는 것이 좋아요. (중략)
그건 지금부터 준비해야 해요.
나이가 많이 들어서 준비하려면 아무래도 생각도 잘 나지 않고,
준비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니,
지금 내가 해야 하는 업무가 5가지라고 했을 때
나의 인생 2막을 준비하는 일은 6번째 프로젝트로 생각하고
매일 조금씩 준비하는 거예요.
가능한 내가 재미있게 할 수 있는 일이면 더 좋겠지요?
그리고 그런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에 대해서 잘 알고 있는 것도 중요해요.
남들이 생각하는 나의 모습도 중요하지만
진정한 나의 모습이 무엇인지,
그리고 나와 잘 맞는 일이 무엇인지를 알고 있으면
훨씬 도움이 돼요. (280~281 )


 

<디자이너가 마케터로 산다는 것>은 현직 디자이너와 마케터는 물론 모든 직장인에게도 성공한 직장 생활의 기준을 스스로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와 같이 과거의 직장생활을 과감없이 기록으로 남기는 일도 흥미롭고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 해당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제공받았으며, 제 주관에 따라 솔직하게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