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납치여행
가쿠다 미츠요 지음, 김난주 옮김 / 해냄 / 200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쿠다 미쓰요의 "납치 여행"을 간신히 다 읽었다.

21개월된 딸, 44개월될 아들 사이에서 내 시간을 내기란 너무나도 힘들다. 오늘은 딸아이의 손에 이끌려 아파트 곳곳을 누비는 틈틈이 조금씩 시간을 내서 일주일 만에 정말로 간~신~히 다 읽은 것이다.

그런데 조금은 뭔가 아쉬운 느낌이랄까, 뭐 그런 느낌이다. 로드 무비를 보는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하고, 너무 가볍게 끝난 것 같기도 하고,  아직 정리되지 않지만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이게 이 작가가 즐겨 쓴다는 "여운"의 느낌일까? 아쉬움, 부족함, 가벼움=여운?? 알 수 없다. 내가 이 작품을 너무 평가절하한 것은 아닐까 하는 걱정이 들기도 한다. 아무래도 작년에 읽은 "여름이 준 선물"에 버금가는 감동을 주지 못해서 자꾸 아쉽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리라. 

그래도 이 책을 읽으며 떠오르는 몇 가지 인상적인 장면들이 많다.

바닷가에서 자신의 속이야기까지 아무렇지도 않게 이야기해주던 치즈와의 만남, 아빠를 납치범이라고 온 천하에 알리고 경찰서에까지 갔던 일, 밤바다에서 아빠와 수영하며 느꼈던 황홀한 기분, 절에서 자며 공동묘지 근처를 한밤에 거닐며 보았던 반딧불이의 신비로운 불빛(할머니가 들려 주었던 으시시한 소문 이야기), 공원에서 바베큐를 먹고 버려진 텐트 속에서 잠을 자며 캠핑하던 일, 버려지고 바퀴에 바람이 다 빠져 덜컹거리는 자전거를 새벽까지 타고 아빠 친구집에 가서 돈을 꾸던 일(가다가 중간에 라면 하나를 아빠와 같이 나눠 먹던 일이며, 12시가 넘을 즈음 지쳐 공원에서 서로에게 기대어 잠을 잤던 기억도 부러운 장면 중 하나이다.) 

어쩌면 나도 하루같은 이런 여행을 꿈꾸는 것인지 모른다. 하지만 무작정 떠나자는 생각 뒤로 줄줄이 따라오는 온갖 근심, 걱정들... 밥은 어떻게 먹지? 잠은 어디서 자고? 돈은 얼만큼 쓰게 될까? 빨래는 어디서 하지? 더위와 고생에 지쳐 너무 지저분해 보이지 않을까? 갔다 와서 괜히 갔었다는 생각이 들면? 하여튼 걱정이 한도 끝도 없다. 

하지만 이 모든 것들을 감수하고 떠나는 자에게 이 책에서 보여준 것과 같은 값진 체험이 주어지는 것이다. 물론 하루의 아버지처럼 현대 사회에서 요구하는 것(책임감이 강하고 매사에 꼼꼼하며 미래에 닥칠 일에 대비할 수 있으며 항상 깔끔하고 깨끗하고 항상 규칙적으로 출근했다 퇴근하는 모범적인 사람? 재미없는 사람 아닐까?)을 모두 만족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지만...

하루의 아버지보다도 이 책에서 주목하는 사람은 하루의 이모 유코이다. 참으로 맘에 드는 인물이다. 이 소설에서 그리 많이 언급된 인물은 아니지만 인생을 즐길 수 있는 하루의 아빠와 코드가 어느 정도 맞는 인물이 아닐까 싶다.

"선택할 수 있는 것 중에서 제일 소중한 것을 고르고 나면 선택할 수 없는 것 따위는 아무래도 상관없어지거든. 싫으면 잊어버려도 되고, 좋으면 같이 있어도 되고. 그런 것들이 아무래도 상관없어진 후에 생각해 보니까, 그렇게 싫은 것도 아니라는 걸 알겠더라구. 그래서 내가 너희 집에 자주 놀러 가잖니." 146쪽

하루는 유코 이모의 이 말을 이해할 수 없다고 되어있지만 나로서는 참으로 맘에 드는 말이다. 유코가 언니와 엄마가 싫었다고 자기 조카인 하루에게 고백하는 것처럼, 나도 사실은 나의 아빠라는 사람이 정말 너무너무 싫고 유코가 말한 것처럼 부모는 왜 내가 선택할 수 있는 권리가 없는 것인지 안타깝기만 했다. 하지만 지금은 최상의 선택 내지 탁월한 선택은 아닐지라도 나를 사랑한다고 말해주는 남편(결국 이 사람이 유코가 말하는 선택할 수 있는 것 중에서 제일 소중한 것이 되는 것일까?)이 있기에 아빠 와의 불편한 관계도 참을 수 있을 지도 모르겠다.

지금 생각났는데 이 소설이 그리 탐탁치 않았던 것은 바로 아빠와 딸의 여행이라는 설정으로 인해 내 맘이 계속 불편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만약 나보고 이런 설정 하에서 지금의 우리 아빠와 단 둘이 여행을 하라고 했다면 나는 미쳐버렸을지도 모른다. 이렇게 아빠를 싫어하는 나 자신을 용납하기가 힘들고 이런 나를 나의 자식들은 어떻게 생각할 지 상상한다는 것은 너무나도 고통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아빠는 싫다는 나의 생각은 아마 변하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난 아직도 친정에 얹혀 살고 있다.

이번 방학 때는 제발 이 지겨운 공간을 떠나 단 일주일이라도 하루와 같은 조금은 초췌하고 보기에는 지저분할 지라도 자유분방한 여행을 떠났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 나의 이런 감정 변화에 둔감한 남편은 아직도 여행을 떠나려는 마음 조차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다. 얼른얼른 서둘러야 하는데. 방학을 이렇게 서로의 감정을 긁으며 같은 공간에서 죽일 수는 없지 않은가?

하루가 부러울 뿐이다. 그런 아빠를 두었다는 것이. 아빠 와의 잊지 못할 추억거리가 있다는 것이. 아마도 이 모든 추억거리들이 하루를 키우게 될 것이다. 여름이 준 선물에서 할아버지와의 추억이 류를 자라게 한 것 처럼. 그러고 보니 두 소설 사이에도 비슷한 점이 있었군. 놀라운 발견이다. 아니, 뭐 그렇게 놀라울 것도 없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름이 준 선물 - 쉼표와 느낌표 1
유모토 가즈미 지음, 이선희 옮김 / 푸른숲 / 2002년 9월
평점 :
절판


내가 좋아하는 최시한 님의 "모두 아름다운 아이들"과 좀 비슷한 느낌을 받은 책이다. 특히 '류'의 시선이 그런 느낌이 많이 들게 했다. 결국 어른들은 보지 못하는 소중한 것들을 찾아내는 아이들의 따뜻한 시선. 작가가 드라마작가였다는 이력과 책의 겉표지가 마음에 안 든다는 이유로 한 1년을 처박어두었던 책인데 이번 여름을 맞이해서 한 번 읽어 보았는데 나의 지나간 학창시절이 많이 떠올랐다.

  그냥 이상하게 잊고 지내던 기억들이 영화의 한 장면처럼 떠올랐다.

  고3 때. 서태지가 "됐어, 됐어, 이런 가르침은 됐어." 노래를 하며 대다수의 10대들을 열광시킬 때도 별 감흥없이 보내던 나는 어쩌면 닿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기대를 갖고 멀리 있는 "S대"를 향해 오로지 공부만 하려고 노력을 했다. 그런데 아마도 가을의 문턱이었나 보다. 2학년 때 같은 반이었던 한 아이가 자살을 했다는 아주 충격적인 소식을 듣게 되었다. 그 날 밤 12시까지 야자를 하던 우리 학교는 아주 이례적으로 보충이 끝난 직후 아이들을 모두 집으로 돌려보냈다. 참 예민하던 그 시기, 난 이렇게 죽자사자 공부를 하는 이유조차 모른채 한 친구의 죽음을 맞이했다는 충격으로 학교에서 집까지 거의 1시간을 하염없이 걸었다. 끝모를 생각을 하면서... 물론 그 친구의 죽음은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뿐만은 아니었지만. 2학년 때 수학여행으로 대전엑스포에 가서 컴퓨터점을 본 뒤, 그 친구는 몇 가지 질병으로 죽을 것이라는 말을 하며 유쾌하게 웃었던 기억이 갑자기 난다. 이런 기억들도 나를 키워준 것 중에 하나겠지.

  이 친구가 어려울 때도 여기에 나온 할아버지 같은 분이 있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냥 나도 이 책에 나온 할아버지와 같은 존재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려울 때마다 어떠한 지침을 보여 주는 그런 존재. 그냥 가끔 사는 게 너무 힘들 때 들려 수박이나 같이 먹으며 잠시 쉬어갈 수 있는 그런 곳. 그런 의미에서 류, 모리, 하라는 정말 운이 좋은 녀석들이다.

  살다보면 이런 저런 힘든 사연을 갖고 그 안에 갖혀버릴 때가 있다. 그런 사람들한테 권하면 좋을 것 같다. 여름이 끝나기 전에 읽어서 참 기분이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