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범한 인생 ㅣ 열린책들 세계문학 275
카렐 차페크 지음, 송순섭 옮김 / 열린책들 / 2021년 12월
평점 :
드디어 차페크의 작품을 읽었다. 아니 근데, 너무 탄탄대로여서 결코 평범한 인생이 아니드만? 오늘날의 현대인들에게는 조롱으로 느껴질 수준이랄까. 뭐가 됐든, 나님은 늘 그렇게 생각해왔다. 평범하다는 건 정말 정말 어렵고 힘든 것이라고. 남들은 다 하고 사는 것을 나만 못한다 해서 평범하지 않구나 여겨선 안된다. 반대로 하고 싶은 걸 하지 못할 때가 많을수록 찐 평범함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애초에 삶이란 공평치가 못하거늘 잘난 사람과 비교되는 게 당연하다면 당연한 사실을 인정해야 하고, 거기에 전혀 기죽을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런데 비교 대상이 남들이 아니라 내 안의 자아들이라면 얘기가 다르다. 나 자신을 심판하고 다그치고 벌하기 시작하면 앞으로의 평범함은 물 건너간 셈이니까. 그래, 이것은 자아성찰의 끝판왕인 나님의 이야기이다.
나는 체코 문학이랑 안 맞는 줄 알았는데 차페크는 그나마 덜 복잡하게 써서 읽을만했다. 물론 이 분도 철학을 전공해서 그런지 되게 심오하고 배배 꼬여있지만, 대중성을 지닌 걸로 보아 그렇게 꽉 막힌 타입은 아닌 듯하다. <평범한 인생>은, 심장병으로 죽은 어느 노인의 회고록으로 시작된다. 학교를 졸업하고 철도회사에 들어간 뒤 결혼 하고 일만 하다가 은퇴하는, 말 그대로 평범한 삶에 관한 기록들이었다. 다만 쓰다 보니 잊었거나 놓치고 살았던 것들이 떠오르면서 저도 모르게 자아성찰을 하게 되고, 끝내는 정신분열에 이를만큼 심각한 자기검열에 빠져버린 것이다. 누구나 말년 즈음에 인생을 돌아보고 후회한다지만 이 어르신은 비교적 나이스하게 살았던 데에 비해 너무 과한 자책을 하고 있어 솔직히 보기가 흉했다. 이해 못 할 바는 아니지만.
다 그렇듯이 주인공도 부모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자랐다. 아버지의 듬직함과 어머니의 감수성을 적절히 물려받은 그는, 미래를 생각하여 죽어라 공부만 하게 된다.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해 철도청 공무원으로 들어가고, 역장의 딸과 결혼하여 지내다가 자신도 역장의 자리까지 올라간다. 어느덧 어머니의 감수성은 모조리 시들어버렸고, 아버지를 따라 일하는 것만이 전부였던 그. 결국 부부간의 애정을 포기한 아내는, 남편의 일과가 틀어지지 않도록 지탱하는 쪽으로 향한다. 여기까지만 해도 그래 뭐 평범하다 볼 수 있지만, 삶의 곳곳에서 느꼈던 다채로운 감정들이 한 사람의 세계를 풍부하고 아름답게 수놓은 것 또한 사실이다. 문제는 그걸 간과하고 망각하는 게 인간인지라, 자신이 무얼 위해서 일을 하고 일에 집착을 하는지도 모른 채로 살아가게 되었다.
시간이 더 흘러서 아내가 먼저 세상을 뜨고 혼자가 된 어르신. 언젠가 한 청년이 찾아와, 당신이 썼던 시를 보고 크게 감명했다며 찬사를 늘어놓는다. 시인이길 오래전에 관둔 어르신은 그 칭찬들이 전혀 달갑지가 않았다. 자신은 예술적 감성과 기질을 포기하고 극 현실주의자를 택했으니까. 공부가 주는 보상은 실패가 없었고 상처받을 일도 없었다. 하지만 사랑이나 예술 같은 감성적인 것들은 항상 아픔과 고통을 안겨주었더랬다. 그랬기에 불필요한 자아들은 없애고 평범함의 자아로써 살아왔거늘, 다 늙은 지금에 와서 그 시인의 자아가 고개를 내밀어 자꾸 찔러대는가. 그것을 무시하고 부인할수록 더 깊이 의식을 파고들면서, 어느새 죽은 줄로만 알았던 자아들이 하나둘씩 나타나 그를 못살게 굴기 시작했다.
중반부터는 자아들과의 논쟁과 대립으로 채워져있다. 본래의 평범한 자아는, 죄다 태클 걸고 반박해대는 또 하나의 자아 앞에 변명하기 바쁘다. 사실은 일을 그렇게 원한 것도 아니지 않았냐는 것부터 해서 기쁨과 연민, 분노와 증오 같은 제 감정들을 속여왔던 것들까지 일일이 파고들어 주인공의 본심을 끌어내는 장면의 연속. 이래저래 방어해 보지만 본인 스스로도 비겁한 변명임을 알고 있었고, 내면의 대화들로 자신의 영광스럽던 인생이 정말 그러한지를 의심해 보게 된다. 나의 경우는 이 어르신의 인생과 정 반대에 가깝다. 나에게 현실의 삶은 기본만 갖추면 그만이었다. 반대로 그림과 노래, 악기 연주, 독서, 글쓰기 등등 육체보다 영혼이 추구하는 대로 살아왔다. 물론 나 역시 이런 것들에서 상처를 안 받을 순 없었지만, 이 어르신처럼 각종 자아들과 힘겹게 다투고는 있지만 그래도 영혼이 피폐해질 일은 없어서 다행이랄까.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제 감정에 솔직해지는 법은 알면서도 자신을 내려놓는 법까진 잘 모른다. 그 비법을 찾아가는 여정이야말로 찐 평범한 인생이거든.
자아의 반복된 싸움에 물리긴 했지만, 저자가 해석한 인생론은 제법 흥미로웠다. 사람은 여러 성격의 자아를 지니고 있고, 상황에 맞다고 판단하는 자아가 먼저 움직였을 뿐이라는 것. 수줍어하다가도 대범해질 때가 있고, 정말 고마워했다가도 갑자기 노할 때가 오기도 한다. 따라서 누군가를 이렇다 저렇다 하며 멋대로 판단해서는 참 곤란하다. 모두에게 빌런 소리를 듣는 이가 누군가에겐 둘도 없는 절친이고 은인이기도 한 걸 보면 말이다. 나는 오래전부터 한 사람의 내면이 또 하나의 우주라고 믿어왔다. 끝없이 팽창하는 대 우주처럼 우리 내면의 우주들도 계속 팽창해가고 있는데, 그 사실을 대다수가 인생의 끝자락에 가서야 깨닫는다. 죽음 앞에서는 그토록 집착했던 재물과 지식, 명예가 썩 위안은 못될 것이다. 당신은 무엇을 찾기 위해 이 길을 헤매고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