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방범 3 블랙펜 클럽 BLACK PEN CLUB 30
미야베 미유키 지음, 양억관 옮김 / 문학동네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어느날이었다 (날짜는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하겠다) 알라딘을 돌아다니다 모방범에 대한 소개를 읽고

들었던 느낌.."재미는 있겠다" 그리고 나서 약속이 있어 시내에 갔다가 시간이 좀 남길래 모서점에가서

책들을 기웃거리는데... 신간 코너에 모방범이 있길래 1권을 읽었다... 약속 시간이 되어 나가야 하는데

책을 놓을 수가 없어서 알라딘의 마일리지와 기타 등등의 혜택을 포기하고 1권만 계산하고 나왔다.

이게 미야베 미유키와의 첫 만남이었다

추리소설을 잘 읽지 않았던 내가 혹했던건 사건도 사건이지만 그 속에 연관된 사람들의 치밀한 심리

묘사가 너무나 뛰어났기 때문이었다. 덕분에 일본에서 좀 나갔다는 추리소설을 읽게 만들었으니

미야베 미유키는 요즘 뜨는 일본소설의 한 복판으로 나를 이끈 공로자라 해야 하겠다.

범죄만큼 인간의 심리가 극한적으로 표현되는 사건이 있을까? 어떠한 범죄든 사회적 금기를 어기고

자신의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저지른 일일텐데... 거기에서 드러나는 인간들간의 갈등, 욕망.

선함과 악함. 밝음과 어두움이 적절하게 버무려진 최고의 작품이 아닌가 한다

두께도 좀 된다. 그것도 세권씩이나.... 근데 잘 넘어간다.... 일본식 이름이 낯설어서 가끔 헷갈리기는

하지만 그래도 모든 장애를 넘어서는 탄탄한 서사구조와 생동감 있는 인물의 묘사는 독자로 하여금

아낌없는 찬사를 이끌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즐겨 찾는 서재가 몇개 있다. 글들이 넘 좋아서 또는 어느 한 분야에 몰입하는 열정이 좋아서 또는

내가 가질 수 없었던 전문성 및 자료를 미리미리 챙겨 주니까... 난 오전에 그분들의 새로운 글들을 읽고

아주 가끔 댓글도 달고 한다.

그분들이 나를 잘 모른다고 해도, 그분들이 올리는 일상사와 자료와 리뷰를 기꺼워하고 감탄하며, 즐기기

에 어느새 내 일상의 주요한 분들이 되었다. 그 분들 덕에 고종석을 새로 발견했고, 조지오웰을 다시 읽었

으며, 지젝과 라캉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그 분들 처럼 나도 내가 읽은 글에 대해서 잘 정리해야겠다는 새해 목표도 세울 수 있었다.

그건 그 분들에 대한 부러움(=시기심) 이며, 내 자신의 나태한 독서에 대한 일종의 징벌(=보상)이었다

모두가 느끼듯이 책값이 넘 비싸서, 능력에 비해 턱없이 책욕심이 많은 나는 알라딘의 리뷰에 상당히

많은 부채를 지고 있는 사람이다. 내 주무대는 헌책방이고 (신촌의 숨어있는 책과 외국어대학교 근처의

신고서점) 헌책을 고를 때 책정보를 무한하게 제공해 주는 곳은 알라딘 리뷰다. 물론 다른 인터넷 서점

도 애용하지만 알라딘에 발을 들여놓은 후 회원등급이 올라감에 따라 딴 서점의 발길을 끊게 되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책을 많이 읽지 않는다는 건 모두가 공감하는 사실이고, 사실 책을 읽으려고 해도

안내자를 마땅히 구하기 힘든 때에 인터넷 리뷰어들이야 말로 독서의 세계에서 소금과 빛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나에게 중복리뷰에 대한 논란은 참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정보화가 진전된 자본주의 사회다 보니 개인적인 독서평이 돈이 되는 세상이 되다 보니 생길 수도 있

는 잡음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가만히 들여다 보면 책을 좀 많이 읽었다는 사람들의 독선이 논쟁의

바닥에 깔린 듯한 느낌이 들어 괜한 심술이 나기도 한다. 내가 쓴글을 내가 올린다는게 도데체 왜 비

난을 받아야 하는지.... 난 그걸 모르겠다. 찌질한 돈 몇푼 때문에 욕을 먹어야 한다?

그럴 수도 있다 그런데 그 만큼 노력했으면.... 찌질한 돈 좀 받으면 안되나? 난 그렇게 하고 싶어도

게을러서 못한다. 그런데 그렇게 부지런히 하는 사람이 있으면 좀 보상해도 되지 않겠나?

관심이 있기 때문에 또는 정보가 필요해서 리뷰를 참고하는 많은 사람들을 좀 생각해 주었으면한다.

그들의 입장에서 단 하나의 인기없는 책이라도 읽은 이의 평가가 소중한 법이다. 그러니 어디다

중복해서 게재하건 그게 무슨 상관인가? 자신이 아끼기에 추천하고 싶어서 또는 자신이 봐도 이거

아닌 책들에 홀리는 걸 막기 위해서 책에 대한 정보를 찾는 사람들을 위해 제공하는 건 전체로 봐서

선이다. 결코 악은 아닐 것이다.  그런 일반인을 무시하고 리뷰를 좀 쓰는 사람들의 논쟁으로 끝나서는

아쉬울 것 같다.

책을 사랑하고 책 읽는 이들과 소통하고 싶어서 리뷰를 중복한 분들은 무슨 비판이건 무시하고 열심히

중복해서 리뷰를 올려달라... 정보는 끊임없이 소통하고 흘러야 정보인 것이다. 내가 게으르지만 않다면

알라딘뿐 아니라 어디다든 나의 리뷰를 올릴 것이다 (쩝 게을러서 큰소리 쳐보긴 처음이네...ㅋ)

잘 모르지만 항상 리뷰를 많이 올리시면서 이번 사태에 많은 심적고통을 당하신 물만두님 힘내시고

로쟈님, 딸리님, 바람구두님 항상 고맙게 생각하고 있다고 전해드리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천 개의 공감 - 김형경 심리 치유 에세이
김형경 지음 / 한겨레출판 / 2006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천 개의 공감을 읽으며, 참 많이 우울했다. 언젠가 지인에게 사람풍경을 소개 받으며 작가가 우울증으로

무척이나 괴로워 했구나하는 느낌을 가졌는데, 천 개의 공감에서는 무척이나 많은 사람들이 심적인 병을

앓고 있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더불어 책을 읽는 내내 과연 나는 "정상적"인지에 대해 끊임없이 되물어

보게 만드는 책이었다.

'사랑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을 책장에 두고 읽어야지 하다가 천 개의 공감을 읽고서 손에 잡았다.

소설에서도 작가가 느껴왔을 심적 고통에 대해 느껴지면서 이 지난한 고통을 감내하고 다른 사람들의

고통까지 껴안고 상담하게 된 작가에 대한 대견함을 느낀다.

심리학이라는 학문은 여러가지로 나를 자극하는 학문이다. 그러나 교과서에서 서술하는 이론들이나

사례들과 프로이트와 라캉을 읽으면서 이해할 수 없었던 현실적 부분들에 대해 이 책이 주는 생생함과

이론적 정연함은 또 다른 탐구욕을 불러 일으킨다.

무엇보다 책을 읽으면서 "그럼 나는 어떠한가"라는 질문을 수없이 던지게 만들고 책들에서 소개된

고민들과 "나"를 끊임없이 교차하게 만드는 긴장감은 오랫만에 즐거운 독서의 경험을 주었다

내가 "정신적으로 올바르기" 때문에 심리학적 상처를 느끼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에 대하여

완강한 "방어"을 하고 있음을 깨달았다고나 할까?

도데체 내 안에는 또 누가 웅크리고 있는가.... 올 한해는 또 다른 나를 찾아 통합하는 한 해로 삼아

야겠다는 목표하나를 추가시키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탈로니아 찬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6
조지 오웰 지음, 정영목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퇴근 짬을 이용해서 이 책을 내내 읽어가면서 꿈속에서 여러가지 영상들이 뒤섞이는 경험을 해야했다.

사실 이 소설을 쓴 작가에 대해서 난 커다란 편견을 가지고 있었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 교과서에 무수하게 등장하는 '1984'나 '동물농장'에 대한 평을 보면서, 마치 좌파를 매장시키기위해 글을 쓰는 사람이라는 무지와 편견을 끌고가다 이 책을 읽고 전면적인 수정을 해야 했다

스페인 내전 속에서, 많은 인간들 (일상의 인간이 아닌 전쟁속의 인간들)을 접하고, 정치와 권력의 구조에 신음하는 작가에게 자본주의의 외피를 쓰건 사회주의의 외피를 쓰건, 인간을 대상화하는 전체주의에 대하여 어찌 좋은 감정을 가질 수 있었을까? 다만, 이 사회가 작가의 작품을 빌어 마치 특정 대상을 비판하는 것처럼 이데올로기 조작과 공세를 펼칠때, 거리두기를 못하고 그대로 믿고 편견을 가진 내 자신이 부끄러웠을 뿐이다.

말하건데 재미를 따지자면 읽지 못할 책이다. 그러나 읽고난 후 역사와 인간이란 주제에 대하여 통찰력을 얻고 싶다면 무조건 읽어야 할 책이다. 다만 내 경험칙 상 역사에 대하여 정보와 고민이 어우러진다면, 정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하고 싶다. 세상을 알기위해서는 어느정도의 시간과 노력을 투여해야 한다는 진실이 여기서도 관통하나보다.

이 책을 읽는 내내 꿈속에서 이리저리 파편적으로 펼쳐진 영상은 켄로치 감독의 'Land and Freedom' 이었다. 마지막 책장을 덮으면서 깨달았다. 순간 켄로치 감독이 이 소설을 대본으로 하여 영화를 찍은게 아닐까하는 개인적인 의문이 들 정도였다



이 영화를 다시 보고 싶어서 알라딘에서 뒤져보니, 없는 것 같아 많이 섭섭했다. 절판된건지 수입되지도 않은건지 알 수도 없고....

직장 초기에 이 영화를 보고 마지막에 붉은 군대에 포위된 인민전선 의용군을 보고 여러가지 의문을 가졌었다. 스페인내전에 대해 좀 더 알아봐야지 하면서 지금까지 묻어두고 있다가 카탈로니아 찬가를 읽으면서 그당시 가졌던 의문점을 해소할 수 있었다.  씁쓸해하면서.....

카탈로니아 찬가 와 'Land and Freedom' 은 잘 어울이는 짝이라고나 할까

어떻게던 다시 'Land and Freedom' 을 찾아 봐야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귀를기울이면 2006-12-11 12: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Land and Freedom' 은 카탈로니아 찬가를 바탕으로 만든 영화라고 합니다. 참고하세요^^

작은짐승 2007-01-03 17: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최근 개봉되 '보리밭..'하고 'Land and freedom' 은 켄 로치 영화 중에서는 가장 쉽게 구할 수 있는 편인 것 같아요. 저 같은 경우는 p2p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봤지만, 해외 DVD를 취급하는 곳에서 구입하거나 대학도서관의 미디어실 등을 이용해도 쉽게 볼 수 있을 겁니다~ 저도 이 책 보면서 Land and freedom 생각이 많이 났지요^^;;
 
 전출처 : panda78 > The Early Renaissance in Florence


Masolino da Panicale
The Annunciation, probably 1425/1430

 


Masolino da Panicale
The Archangel Gabriel, probably 1420/1430

 


Masolino da Panicale
The Virgin Annunciate, probably 1420/1430

 


Florentine 15th Century
Matteo Olivieri, 1440/1450

 


Florentine 15th Century
Profile Portrait of a Young Man, 1430/1450

 


Domenico Veneziano
Madonna and Child, c. 1445

 


Domenico Veneziano
Saint Francis Receiving the Stigmata, c. 1445

 


Domenico Veneziano
Saint John in the Desert, c. 1445

 

 


Fra Angelico and Fra Filippo Lippi
The Adoration of the Magi, c. 1445

 


Attributed to Fra Angelico
The Entombment, c. 1445

 


Fra Angelico
The Healing of Palladia by Saint Cosmas and Saint Damian, probably 1438/1443

 


Fra Angelico
The Madonna of Humility, c. 1430

 


Fra Filippo Lippi
The Annunciation, probably after 1440

 


Fra Filippo Lippi
Madonna and Child, 1440/1445

 


Fra Filippo Lippi and Workshop
The Nativity, probably c. 1445

 

Fra Filippo Lippi
Saint Benedict Orders Saint Maurus to the Rescue of Saint Placidus, c. 1445

 

 


Andrea del Castagno
Portrait of a Man, c. 1450

 


Andrea del Castagno
The Youthful David, c. 1450

 


Benozzo Gozzoli
The Dance of Salome, 1461/1462

 


Benozzo Gozzoli
The Raising of Lazarus, probably 1497

 


Benozzo Gozzoli
Saint Ursula with Angels and Donor, c. 1455

 

 


Fra Carnevale
The Annunciation, c. 1448

http://blog.naver.com/geist10.d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