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부터 비가 내린다. 아이들은 항상 자기 전 비소리를 틀어 놓고 잠을 잔다. 난 시끄러운데 비소리가 좋은가 보다. 사람은 천성적으로 물소리를 좋아한다. 생물학자들은 아이가 물 속에 있다가 나와서 그렇고, 인간의 처음 고향이 바다라서 그렇단다. 확인할 수는 없지만 하여튼 물 소리는 사람의 마음을 안정시키는 것은 맞다. 


거의 한 달을 잠이 불면증에 시달렸다. 언제나 잠을 제대로 자는 것이 꿈이 되어 버렸다. 그러던 시간이 오늘 나도 모르게 깊은 잠에 빠져든 것이다. 덕분에 아침에 일어나니 몸이 가볍다. 삶이 이렇게 단순하다니. 몸이 개운하니 책상에 바로 앉았다. 오늘 아이 때문에 학교에 폭력위원회로 모여야 한다. 걱정하지는 않지만 어떻게 진행 되는지 궁금하다. 또 하나의 재미난 장면이 만들어 지겠지.


이틀 동안 카메라를 들고 자주 나간다. 줌망원렌즈 밖에 없어 접사가 잘 안 된다. 전에 쓰던 크롭바디에서 꺼낸 표준 렌즈를 마운트했다. 렌즈가 정말 가볍다. 손에 무리가 가지 않아 편하다. 아직 해가 뜨지 않아 그리 좋은 사진은 나오지 않아도 보기엔 좋다. 





학교폭력이란 키워드로 책을 찾으니 수도 없이 많다. 그동안 관심도 없었던 책들이 한 곳에서는 그리도 많이, 아니 폭풍처럼 일어나고 있었던 것이다. 어제 16세 여고생의 초등학생 유기사전은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많지만 우울증이란 단어가 보인다. 누구의 책임일까? 단순히 부모나 학교일까? 아니면 정부? 누굴까? 저 아이가 저렇게 되도록 아무도 마음을 주지 않은 것일까? 


사람의 마음도 접사의 세계처럼 마음을 깊이 들여다보지 않으면 보이지 않는다. 천천히 좀더 가까이 다가가야 한다. 아이의 삶과 마음을 들여다볼 때 비로소 답을 찾을 수 있다. 오늘 문득 그런 생각이 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ureka01 2017-03-31 12:2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물방울에 빛방울을 흠뻑 머금었네요..^^..

낭만인생 2017-04-01 17:04   좋아요 0 | URL
비온 뒤라 몇 컷 담았습니다.
 

주문했던 책이 왔다. 우리 집은 언제나 마지막 집이다. 밤에 도착한다. 그래도 오늘은 8시가 되기 전에 도착했다. 평상시면 9시가 다 되 온다. 나도 나지만, 택배 기사들은 얼마나 힘들까? 미안하고 고맙다.


두 권이다. 한 권은 이재만의 <타협의 거센 바람>이고 다른 한 권은 이문구의 <관촌수필>이다. 이재구의 책은 현재 인가를 얻고 있는 진화론에 대한 비판을 담았다. 하지만 난 그리 저자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저자자 주장하는 창조론도 모순이 많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러한 주장들은 새겨들을 필요는 있다. 차이와 간극을 볼 수 있으니까. 


이문구의 <관촌수필>은 수필인줄 알고 샀다. 정말 무식한... 앞 부분을 조금 읽어보니 관촌은 마을 이름이고, 수필은 기억을 따른다는 의미의 한자어의 의미를 담은 것이다. 초판까지 합하면 무려 60쇄가 넘는다. 말그대로 스테디셀러인 셈이다. 


오늘 오전에 박완서의 목마른 계절을 읽다가 덮어 버렸다. 마음이 너무 아파서. 벌써 60년이 되었는데 이승만 정부나 박느네 정부나 다를게 하나 없다. 부역자 처리에만 바빴지 목숨을 위해 부역했던 국민들의 상황은 고려되지 않는다. 아...... 세상이여. 관촌수필 역시 그러한 뼈아픈 이념의 폐허물 속에서 기억을 더듬는다. 아프고 시리다. 읽다가 울지 않을까 싶다. 너무 화가나고 슬퍼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나님 나라 신학으로 읽는 모세오경 하나님 나라 신학 강해 시리즈 7
김회권 지음 / 복있는사람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까지 모세오경을 이토록 진지하게 탐구한 책이 있었던가? 강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문했던 책이 도착했다. 김회권 교수의 <모세 오경>과 수 클리볼드의 <나는 가해자의 엄마입니다>이다. 클리볼드의 책은 읽기가 망설여 진다. 또 읽고 싶어 견디 수가 없다. 몸도 약하고 늘 맞고 다니던 큰 아들이 학교에서 두 명의 친구를 때려 갈비뼈가 금이 가게 했다. 삼일 째 경찰서와 피해자 부모들을 찾아 다니고 있다. 피해자 학생들도 날마다 찾아가 안부를 묻는다.


힘도 아들이 어떻게 자기 보다 힘이 더 센 두 명의 친구를 때렸는지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틀 동안 피해자 아이들에게 묻고, 학교 선생님들을 찾아가 물으니 이건 단순한 아들의 개인 문제가 아니었다. 학교라는 조직 속에서 암묵적인 선배들의 강요와 압력이 작용하고 있었다. 거기에 아들의 허세가 더해지면서 사건이 일어난 것이다. 참으로 어처구니 없는 일이 일어난 것이다. 고개를 못드는 것을 둘째치더라도 앞으로 피해자 가족과 친구들을 볼 낯도 없고, 한 번 사건으로 마무리될 일도 아니라 답답하기까지 하다. 자퇴를 시키고 집에서 공부를 시키고 싶은 마음이 적지 않다.


피해자 가족들은 일방적으로 아들을 가해자로 몰지만 더 깊숙히 들어가 보면 피해자들도 그 전에 가해자였고, 선배들과 친구들도 가해자들이다. 몇 명의 친한 친구들이 제들을 패야한다며 아들에게 은근히 말을 했다고 한다. 못난 아들. 그래 결국 때론 놈은 가해자가 되고 사조한 놈들은 뒷짐지고 구경한다. 피해자 가족들은 이번 기회를 틈타 한 건 잡으려고 한다. 불행 중 다행인 것은 몇번 만나고 나의 사정을 이야기하니 합의금 이야기는 없어진 상태다 앞으로 어떻게 나올지는 두고 볼 일이지만 이번 사건을 통해 가해자도 피해자이고, 피해자도 가해자라는 것을 새삼 깨닫는다. 


언제나 힘이 없어 맞고만 다니고 단 한 번도 신고한 적이 없는데, 딱 한 번 때리고 이 신세가 되었구나 아들아. 아빠는 화도 많이 나고 어이도 없지만 그래도 사랑한다. 그러나 네가 저지른 일이 결코 가볍지 않다는 것은 기억해라. 아빠도, 피해자 친구들과 가족들도 모두가 아프단다. 그러니 참는 법도 배우고, 어떤 행동을 취할 때 그것이 옳고 그른 것이 무엇인지도 배우길 바란다. 


또, 세월호 안에 미수습자들의 시신이 그대로 있기를 기대해 본다.
















마음 같아서 때려주고  싶지만... 그래도 네 마음도 아플테니 파닥이라도 맛있게 먹어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돈 달라고. 도와 달라고. 사달라고 

다 달라 달라 하네.


준다는 메일 하나도 없네.


갑자기 우울해 진다. 


비록 돈을 주고 산 책들이지만 책은 나에게 위로를 준다. 

읽으면 행복을 준다.

기쁨도 준다. 


책이 좋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03-20 10: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3-20 21:3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