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석!
큰 녀석의 이름이다. 이 녀석은 그 야말로 책귀신이다. 다른 것은 몰라도 책을 너무 좋아한다. 다행이다. 남들은 책읽는 것을 싫어한다는 데 남들이 부러워 하기도 한다. 하지만 지 엄마는 다른 모양이다. 책을 한번 보기시작하면 숙제고 뭐시고 알아서 할려고 하질 않는다. 책속으로 빠져들어간다. 같은 책을 2-3번은 읽어서 아예 암기를 하는 듯 하다. 아이고~~~~

책을 많이 읽어서 그런진 모르겠지만 상식이 풍부한 것 같다. 그리고 말하는 것이 애늙은이다.
어제 세식구(나,아내,딸)눈 시골로 할아버지 선거운동하러 출발하고, 녀석은 태권도도장에서 유단자 캠프에 참석하러 홍성으로 출발했다. 서바이벌겜, 등산, 촛불의식 등을 한단다. 초등 4년인데 2급(성인 2단) 승급시험에 합격을 하여 승급증을 획득해 왔다. 역시 칭찬으로 아이를 키워야 한다고 했던가? 더욱 열심히 하고 다른 것도 잘하자고 너는 잠재력이 풍부한 녀석이니까 큰일을 할 수 있을 거라는 칭찬으로 마무리를 한 후 캠프에 보냈다. 주의 사항과 함께..오늘 12시쯤에 도착한다고 하는데 집에서 혼자 있어야 겠지 울 모두는 시골에 와 있으니까 대견스럽다. 어릴 때 부터 자립심을 위주로 키웠더니 집에 혼자있는 것을 그렇게 구애받지 않는 듯하다. ㅎㅎㅎ

저녁에 집에 도착하면 대견스럽다고 엉덩이 한번 토닥거려 줘야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6-06-05 17: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전호인 2006-06-05 17: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삭이신님! 방가워여. 울 딸은 초딩 3년이랍니다. 앞으로 좋은 인연만들어 가여
 

인연은 그런 것이란다. 억지로는 안 되어.
아무리 애가 타도 앞당겨 끄집어 올 수 없고,
아무리 서둘러서 다른 데로 가려 해도 달아날 수 없고잉.
지금 너한테로도 누가 먼 길 오고 있을 것이다.
와서는, 다리 아프다고 주저앉겄지. 물 한 모금 달라고.

- 소설가 최명희의 '혼불' 중에서-

----------------------------------------------------------

물 한 모금 나누어 마시는 작은 만남에도
우연 같지만 필연의 깊은 뿌리가 있다고 합니다.
하물며 친구와 동료로, 가족으로
또는 연인으로 만나는 인연은
얼마나 깊은 인연으로 만난 사람들일까요.

그러나 우린 살아가며 힘들고 지칠 때
가장 가까운 사람에게 짜증도 내고 화도 냅니다.
오래도록 준비되어 만난 인연을 소중히 가꾸는
삶이 되어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외로움이 찾아올 때 사실은
그 순간이 인생에 있어
사랑이 찾아올 때보다
더 귀한 시간이다.

쓴 외로움을 받아들이는 방식에 따라
한 인간의 삶의 깊이
삶의 우아한 형상들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 곽재구 '포구 기행' 중에서 -

----------------------------------------------------------

사랑하는 사람이 곁에 있어도
때로는 그 사랑으로 인해
더 큰 외로움을 느끼는
시간이 있습니다.

호젓한 시간에 찾아온 외로움을
삶의 깊은 의미로 받아들일 때
영혼은 더 깊어지고,
불어오는 바람, 꽃잎 하나에도
작은 환희를 느낄 수 있겠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상담병(紙上談兵)
: 종이 위에서 병법을 말한다는 뜻
/ 이론에만 밝을 뿐 실제적인 지식은 없는 경우

전국시대 조(趙)나라에 조괄(趙括)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아버지가 유명한 대장 조사(趙奢)였으며,
조사의 그늘에 있으면서 수많은 병법서를 읽어 병법에 능통했다.
그런데 조사는 아들에게 병권을 조금도 이양하지 않았다.
그러자 조사의 아내는 어찌하여 아들을 홀대하는냐고 묻자,
조사는 이렇게 말하는 것이었다.

'군대를 다스리는 것은 국가의 존망과 관련된 일이거늘,
그놈은 이일을 너무 가볍게 생각하고 있으니,
만일 그에게 병권을 주면 조나라를 망하게 할 것이오.'
그 후에 조사는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

얼마 후에 진(秦)나라가 공격해 오자, 조정에서는 마땅한 인물을
고르다가 결국 조괄을 대장으로 삼았다.
조괄의 어머니는 조정으로 달려가 조괄은 대장의 그릇이 못되니
철회해 달라고 간청했고, 그 당시 재상이던 인상여(藺相如)도
간언했으나 효왕(孝王)은 듣지 않았다.

조괄은 자신만만하게 싸움에 나섰으나 결국 전사하고 말았고,
그의 군대 역시 몰살당하였다.

- 사기(史記) 염파 인상여전 -

----------------------------------------------------------

실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지식을 가지는 것이
일의 성과를 가져다 줄 것입니다.

연수생들을 가르치면서 얄팍한 지식만을 전달하고자 하지 말고 마음속에 간직한 실제적인 노하우를
바탕으로 마음으로 다가서는 강의가 되도록 노력해야 하지 않을 까?
남앞에 서 있다는 것이 이렇게 힘든일인줄은 몰랐다.
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화이부실(華而不實)
: 사람이나 사물이 겉으로는 좋아 보이지만
알맹이가 없음을 비유한 말

춘추시기, 진(晉)나라 대신 양처보(陽處父)는 위(衛)나라를
방문하고 돌아오는 길에 노(魯)나라 영성의 한 집에 묵게 되었다.
집 주인 영은 양처보의 당당한 모습과 비범한 행동을 보고
그와 함께 갈 것을 결심하였다.

양처보의 동의를 얻은 후, 영은 아내에게 이별을 고하고
그를 따라 길을 나섰다. 그런데 영은 온(溫) 땅에 이르자
생각을 바꾸어 집으로 돌아왔다. 영의 아내는 매우 이상하게 여겨
다시 돌아온 이유를 물었다. 이에 영은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그 사람은 다만 사납고 강한 성질로만 처세하고,
겉으로는 그럴듯하지만 속으로는 덕이 없어서
다른 사람들의 원망을 집중시키고 있소(且華而不實, 怨之所聚也).
이러한 사람을 따른다면 몸을 안전하게 보존하지도 못하고
이익은 커녕, 도리어 그의 재난에 관련될 것을 두려워했소.
그래서 나는 그를 떠나 돌아 온 것이오.'

-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

----------------------------------------------------------

겉모습만으로 판단하지 않고 본모습을 헤아릴 줄 아는
혜안을 가지고 싶습니다.

또한 내 모습이 남에게 보여질 때 겉모습만을 멋있게 보이려고 하지는 않았는 지도 다시 한번
일깨워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