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첼 레스닉의 평생유치원 - MIT 미디어랩이 밝혀낸 창의적 학습의 비밀
미첼 레스닉 지음, 최두환 옮김 / 다산사이언스(다산북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생유치원』, 미첼 레스닉 지음, 최두환 옮김, 다산사이언스, 2018

MIT 미디어랩 레고-페퍼트 석좌교수 미첼 레스닉은 지난 천 년의 가장 위대한 발명품은 유치원이라고 이야기한다.

프리드리히 프뢰벨이 1837년 독일에서 처음 유치원을 개원하면서 이전 교육 방식인 강의형 교육 모델에서 탈피하여 교감형 교육 모델로 전환하였고, 이를 통해 창의적 학습이 가능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창의적 학습을 위해서는 지금의 학교는 물론 우리의 생활 전반이 유치원처럼 변해야 한다는 것이다.

창의적 사고를 위해서는상상창작하고, 반복된 놀이과정으로 더 많이 시도하고, 이를 다른 아이들과 공유함으로써 생각을 넓히고, 이렇게 넓혀진 생각을 바탕으로 다시 상상을 시작하는 창의적 학습의 선순환이 필요하다고 한다.

이러한 창의적 학습을 위해 저자가 개발한 창의적 학습의 4P’를 소개하고 있다.

창의적 학습의 4P, 프로젝트(Project), 열정(Passion), 동료(Peers), 놀이(Play)로 아이들이 놀이(Play)’하는 것처럼 즐거운 마음으로 동료(Peers)’들과 협력하여 프로젝트(Project)’열정(Passion)’을 가지고 빠져들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스크래치(scratch) 온라인 사이트(https://scratch.mit.edu/)를 개설했다고 한다.

아이디어를 생각하는 것으로 그치지 말고, 직접 프로젝트를 만들고, 문제가 발생하면 다른 동료들과 적극적인 공유를 통해 해결하는 과정을 놀이로 즐기는 과정에서 창의성이 발현된다는 점은 이해가 된다.

다만, 스크래치라는 온라인 공간에서 통용되는 방식이 실생활에서 접하는 문제상황에서도 통용이 될지는 의문이다. 사회 전반의 분위기가 이러한 창의적 시도들을 기다려 줄 인내력과 포용력이 있는지 확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에서는 자칫 온라인 게임과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오락의 기능으로써만 작용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우려도 든다.

어쩌면 내가 이와 관련하여 비전공자이기에 코딩에 대한 이해, 프로그램에 대한 지식이 없어, 저자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를 온전히 이해하지 못한 것일 수도 있다.

온라인 상의 프로그램인 스크래치를 텍스트 위주로 기술을 하다 보니, 온전히 이해가 되지는 않았다. 프로젝트 참여자로 인터뷰가 실린 사례들의 제작과정이나, 결과물들을 사진이나 그림과 함께 설명되었다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가 이야기하는 것과 같이 아이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은 생각하는 것에 그쳐서는 발현되지 않고, 직접 만들고, 시행착오를 통해 문제 해결하는 과정에서 상상력과 창의력이 발현된다는 점에는 동의한다.

틀릴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당신은 결코 창의적인 일을 할 수 없다. 실수가 최악의 상황이라고 정의하는 교육시스템 아래서는, 도리어 사람들의 창의적 역량을 빼앗는 교육만 가능할 뿐이다”(켄 로빈슨)(279)

또한 교육제도와 학교의 교과과정이 변하지 않으면 상상력과 창의력 발현은 실현 불가능하다는 점도 동의한다. “19세기에 만들어진 학교 시스템에서 20세기의 선생님들이 21세기 아이들을 가르치는상황이 모순적일 수밖에 없다. 21세기 아이들은 21세기의 방식으로 교육해야 하지 않을까?

아이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제약하는 학교를 비판한 로리스 말라꾸찌의 시 『백 가지 언어』를 소개하고, 학생, 학부모, 교사, 디자이너, 개발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아이는

The child has

백 가지 언어와

a hundred language

백 가지 손과

a hundred hands

백 가지 생각과

a hundred thoughts

백 가지 방식으로

a hundred ways of thinking

놀고, 이야기 한다

of playing of speaking.

아이는

The child has

백 가지 언어를 가지고 있지만

a hundred language

(그리고 수백 수천 가지 더)

(and a hundred hundred more)

99가지를 도둑맞는다.

but they steal ninety-nine

학교와 문화라는 것이

The school and the culture

몸에서 머리를 분리하고는,

separate the head from the body.

아이에게 이렇게 말한다

They tell the child:

손 없이 생각하고

to think without hands

머리 없이 행하고

to do without head

듣되 말하지 말고

to listen and not to speak

기쁨 없이 이해하라고.

to understand without joy

사랑하고 경탄하는 것은

to love and to marvel

오직 부활절과 크리스마스에만 하라고

only at Easter and at Christmas.

학습자를 위한 열 가지 도움말

1. 간단하게 시작하라
2.
좋아하는 것을 해라
3.
뭘 할지 모르겠으면 이렇게 저렇게 해봐라
4.
실험해보는 것을 두려워하지 마라
5.
같이 할 친구를 찾고, 아이디어도 공유해라
6.
남의 것을 모방해 아이디어를 얻어도 괜찮다
7.
아이디어를 기록으로 남겨라
8.
만들고, 분해하고, 그리고 다시 만들어보라
9.
많은 일이 잘못되어도 포기하지 마라
10.
자신만의 학습 도움말을 만들어라

학부모와 교사를 위한 열 가지 도움말

1. 상상 : 아이디어를 불러일으킬 예제를 보여줘라
    2.
상상 : 어질러보라고 권하라
    3.
창작 : 여러 다양한 재료를 제공하라
    4.
창작 : 뭘 만들든지 받아들여라
    5.
놀이 : 결과가 아닌 과정을 강조해라
    6.
놀이 : 프로젝트하는 시간을 늘려라
    7.
공유 : 엮어주는 역할을 하자
    8.
공유 : 협력자로 참여해라
    9.
생각 : 본질적 질문을 해라
    10.
생각 : 자신의 생각을 공유해라

디자이너와 개발자를 위한 열 가지 도움말

1. 아이들이라는 디자이너를 위해 디자인해라
2.
낮은 문턱과 높은 천장을 제공하라
3.
벽을 넓혀라
4.
흥미와 아이디어를 서로 연결하라
5.
단순함이 우선이다
6.
디자인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을 깊이 이해해라
7.
자신이 사용하고 싶은 것을 만들어라
8.
관련 분야의 소규모 디자인 팀을 구성해라
9.
주체적으로 디자인하되, 여러 사람의 이야기도 들어라
10.
반복하고, 반복하고, 또 반복해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흔에게 (반양장) - 기시미 이치로의 다시 살아갈 용기에 대하여
기시미 이치로 지음, 전경아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흔에게』, 기시미 이치로 지음, 전경아 옮김, 다산초당, 2018

기시미 이치로라고 하면 생소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미움받을 용기』는 대부분 알 것이다. 2015년 출간과 함께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2015년 최대의 화제작이 되었다. 그런 기시미 이치로가 3년 만에 신작 『마흔에게』를 내놓았다.


전작 『미움받을 용기』는 오스트리아 출신 정신의학자 알프레드 아들러의 용기의 심리학을 바탕으로 행복한 인생을 살기 위한해답을 제시했다고 하면, 신작 『마흔에게』는 나이 들면서 겪게 되는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 문제를 원만히 해결하고, 가치 있는 삶을 살 수 있도록 아들러의 심리학은 물론, 일본 철학자 미키 기요시의 사상을 바탕으로 저자의 경험과 함께 풀어내고 있다.


나이 마흔. 인간의 평균 수명이 80세인 요즘을 기준으로 인생의 정점이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정점을 향해 필사적으로 페달을 밟아 왔지만’, 앞으로의 내리막길은 짐을 내려놓고 가볍게 즐기자고 저자는 말한다. , ‘인생, 내리막길이 최고라는 것이다.


인간의 가치를 생산성으로 재단하지 말고, 살아 있는 것만으로 타인에게 공헌할 수 있는 그 자체로 가치가 있기에 경쟁을 의식하지 않고, ‘가치 있는 나를 위해 과제에 도전하는 용기인간관계를 맺는 용기를 갖길 권한다.


인간은 누구나 혼자서 살 수 없습니다. 타자에게 도움이 되는 공헌감은 행복의 초석이며 살아가는 힘이 됩니다. 그리고 지금 여기를 산다는 건 아직 이 세계에 해야 할 일이 남아 있다는 뜻입니다.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일을 생각해보면 분명히 행복을 실감할 수 있을 겁니다.”


또한 과거를 후회하거나, 미래를 불안해 하지 말고, ‘지금 하고 싶은 것, 할 수 있는 것은 지금하며 지금, 여기에 사는 기쁨을 만끽하자고 말한다. ‘다람쥐가 잊은 도토리가 숲이 되듯이’…


잊어버려도 됩니다. ‘지금, 여기’를 충실하게 사는 것이 풍요로운 숲을 만들고, 다음 세대의 양식이 되는 도토리를 만든다고 생각하면 과거를 생각하고 후회하거나, 미래를 생각하고 불안해질 필요가 없습니다.”


배우자와 자녀, 부모님과의 관계에서, 그리고 직장 동료, 후배와의 관계에서 갈등을 겪고 있거나, 인생의 성공을 위해 필사적으로 페달을 밟아심신이 지친 이들에게 기시미 이치로의 『마흔에서』는 내리막길즐길 수 있도록 안내해 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시 자본을 읽자 북클럽 자본 시리즈 1
고병권 지음 / 천년의상상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르크스의 《자본》은 나에게 언제나 넘사벽이었다. 그런데 철학자 고병권의 《다시 자본을 읽자》가 북펀드로 진행된다하기에 망설임없이 구매했다. 이제야 넘을때가 된 것 같다. 벽은 깨라고 있는 것이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계비용 제로 사회 - 사물인터넷과 공유경제의 부상
제러미 리프킨 지음, 안진환 옮김 / 민음사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대로 유지하면 평생 5천권은 읽을수 있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