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서옹 스님 연의, [임제스님 말씀 차별없는 참사람], 2002, 차별없는참사람 

 

 

알리딘에 리뷰를 쓰려고 보니 이 책이 없다. 그래서 여기에 쓴다.

선문답으로 가득찬 답답한 책은 아닐까 염려했었는데 그렇지는 않았다. 다소 편집의 힘이었을까? 커다란 글씨가 한눈에 들어온다.

대중에게 보여 말씀하시는 "시중"(示衆)과 선객이 서로 깨달음에 참과 거짓, 체험의 깊고 얕음을 감정하여 분별하기 위한 문답인 "감변"(勘辨), 임제스님의 "행록"으로 나누어 정리가 되어 있다. 대중에게 보이신 말씀이라 그런지 시중편은 내게 와 닿고, 책장이 쉽게 넘어 갔지만 감변과 행록은 그 자체가 모두 선문답이다. 알 수 없지만 그 긴장과 순간순간이 조금은 이해가 간다. 이해가 간다고 말하자마자 임제스님의 몽둥이가 내려앉는다.

밖으로 깨달음을 구하는 것은 머리 위에 또 머리를 얹는 어리석은 행위일 뿐이요, 깨달음은 잠오면 자고, 먹고 싶으면 먹는 그런 평상 가운데 있다고 말씀하신다. 평상 가운데 있으니 참선도 말고, 경도 읽지 않고 하루하루 보내는 될 일이 아닌가? 이미 다 갖춘 부처가 부처되는 일로 자신을 괴롭히는 일이 귀중한 금가루를 눈에 넣는 일이 아니겠는가?

그런데도 시간을 헛되이 보내지 말라고도 하신다. 우주의 진리를 뉴턴이나 아이슈타인이 만들어 낼 수는 없는 것이다. 그저 발견할 뿐이다. 우주에 대해 바른 견해를 가질 수 있을 뿐이다. 이미 가진 것도 있는 줄 모르면 쓸 수가 없다. 이미 진리가 온전하여도 순리를 모르는 이에게는 아무 소용이 없다. 그러니 시간을 헛되이 보낼 수가 없는 것이다. 오직 간절함이 해결할 것 없는 이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으리라.

그러나 밖으로 구하지 말라는 말을 듣고, 누가 안을 들여다 본다면 그 어리석음은 앞의 어리석음과 다르지 않을 것이다.  

===============================

도를 배우는 여러분이여, 불법은 공을 써서 힘써 조작할 것이 없다. 다만 평상대로 해야 아무 일이 없다. 대변을 보고 소변을 보며 옷을 입고 밥을 먹으며 피곤하면 누워서 쉽다. 어리석은 사람은 알지 못하고 비웃지만 지혜 있는 사람은 잘 안다. 옛사람도 이르기를 '밖을 향하여 공부하는 것은 다 크게 어리석은 놈이다'고 했다.

눈먼 사람아, 머리 위에 또 머리를 얹으려고 하는구나. 그대 무엇이 모자라는 것이 있느냐? 내 눈앞에서 작용하는 그대 자신이 조사인 부처와 다를 게 하나도 없다. 왜 믿지 않고 바로 밖으로만 구하느냐? 잘못해서는 안 된다. 밖에도 법이 없고 안에도 얻을 게 하나도 없다.

그대들이 아는 것이 있으면 바로 다른 사람을 경멸히 여겨서 승부를 다투는 아수라가 된다. 그래서 나다, 너다 하는 깜깜한 마음으로 지옥에 떨어지는 악업을 더욱 더욱 짓는다.

여러분, 우물쭈물 날을 헛되이 보내지 말라. 나도 옛날에 깨닫지 못했을 때에 깜깜해서 아득해었다. 광음을 헛되이 보낼 수가 없어서 뱃속은 불이 나고 마음은 바빠서 부산하게 도를 찾아 물었다. 그러한 후에 훌륭한 선지식의 법력을 입어서 비로소 오늘 여러분과 이와 같이 이야기할 수 있게끔 된 것이다. 도 배우는 여러분에게 권하노라. 의식을 위해서 살지 말라.

왕사시는 말했다. "경도 안 보고 참선도 하지 않으면 필경 무엇을 합니까?" 임제스님이 말했다. "모두 저 사람들을 부처로 되게 하고 조사로 되게 하느니라" 왕상시는 말했다. "금가루는 귀중하지만 눈에 들어가면 눈병이 된다고 하는데 , 이것은 어떠합니까?임제스님이 말했다. "그대를 속인이라고만 생각했더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생활속의 기도법](일타 큰스님 ,1996, 효림) 중에서

============================================

사람의 한평생 가운데 제일 중요한 순간은 언제인가? 죽기 직전이 가장 중요하다. 죽기 직전에 어떤 마음으로 죽느냐에 따라 내생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럼 하루 중에는 언제가 가장 중요한 시간인가? 잠들기 직전의 5분이 가장 중요한 시간이다. 왜 잠들기 직전의 5분이 가장 중요한가?

깨어있는 동안 우리는 의식의 세계에서 활동한다. 그러나 잠이 들면 잠재의식의 세계로 들어갔다가 지극히 고요한 무의식의 세계로 빠져들게 된다. 그런데 우리의 모든 의식적 활동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잠재의식 또는 무의식의 조정을 받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의식의 세계를 보다 훌륭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잠재의식과 무의식을 잘 개발해야 한다......

잠자기 전의 5분 집중은 3시간, 5시간, 7시간의 집중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발~* 2004-04-02 07: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동안 잊고 있었는데, 으음... 다시 시작해야겠습니다.^^

비발~* 2004-04-02 07: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하하, 윗 코멘트 쓰다가 코멘트를 쓰면 복이와요 쿠폰에 당첨되었습니다. 아싸!

이누아 2004-04-02 21: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드립니다.
 

전부 권영훈 선생님의 중용강의 테잎을 들었다. 오전마다 테잎을 들으면서 중용책을 보고, 감산 대사의 풀이도 함께 읽었다.

선생님의 강의는 중용 원문과 주자의 주까지 모두 해석해 주시고 난 후에 해설을 하시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선생님 말씀처럼 강의의 많은 부분은 선생님의 "잔소리"로 이루어져 있다. 보이지 않는 것에 마음을 두는 것, 보다 중요한 것을 가려 보는 법,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에 대한 해답을 찾는 것이야말로 생에서 할 일이라고 설하신다.

강의를 그대로 녹음해 두어서 선생님께서 내 앞에서 큰 소리로 얘기하시는 듯한 느낌이다.

시커먼 한문으로 도배된 책을 홀로 펼치는 것이 두려운 사람에게 강의는 훌륭한 안내자다. 마음으로 읽어야 하는 책들은 더욱 그러하다. 알라딘에도 중용 강의 테잎이 있던데 아쉽게도 전부 선생님의 강의 테잎은 보이지 않는다. 선생님이 유명하지 않아서? 그렇지는 않다. 대구에서 한문하는 사람은 누구나 다 아시는 분이시고, 지금은 서울에서 더 강의가 많으시다.

전부 선생님 강의 테잎은 주역과 중용, 대학, 도덕경 등이 있다. 행여라도 강의를 듣고 싶거나 테잎을 구입하고 싶은 분이 있다면 여기에 메모를 남기시면 도와드릴 수 있다.

혼자 듣기 아쉬운 마음에 글 남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발~* 2004-03-27 12: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서로 펴내신 건 없나요?

이누아 2004-03-27 12: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막문인생],[십만전],[청선일곡],[백두옹] 등의 책을 출판하셨는데 이 책들은 고전강의가 아니라 시나 에세이 류입니다. 선생님께 배우는 학생들의 게으름으로 강의하신 내용이 책으로 정리되지 못했습니다(강의정리는 제자들 몫이겠지요). 대신 서울이나 대구에 계신 분은 직접 강의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서울 강의는 주로 토요일에 있습니다. 무슨 강의를 하고 계신지, 정확한 시간이 어떤지는 저도 서울 계신 분에 문의한 뒤에 다시 올려 두겠습니다.
 

책을 읽고나서 그냥 덮지 말고 뭐라도 한자 적으면 정리도 되고 좋을 듯해서 알라딘 서평을 적기로 했다. 그런데 그냥 느낌을 적는 것인데도 혹시 다른 사람의 책선택에 영향을 줄까 염려가 될 때가 있다. 특히 그다지 관심있게 보지 못한 책일수록 더욱 그렇다. 나는 책을 선택할 때 마이리뷰를 참조하는 편인데 다른 이들도 그럴 수 있으리라 생각하면 나는 재미없게 읽었지만 사람마다 다를텐데 하는 생각이 든다.

물론 내가 재미있게 읽은 책은, 쉽게 말해서 별 다섯개를 표시할 수 있는 책에 대해 말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이런 이유로 책을 읽은 후에도 글을 적지 못할 때가 많다. 사실 오늘 적은 [절간이야기]가 그런 책 중에 하나다. 아주 주관적으로 어둡게 본 책으로 나라면 다른 이에게 권하지 않을 것 같지만 다른 이는 아주 다르게 볼 수 있는 책..

새삼 비평가들이 쉽지 않은 일을 하는 사람들로 여겨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