於坐中에 最易得力하리니 初坐時에 抖擻精神하야 放敎身體로 端正이언정 不可背曲이니라 頭腦를 卓竪하고 眼皮를 不動하야 平常開眼호리니 眼睛이 不動하면 則身心이 俱靜하리니 靜而然後에사 定이리라.


좌중(坐中)에 득력(得力)하기가 가장 쉬우리니, 처음 앉을 때에 정신을 차려 몸을 쭉 펴고 단정히 할지언정 등을 굽히지 말지니라. 머리를 우뚝이 세우고 눈시울을 움직이지 아니하야 눈을 보통으로 뜨리니, 눈동자가 움직이지 아니하면 곧 몸과 마음이 함께 고요해지리니 고요한 뒤에사 정(定)에 들게 되리라.

                                                                                       -몽산법어(선학간행회 역)*, pp.34-35.

 

 

일전에 "당신의 스트레스 조절능력"이라는 페이퍼를 올린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 님께서 무슨 원리가 이 그림에 숨어 있을까 하셨는데 그때 제가 "眼靜이면 心靜"이라는 글을 몽산법어에서 본 적이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런데 오늘 아침에 몽산법어를 꺼내 읽다 보니 아마도 위 구절을 보고 제가 착각한 것이 아닌가 싶었습니다. 뜻이야 통하지만은 기왕에 읽다가 눈에 띈 것이라 여기에 옮겨 적어 전의 잘못을 바로 잡습니다.

 

오직 모를 뿐인 공부에 일념정진하시길, 불보살님의 가피가 있기를 기원합니다.

 

------------------

*시중에 몽산법어가 번역되어 나와 있는데 저는 아직 읽지 않았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책은 인천 용화사 용화선원(ww.yonghwasunwon.or.kr)에서 나온 것입니다. 가지고 다니기 편하고 실참자가 읽기 쉽게 된 것으로, 시중에서는 판매되지 않고 용화사에서 전화주문해서 구입가능합니다. 같은 곳에서 판매하는 선가귀감 역시 실참자가 보기에 무척 유익합니다. 참고로 말씀드렸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달팽이 2007-03-15 19: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퍼갑니다.
고맙습니다.
님께서도 마음 더욱 밝아져 부처님 전에 복많이 짓기를 발원합니다.
 

원장 스님(송담 스님)께서는 공부를 통해 뭔가 얻어지는 게 있다면

그것은 삿된 외도의 길이라 하셨습니다.                     

          -용화선원 신행상담에서 상담스님의 글(www.yonghwasunwon.or.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망상이 구름처럼 일었다 사라진다. 사라졌다 일어난다. 바람은 어디서 불어서 어디로 불려가는 것일까, 라는 윤동주의 싯귀가 떠오른다. 구름처럼, 망상처럼 인연이 일었다 사라진다. 만났다 헤어지고, 헤어졌다 만나고, 누구가는 잊혀지고, 또 새로운 사람을 만나기도 한다. 새로운 사람이었을까?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는 말을 숱한 전생을 보지 않고도, 광활한 잠재의식을 들여다 보지 않고도 이해하는 사람들은 어떤 지혜를 지녔을까, 혹은 모진 인연을 만난 탓일까? 망상처럼 한 생(生)이 일었다 사라진다. 막망상(莫妄想)막망상막망상...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달팽이 2007-02-28 19: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망상처럼 한 생이 일었다 사라진다...
소리내어 읽어봅니다.

왈로 2007-03-02 13: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신묘장구대다라니 독송하다보니 내 망상도 대단함을 느낀다. 한 글자 한글자 사이사이 파고 드는데 벌떼로 덤비네. 내 속에 있는 모든 '나'들이 합창할 때까지 쭈~욱 함 해 볼란다. 이번주는 '옴 살바 못쟈모지 사다야 사바하' 참회진언 입에 익혔다. 캬~ 김미연 대단해요~ ^^
 
Only One, 내 삶을 움켜쥔 오직 한 가지
설기문 지음 / 쌤앤파커스 / 2007년 1월
절판


두려움을 이기려면 '원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모든 두려움은 '원하지 않는 것'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생긴다. -34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팽이 2007-01-24 17: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 점 속에 세상을 담아내야 하는 공부.
다석 선생님의 가온찍기로 배우려 합니다.
 

"중은 일을 수행삼아 조금씩 하는 거다.

한꺼번에 일처럼 해서야 되겠느냐?"

  -서암 스님(달팽이님 리뷰에서 http://www.aladin.co.kr/blog/mypaper/1043681)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글샘 2007-01-20 13: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밌네요. 달팽이님 리뷰 보면 이누아님 덕택에 읽었다 하시고,
이누아님 뻬빠 보면 달팽님 리뷰에서 퍼왔다 하시고...
돌고 도네요. 맞아요. 한꺼번에 일처럼 해선 안 되죠. 뭐든.

이누아 2007-01-20 21: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금 저 책을 갖고 있지 않아서 달팽이님 리뷰에서 퍼왔어요. 일 아닌 것도 자꾸만 일로 만드는 제게 직접 하신 말씀처럼 들려요. 뜨끔했어요.^^

2007-01-23 12:53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