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나의 사상은 '그 사상'이 원할 때 오는 것

 

논리학자의 미신에 관해서, 나는 이러한 미신론자들이 기꺼이 인정하려고 하지 않는 사소하고 간단한 사실을 지치지 않고 매번 반복해서 강조하고자 한다. ㅡ 즉 하나의 사상은 '그 사상'이 원할 때 오는 것이지, '내'가 원할 때 오는 것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어 '나'는 술어 '생각한다'의 조건이라고 말하는 것은 사실을 왜곡한 것이다. 그 무엇이 생각한다(Es denkt). 그러나 이러한 '그 무엇'이 바로 저 오래되고 유명한 '나'라고 한다면, 부드럽게 말한다고 해도, 단지 하나의 가정일 뿐이고, 주장일 뿐, 특히 '직접적인 확실성'은 아닌 것이다. 결국 이미 이러한 "그 무엇이 생각한다"는 것으로 너무나 충분하다 : 이미 이러한 '그 무엇'에는 사유 과정에 대한 하나의 해석이 함축되어 있으며, 과정 그 자체에 속한 것은 아니다. 사람들은 여기에서 문법적인 습관에 따라 "사고라는 것은 하나의 활동이며, 모든 활동에는 활동하는 하나의 주체가 있다. 그러므로 ㅡ " 라고 추론한다. 대략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 옛 원자론은 작용하는 힘에 대해, 그 안에 힘이 존재하고 그로부터 힘이 작용해 나오는 저 물질 덩어리, 즉 원자를 찾았다. 엄격한 두뇌의 소유자는 결국 이러한 '지상의 잔여물' 없이도 꾸려나가는 법을 배웠다. 그리고 아마 어느 날 사람들은 또한 논리학자들의 입장에서 저 작은 '그 무엇'(존경할 만한 오래된 나(자아)는 그 무엇으로 도피했던 것이다) 없이 꾸려나가는 데 익숙해질 것이다.

 

니체, 『선악의 저편』, <제1장> 철학자들의 편견에 대하여, 제17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생각한다"

 

'직접적인 확실성', 예를 들면 "나는 생각한다" 라든가, 쇼펜하우어의 미신이었던 "나는 의지한다"와 같이 '직접적인 확실성'이 존재한다고 믿는 천진한 자기 관찰자가 아직까지도 존재한다. 마치 여기에서 주체나 객체의 측면에서 왜곡됨 없이, 인식이 순수하게 있는 그대로의 대상을 '물자체Ding an sich'로 파악할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그러나 '직접적 확실성'은 '절대적 인식'과 '물자체'와 마찬가지로 자기 자신 안에 형용 모순eine contradictio in adjecto을 함축하고 있다는 사실을 나는 백 번이고 반복하게 될 것이다. 우리는 마침내 이 용어의 유혹에서 벗어나야만 한다! 인식이란 끝까지 아는 것이라고 대중들은 믿지만, 철학자는 스스로 다음과 같이 말해야만 한다 : "나는 사유한다"라는 명제 속에 포함된 과정을 분석해가면, 나는 그 명제가 논증하기 어려운, 아마 불가능한 일련의 대담한 주장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ㅡ  예를 들면, 나는 생각하는 존재이며, 일반적으로 무엇은 생각하는 존재이어야만 한다. 사유란 그 원인으로 생각되는 한 존재의 측면에서 보자면 하나의 활동이요 작용이다. 하나의 '나(자아, Ich)'라는 것이 존재한다. 그리고 마침내 사유라고 표기할 수 있는 것이 이미 확정되어 있다. ㅡ 즉 사유가 무엇인지 나는 알고 있다. 결국 만일 나 자신의 경우에 내가 그 점을 미리 확정할 수 없다면, 바로 지금 일어나는 것을 아마 '의지의 작용'이거나 '감정의 작용'은 아닌지 무엇에 따라 측정해야만 하는가? 어쨌든 저 "나는 생각한다"는 진술은 나의 상태를 확정하기 위해 내가 알고 있는 나의 다른 상태들과 나의 현재의 순간적인 상태를 비교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와 같이 다시 되돌아가 다른 관점에서의 '지식'과 관계하기 때문에, 이 현재의 순간적인 상태는 어쨌든 나에게는 직접적인 '확실성'을 주지 못한다. ㅡ 이 경우에 대중이 믿을 수도 있는 저 '직접적 확실성' 대신 철학자는 일련의 형이상학적 물음을 손에 넣게 된다. 이것은 진정 본래의 형이상학적 물음이며, 다음과 같은 것이다 : "사유라는 개념을 나는 어디서 얻게 되는가? 나는 왜 원인과 결과를 믿는가? 나에 대해, 더구나 원인으로서의 나에 관해, 그리고 결국에는 사유의 원인으로서의 나에 관해 나에게 말할 권리를 주는 것은 무엇인가?" "나는 생각한다. 그리고 이것이 적어도 참이고, 현실이며 확실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라고 말하는 사람의 행위에서처럼, 일종의 인식의 직관에 의존하여 저 형이상학적 물음에 바로 대답하는 용기를 내는 사람은, 오늘날 한 사람의 철학자에게서 하나의 웃음과 두 개의 의문부호를 이미 발견하게 될 것이다. 철학자는 아마 그에게 다음과 같이 암시할 것이다. "선생님, 당신이 틀리지 않는다는 것은 있을 수 없습니다. 대체 왜 절대적으로 진리만이 있어야만 합니까?? ㅡ

 

니체, 『선악의 저편』, <제1장> 철학자들의 편견에 대하여, 제16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나의 능력에 의해서' 라고 칸트는 말했다

 

맨 먼저 ㅡ 꿈을 꾼 사람은 늙은 칸트였다. '하나의 능력에 의해서' 라고 칸트는 말했다. 적어도 그렇게 생각했다. 그러나 도대체 이것이 ㅡ 대답이란 말인가? 설명이란 말인가? 아니면 오히려 물음의 반복에 불과한 것은 아닌가? 도대체 어떻게 아편이 잠을 들게 만드는가? '하나의 능력에 의해서', 즉 최면의 힘에 의해서이다. ㅡ 몰리에르Moliere의 작품에 나오는 의사는 이렇게 대답한다.

 

왜냐하면 그 안에는 최면의 힘이 있기 때문에,

그것은 감각을 재우는 성질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대답은 코미디에 속한다. 이제 마침내 "어떻게 선험적 종합 판단이 가능한가?" 라는 칸트의 물음을 "왜 그러한 판단에 대한 믿음이 필요한가?" 라는 다른 물음으로 바꿔야만 할 시기가 왔다. 즉 우리 같은 종(種)의 존재를 보존하기 위해 그러한 판단을 참이라고 믿어야만 한다는 사실, 그리고 왜 그 판단이 당연히 잘못된 판단이 될 수 있는지를 파악해야 하는 시기가 왔다! 또는 더 분명하고 근본적으로 말해, 선험적 종합 판단은 전혀 "가능한 것"이 될 수 없다. 우리에게는 그러한 판단을 주장할 권리가 없다. 우리의 입으로 말하자면 그것은 단지 잘못된 판단일 뿐이다. 물론 삶의 관점주의적 시각Perspektiven-Optik에 속하는 하나의 표면적인 믿음이나 외관으로 단지 그 판단의 진리에 대한 믿음은 필요하다.

 

니체, 『선악의 저편』, <제1장> 철학자들의 편견에 대하여, 제11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늙은 칸트와 은둔하는 병자 스피노자

 

늙은 칸트는 경직되고 점잖은 위선으로 우리를 변증법의 샛길로 유인했는데, 이 샛길이 우리를 그의 '정언명법' 으로 이끌고 있다. 아니, 더 정확하게 말해 유혹하고 있다.이러한 연극은 우리처럼 버릇없는 사람들을 웃게 만든다. 우리는 고리타분한 도덕가나 도덕 설교자들의 노회한 간계를 파헤치는 것에서 적지 않은 즐거움을 발견하기 때문이다. 또는 스피노자가 자신의 철학에 ㅡ 이 용어를 바르고 적합하게 해석하면, 결국 "그 자신의 지혜애 대한 사랑" 이다 ㅡ 마치 청동 갑옷을 입히고 가면을 씌우는 저 수학 형식의 기괴한 술책도 그렇다. 그는 그렇게 함으로써 처음부터 이 정복하기 어려운 처녀신 팔라스 아테네Pallas Athene에게 감히 시선을 던지고자 하는 공격자의 용기를 위축시키려고 했던 것이다. 은둔하는 병자가 쓰고 있는 이 가면은 얼마나 많은 특이한 수줍음과 허약성을 드러내고 있는가!

 

니체, 『선악의 저편』, <제1장> 철학자들의 편견에 대하여, 제6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리' 라고 부른 자기 편견의 교활한 대변자

 

모든 철학자에 대해 반쯤은 불신으로, 반쯤은 조소의 눈길로 보도록 부추기는 것이 그들이 얼마나 순수한지, 그들이 또 얼마나 자주 쉽게 잘못 파악하고 잘못된 길로 가는지, 간단히 말해 그들의 유치성과 순진함을 다시 알아차리게 된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문제의 상황은 그들이 충분히 정직하게 다가서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들은 진실의 문제가 단지 먼 곳에서 언급되어도 모두 함께 커다란 도덕적 소동을 일으킨다. 그들은 모두 자신의 견해를 냉철하고 순수하며 신적으로 초연한 변증법의 자기 전개에 의해 발견하고 획득한 것처럼 군다 (그들보다 더 진지하고 우둔한 모든 계층의 신비주의자들과 구별된다. ㅡ 이 신비주의자들은 '영감' 을 말한다. ㅡ ) : 그러나 반면 근본적으로 하나의 전제된 명제, 하나의 단상, 하나의 '영감', 대부분의 추상화되고 여과되어 나온 그들 마음의 소망은 대개 뒤늦게 찾은 근거에 의해 정당화된 것이다. ㅡ 그들은 모두 옹호자라 불리기를 원하지 않는 옹호자이며, 실상은 대부분 그들이 '진리' 라고 부른 자기 편견의 교활한 대변자이기조차 하다. 그들은 이 사실, 바로 이 사실을 고백할 양심의 용기에서 아주 멀리 떨어져 있고, 또한 적이나 친구에게 경고하기 위해서든, 오만이나 자기 자신을 조롱하기 위해서든, 이러한 사실을 이해하게 할 용기라는 훌륭한 취향에서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다.

 

니체, 『선악의 저편』, <제1장> 철학자들의 편견에 대하여, 제6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