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덟 단어 - 인생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 2013년 5월
평점 :
절판
자존, 본질, 고전, 견, 현재, 권위, 소통, 인생. 이 여덟 단어 중 한 단어를 선택하라면 "현재"를 꼽겠다. 지금 여기에 사는 사람에게는 나머지 일곱 가지가 저절로 따라오지 않을까.
좋은 책이다. 옳은 말이 있고, 그 말에 따라 살아가는 진지한 사람이 있다. 배울 만한 점이 있고, 생각할 만한 점이 있는 책이다. 그런데 내 마음이 비틀린 걸까? 책 전체에서 반질반질한 뭔가를 느낀다. 진지하고 인생의 핵심을 얘기하는데 난 왜 교양과 예술을 얘기하는 똑똑한 친구의 이야기를 듣는 느낌일까? 지인 중에 이런 얘기를 하고, 얘기를 나눌 때는 함께 취하지만 돌아서면 허전했던 사람이 있다. 언젠가 시를 읽고 그 느낌에 취해 절규하듯 말했던 사람이나 본질적 삶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던 사람들. 모두 진지하고 감성 충만이었는데 돌아서면 나는 왜 그렇게 공허했을까. 비슷한 느낌이 든다. 이 책에서 꼬투리를 잡을 만한 몇몇을 찾아내기도 했지만 아무래도 억지가 좀 있지 않나 싶어 관둔다. 작년인가 읽었던 책 중에 [바른 마음]이 생각난다. 상대가 아무리 옳은 말을 해도 내가 느끼기에 싫은 감정이 있으면 그 말에서 바르지 못한 어떤 것을 찾게 된다는.
제가 뉴욕에서 공부할 때 느낀 것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교수들은 학생들에게 무언가를 집어 넣으려 하지 않고 뽑아내려고 애썼습니다. 서른여섯에 사회생활을 하던 아저씨가 책상에 앉아 처음으로 디자인을 배우는데 주뼛댈 틈도 없이 교수의 칭찬이 쏟아졌습니다. 저뿐만이 아니라 모든 학생들이 해온 숙제를 벽에 쭉 붙여놓고 좋은 점을 끊임없이 이야기하는 교수는 마치 칭찬을 하지 못해 안달 난 사람 같아 보이기도 했습니다. 게다가 그 뒤에는 왜 좋았는지 제출한 작품에 대해 해석해주고 자세히 설명을 해줬습니다. 그리고 학생이 부연 설명을 하면 그 말을 북돋아주더군요. 그러니 학생들은 과제를 하면서도 늘 신이 났고, 서로 앞자리에 앉으려고 할 수밖에요. -p.26~27
호학심사(好學深思), 즐거이 배우고 깊이 생각하라. 이 말에서 더욱 깊이 새겨야 할 것은 심사입니다. 너무 많이 보려 하지 말고, 본 것들을 소화하려고 노력했으면 합니다. 피천득 선생이 딸에게 이른 말처럼 천천히 먹고, 천천히 걷고, 천천히 말하는 삶.-p.126
하지만 우리는 약하기도 하고 강하기도 합니다. 모든 사람들이 다 그렇습니다. 맨 위에 있는 사람도 저 아래 있는 사람도 똑같아요. 그러니 균형을 맞추기 위해 윗사람들에게 강하고 아랫사람들에게 약한, 강자에게 강하고 약자에게 약한 여러분이 되시길 바랍니다. -p.176
이 훈련을 한번 해보세요. 많은 도움이 될 겁니다. 미국에서 대학원에 다닐 때 논문을 쓰기 전에 우선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딱 한 줄로 정리하라고 합니다. 그리고 그걸 세 개의 패러그래프로 써보고, 그걸 다시 챕터 별로 나눠서 논문을 만들죠. 예외는 없습니다. 그러니까 이렇게 보면 됩니다. 내가 말하고 싶은 게 일곱 단어로 정리되지 않는 건 아직 내 생각이 정리되지 않았다는 겁니다. -p.207
우린 언제든지 이길 수 있다. 우린 언제든지 질 수 있다. -p.2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