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
루이스 알베르토 우레아 지음, 심연희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12월
평점 :

루이스 알베르토 우레아 장편소설,
대가족을 생각해보며 빠져드는
The house of Broken angels.
총평으로 말씀드려보자면,
대가족, 그 집단에서의
운명처럼 엮여진 알듯 말듯 연결.
그 화학적인 상황이 총체로 엮어지는
그리하여, '빅 엔젤'!
하고 마지막 단어를 얘기한달까요.
죽음이라, 그건 참으로
우습고도 현실적인 농담이지
작가 루이스 알베르토 우레아는
형님네 부부의 모습을 보며 모티브를 삼아
가족의 그 세밀한 모습을 장편소설로 담아봅니다.
처음에는 그냥.. 그래, 가족은 그래.. 하지만
인물들의 세세한 상황을 들여다보면서
오. 이런! 이것이 '가족'이지 하고 생각이 들어요.
게다가, 그 중심에는 '빅엔젤의 죽음'이라는
핵심적인 사건이 '샘의 원천'인 마냥 뿜어져있습니다.
침묵
즐거운 이야기
굴
고통 없는 하루
빅엔젤은 두 아들을 둔 여인을 사랑하게 됩니다.
멕시코 가족을 생각하면 우리 가족들처럼
가족애가 참 많이 끈끈하다 싶어요,
(전에 읽은 책에서도 그렇듯)정답! 이 장편소설,
끈끈한 가족애가 소설의 기저로 깔려있지요.
장편소설 <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은
빅 엔젤의 마지막 생일을 앞두고,
그리고 빅 엔젤의 노모의 장례식과 결부하여
'가족 행사'라는 이벤트를 두고 가족이 모입니다.
너무 가까우면 부담스럽듯이,
이 가족도 또한 너무 가까움에서 오는 현타들.
그리하여 '침묵'이 오히려 나은걸까? 생각도 들어요.
대가족이 이뤄지다보면 그 구성원들간에
이해하지 못하는 일들에 대해 충격을 받게 되기도.
나도 알아.
나는 너한테 완벽한 형은 못 되었어.
빅 엔젤에게는 막둥이 '리틀 엔젤' 동생이 있습니다.
그 동생은 아버지가 미국 여인과 낳은 배다른 동생.
그 동생은 외모조차도 자신과 달랐기에,
뭔가 겉도는 듯한 느낌도 없잖아 있는데
그 겉돌음이 무시라기보다는 보통 이상의 존중.
하지만 리틀 엔젤은 빅 엔젤에 대해서 신의를 가지니.
빅 엔젤은 가족의 중심에서 모두를 아우르고
모두를 보살피고자 하는 책임감의 상징.
그럼에도 동생에게 죽음을 앞두고 미안해합니다.
그리고, 가족의 비밀을 털어놓게 되지요...
그 비밀, 과희 강한 임팩트인터라,
'가족 이야기'에 관한 장편소설을 즐기는 독자시라면
책으로 들어가보시기를 추천해봅니다.
내 앞에서 비켜, 멍청아.
빅 엔젤은 스케일이 큰 진정한 큰 형님.
죽음을 앞둔 마당에서도
가족을 아우르는 그의 포스는 보통이 아니에요.
장편소설 <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은
대가족에 관한 이야기를 조곤조곤 끌어봅니다.
가까운 듯 먼 가족 같으나,
그 기저에 있는 '우리'라는 신의를 마주하며,
가족애 가득한 한국 사회인터라 더더 공감하게 되는
'가족행사'인 집안 어른 빅엔젤의 마지막 생일파티.
두깨감에도 불구하고,
따뜻한 음료와 함께 감성에 빠져보게된 장편소설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