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네랑 피카소가 손흔들어 부르네요. 

많이들 홀려 넘어가 주시길.. ^^ 

 

http://www.hanwha.co.kr/mecenat/index.js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9일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가 최근 발간한 웹진에 따르면 올해 1월 ...

 

<띠별 행운 지수>

┌───────┬───────┬───────┬──────┬──────┐

│띠 │요일 │방향 │시간 │숫자 │

├───────┼───────┼───────┼──────┼──────┤

│쥐띠 │월,목 │동,서북(잡화, │오전9시~11시│18,24,28,34,│

│ │ │마켓) │오후5시~7시 │39,45 │

│ │ │ │ │ │

├───────┼───────┼───────┼──────┼──────┤

│소띠 │월,일 │남,서 │오전7시~9시 │12,17,34,26,│

│ │ │ │오후1시~3시 │41,44 │

├───────┼───────┼───────┼──────┼──────┤

│호랑이띠 │월,금 │서,동남(관공서│오전11시~오 │18,20,36,37,│

│ │ │ 인근) │후1시 오후9 │41,43 │

│ │ │ │시~11시 │ │

├───────┼───────┼───────┼──────┼──────┤

│토끼띠 │수,금 │북,남서 │오후3시~5시 │6,17,20,31,3│

│ │ │ │ │9,41 │

├───────┼───────┼───────┼──────┼──────┤

│용띠 │화,일 │동,서북(지구 │오전6시~8시 │3,27,29,31,3│

│ │ │대,초소인근) │오후9시~11시│9,41 │

├───────┼───────┼───────┼──────┼──────┤

│뱀띠 │화,목 │동,남서 │오후1시~3시 │2,13,26,31,3│

│ │ │ │ │7,41 │

├───────┼───────┼───────┼──────┼──────┤

│말띠 │월,수 │서북,북동 │오후7시~9시 │14,19,27,36,│

│ │ │ │ │38,45 │

├───────┼───────┼───────┼──────┼──────┤

│양띠 │화,금 │서,남 │오전9시~11시│7,18,28,34,4│

│ │ │ │오후5시~7시 │0,43 │

├───────┼───────┼───────┼──────┼──────┤

│원숭이띠 │수,일 │서북,동남 │오전8시~11시│10,15,21,27,│

│ │ │ │ │30,41 │

├───────┼───────┼───────┼──────┼──────┤

│닭띠 │월,목 │북,서남 │오후3시~5시 │6,18,20,29,3│

│ │ │ │ │3,40 │

├───────┼───────┼───────┼──────┼──────┤

│개띠 │수,목 │동,남서 │오후1시~5시 │14,17,25,28,│

│ │ │ │ │37,42 │

├───────┼───────┼───────┼──────┼──────┤

│돼지띠 │화,금 │남동,서 │오후5시~9시 │11,18,21,36,│

│ │ │ │ │39,41 │

└───────┴───────┴───────┴──────┴──────┘



* 요일 : 당첨 확률이 높은 요일        * 방향 : (주거지기준) 사는 방향    

* 시간 : 사는 시간                        * 숫자 : 당첨확률 높은 숫자 

 

 

이렇답니다.

참고하셔서 구입한 로또가 대박나심 보건복지부를 잊으시고 무스탕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하하하~~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Mephistopheles 2010-01-19 16: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박이 나도 이런 자료를 공개하시면..1등 상금이 N/1로 나뉘는 까닭에 그리 배당금이 높지 않을지도 모릅니다.(1등 당첨되도 입 씻겠다는 소리랍니다..)=3=3=3=3=3

무스탕 2010-01-19 18:10   좋아요 0 | URL
어헛-! 어디로 튀실라고요!
전 로또를 안사니까 당첨 가능성이 제로에 가깝고, 그래서 주변인을 수시로 관찰하죠 ^^

무해한모리군 2010-01-19 16: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양띤데 오늘 (화요일) 9시에 팀장님께 깨졌다는 ㅠ.ㅠ

무스탕 2010-01-19 18:11   좋아요 0 | URL
이론이론.. 저 자료를 제시한 보건복지부는 예외 양띠를 두고 점꾀를 빼냈나 보네요 ^^;;;

꿈꾸는섬 2010-01-20 00:00   좋아요 0 | URL
원래 이런건 음력설 이후부터 적용해야되는거 아닌가요?

무스탕 2010-01-21 00:08   좋아요 0 | URL
요즘 점꾀는 양력에도 적용할수 있도록 많이 변형되서 봐주기도 하니까 그냥 편하게 봅니다 ^^
그렇다고 믿는것도 아니니 재미지요 :)

하늘바람 2010-01-19 16: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호호 쥐띠인데 오늘은 운세가 좋은 날이 아니네요

무스탕 2010-01-19 18:12   좋아요 0 | URL
목요일 퇴근길 동네 마트를 잘 노려보세요.
좋은일이 쌓여 있을지도 몰라요. ㅎㅎㅎ

메르헨 2010-01-19 17: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참...별걸 다...ㅋㅋㅋ
오늘 저의 운세는 운수대통 입니다.^^

무스탕 2010-01-19 18:13   좋아요 0 | URL
그죠? 별거 다 있죠? 저도 이런거 첨 봐서 옮겨봤어요.
그나저나 운수대통이시라니 퇴근하시면서 로또라도 한 장..
일등 되심 무스탕이 한테도 한 턱... ^^
 

 

 

 
 

국악이란? 

 - 한국음악의 준말로 이미 한국에 뿌리 내린 음악, 또는 한국적 토양에서 나온 음악을 가리킨다. 여기에는 정악민속악이 있으며, 민속악에는 시나위, 판소리, 산조, 농악, 민요 등이 포함된다 

- 국악이란 용어는 조선 초기 때부터 지칭 되었으며 외국과의 관계 속에서 상대적인 의미로 우리 음악을 기리키는 말이다. 일제 강점기가 시작 되면서 '조선음악'으로 불리다가 광복의 기쁨과 함께 다시 찾은 용어이다. 

 

 
   

 

정악(正樂) 

- 정악이란 바를 正 , 음악 樂 을 써서 바른음악, 즉 인간의 정서를 함양하는 '좋은 음악' 이라는 개념의 보통명사를 일컫는다.

- 정악은 미술의 문인화에 견줄 수 있는 문인음악이며, 궁중음악의 일부를 포함하여 민간 상류층에서 연주되어 오던 모든 음악을 지칭하며 속악의 대칭으로 쓰인다. 

- 정악의 대표적 음악으로는 영산회상, 여민락, 도드리 등의 곡이 널리 알려져 있다. 

- 정악의 특징은 

   1) 기다리는 음악이다. 그리고 요두전목(搖頭轉目)하지 않는다. 

   2) 악곡은 느리고 빠르며, 높고 낮음의 짝을 이루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3) 때로는 무릎으로 장단을 맞추며 장인굴곡(長引屈曲)한다. 

   4) 음악의 속도는 대체로 느리며, 음과 음 사이 여백의 표현을 중시한다. 

   5) 인위적인 기교는 피하되 정적인 흐름 안에서도 기운생동하는 음악의 역동성을 살려내는 자연스러움의 표현이 강조된다. 

 

민속악 (民俗樂) 

- 민간에서 내려오는 속악으로 그 지방의 고유한 역사, 민속, 생활, 감정 등 서민의 소박한 정서를 솔직히 표현하고 있다.  

- 음악의 흐름이 정악에 비해 전체적으로 빠른 편이다. 

   가) 시나위 ; - 시나위는 한마디로 살풀이 음악이다. 무속 집단의 음악을 기악 음악으로 개념화 한 것이 시나위다. 김소희 명창의 '구음 살풀이' 같은 것이 대표적이다. 

   나) 판소리 ; - 판소리는 이별, 사랑, 권선징악, 풍자 등 '판'으로 짜여진 소리이다. 때문에 주제에 따라 판소리 길이가 달라지는게 특징이다. 

                    - 판소리는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등과 같은 장단과 우조, 계면조, 편조 등의 조로 이루어진다. 

   다) 산조 ; - 산조는 판소리의 장단과 시나위의 즉흥성, 영산회상의 형식을 빌려 절대음악을 추구한 음아깅다. 그리고 즉흥성이 생명이다. 

                 - 19세기 전남 영암의 김창조 명인이 만든 음악으로 소리는 판소리, 음악은 영산회상에서 차입한 정악 형식이다. 

   라) 농악 ; - 농악은 일제 강점기 시대에 농민음악이라는 뜻으로 비하된 것이며 원래 이름은 '풍물놀이'이다. 

   마) 민요 ; - 민요는 서민들의 꿈과 욕망, 고단함, 생활의 애환이 가장 잘 담겨진 구전문학 형식이다. 특정한 창작자 없이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민중의 생활 감정을 소박하게 반영하고 때로는 국민성, 민족성을 나타 내기도 한다.

  

 

이 글도 현대자동차에서 보내주는 전단지에서 옮겨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현대자동차에서 보내주는 전단지에 나온 글인데 적는거보다 직접 보는게 좋겠어서 스캔. 

이런 차이가 있었군요. 읽어봐도 맛을 모르니..;;;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Mephistopheles 2010-01-11 20: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꼬냑은 부부화합주로도 쓰이기도 한다더군요.^^

무스탕 2010-01-11 21:03   좋아요 0 | URL
오~ 외국도 우리나라같이 결혼식때 화합주를 마셨나 보군요!

Mephistopheles 2010-01-11 21:54   좋아요 0 | URL
그 뜻이 아닌데...그 뜻이 아닌데...그 뜻이 아닌데....

네꼬 2010-01-11 22:37   좋아요 0 | URL
아...

무스탕 2010-01-11 23:03   좋아요 0 | URL
앙~~?
--a
아~~!
^^*

다락방 2010-01-12 13:49   좋아요 0 | URL
부부화합주는 반드시 꼬냑만 있는건 아닌 것 같습니다.

소주맥주와인........다 되지 않을까요? ( '')

무스탕 2010-01-12 14:38   좋아요 0 | URL
ㅎㅎ 알콜성분이 함유된 음료는 다 가능하겠지요 ^^
뭐 맘만 있으면 알콜도 필요 없겠지만요. 흐흐흐~~~

Mephistopheles 2010-01-13 17:41   좋아요 0 | URL
첨부하자면....몸에서 좋은 향기가 난답니다..꼬냑이....
언제부터 좋은 향기가 나기 시작하냐고 물어보시진 마시길~~~

무스탕 2010-01-15 10:36   좋아요 0 | URL
악~~~~! 궁금하잖아요!!
음.. 꼬냑을 어디서 구해봐야 하려나...
^^*

토토랑 2010-01-12 13: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브랜디는.. 혹시나 남으면.. 고기 잴때.. 쪼금만 넣든지
아니면 과일펀치 만들때 한 숟갈 정도 넣으면 맛이 확~ 틀려져요

저두 사실 부어 먹는건 넘 독해서 아직은 좀 잘 모르겠더라구요.

무스탕 2010-01-12 14:39   좋아요 0 | URL
사실 전 술을 거의 못먹기 때문에 맛을 몰라요.
소주랑 맥주만 구분 가능하고;;; 양주는 어쩌다 한 입 마셔도 다 독하기만 하다는 느낌뿐...;;;
 

이번에 큰 눈이 왔을때 찍은 위성사진이라네요. 



나사(NASA)에서 제공한 사진이랍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L.SHIN 2010-01-08 14: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내 이럴 줄 알았어. 저기 하얗게 덮인 서울/경기 지역 좀 보라지.-_-
그나저나 저 어두운 색의 바다들은... 색깔만 봐도 얼마나 깊을지 아찔하군요.
서해 갯벌의 색도 선명히 보이고.. 정말 잘 찍었네요.^^

무스탕 2010-01-09 11:12   좋아요 0 | URL
저도 사진보고 흐억~! 했었어요. 북쪽엔 눈 안내린 곳이 없네..@_@
사람이 놀수있는 해수욕장도 깊은데 저렇게 깊은 곳은 도저히 엄두가 안나요. 특히 저 같은 맥주병들은 후덜덜이라지요 ^^;

Mephistopheles 2010-01-08 15: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남도쪽에 기름유출 사고 났다고 하는데...그것까진 안보이나봐요

무스탕 2010-01-09 11:13   좋아요 0 | URL
글쎄요.. 기름유출 사고는 뉴스에서 슬쩍 듣긴 했는데 자세히 다뤄주질 않아서 어느정도양이 어디서 그랬는지 모르겠어요.
사고나기 전의 사진인가봐요 :)

순오기 2010-01-11 14: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한반도 위의 대륙이 다 우리 땅이었다는 걸 눈이 증명하네요.
장관인 풍경을 바라보며 왜 마음이 심란해지는 걸까요?

무스탕 2010-01-10 16:29   좋아요 0 | URL
그러게나 말입니다. 저 넓은 땅이 왜 타국의 소유가 된건지 아쉽기만 하다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