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몰입의 즐거움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지음, 이희재 옮김 / 해냄 / 2021년 5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517/pimg_7517851862950553.jpg)
출간 20주년 기념 스페셜 에디션으로 만나보게 된
자기계발서 <몰입의 즐거움: 리커버판>.
몰입이 시간을 더 가치롭게 만든다는 것은
부모교육 영상으로 알게 되기도 했는데요.
인문서의 바이블로 '몰입'의 주창자인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박사의 책으로
'몰입'의 가치를 제대로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j/w/jwpark79/temp/IMG_IMG_3938.jpg)
삶의 질을 결정하는 것은
마주하는 일 자체라기보다
스스로 어떻게 받아들이느냐는
경험의 내용이라는 것.
스터디셀러 <몰입의 즐거움>을 통해
기본적으로 배워야하는 태도는,
나의 삶에 대한 인식의 자세였다 생각이 듭니다.
우리의 시간이
생산활동/유지활동/ 여가활동으로 소비되고
사회적활동 영역에서의 인간관계가
안면없는 사람, 동료, 급우 등 공적영역/
가족 영역/ 타인의 부재 영역으로 엮이는데
책에서는 일 자체에 관한 자세와 더불어
인간관계에 대한 태도에 관해서도 살펴보며
인문학적인 풀이가 함께 하는 자기계발서로서
우리에게 지혜를 풀어주고 있었습니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j/w/jwpark79/temp/IMG_IMG_3940.jpg)
몰입은 쉽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아주 버겁지도 않은 과제를
극복하는 데 한 사람이 자신의 실력을 온통 쏟아부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행동력과 기회 사이에 조화가 이루어질 때 우리는 바람직한 경험을 하게 된다.
'몰입'의 개념은
과제를 풀어가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집중력이 발휘되는 상태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과제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해보면서 그 목표를 잡고
나의 역량과 실력을 쏟아부어 극복하는 과정이
나의 의지로 이뤄지게 된다면
이 경험 자체에서 단조로운 일상에 또 다른 의미가 생기게 된답니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j/w/jwpark79/temp/IMG_IMG_3941.jpg)
일에 대해서 우리는 이중적인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일이 없으면 무료하다는 생각도 있으나
또한 일을 되도록 덜하고 싶다는 회피의 태도도 있거든요.
일이 우리에게 의미하는 바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기에
같은 일을 두고도 이에 대한 감상은 또 다르기 마련입니다.
<몰입의 즐거움>에서 추천하는 자세는
일상적인 일이라고 할 지라도,
이 일의 의미를 더 새겨보면서
외부보상으로 움직이기보다는
'자기목적성'으로 스스로 의미를 찾기였습니다.
또한, 주어지는 문화에 의해 내재되었던
가치평가 잣대가 은근한 강박으로 판단에 영향을 끼치니,
이에 대해서 편견에 좌우되지 않도록
창조적인 자세를 권하고 있습니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j/w/jwpark79/temp/IMG_IMG_3943.jpg)
시간이 없어서 주도적인 시간꾸리기가 어렵다 하면
일단, 지금 당장 내가 하는 일들을 보며
내 삶이 충실해질 수 있는 발전적인 패턴을 찾아봅시다.
외부 상황이 같다고 한다면,
내가 하고 있는 일상의 과정에서
의미를 부여하여 자기목적성을 누려볼 수 있습니다.
극적인 변신에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내 일을 더 가치있게 만들 수 있는 것은
결국 행동하는 나 자신이기 때문이지요.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j/w/jwpark79/temp/IMG_IMG_3942.jpg)
행복이 인간관계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타인으로부터 얻는 피드백이 우리의 의식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개인주의가 우선되는 사회로 나아가고 있지만,
실상 우리는 공동체에서 서로에 의지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하여, 인간관계에 대해서도 당연하게 느끼기보다는
시간과 에너지를 쏟아야 한답니다.
사회화는 행동을 틀을 잡아주는 데 그치지 않고
문화의 기대나 요구에 맞게끔 사람의 의식을 만들어나간다.
결국 우리 각각이 문화를 만들어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서로를 생각해야합니다.
사람 관계에서 마음이 무질서에 빠지지 않도록
- 우리 목표와 다른 사람의 목표 사이에서 합치점을 찾아내고,
- 다른 사람의 목표에 관심을 기울일 마음의 준비가 필요합니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j/w/jwpark79/temp/IMG_IMG_3944.jpg)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j/w/jwpark79/temp/IMG_IMG_3945.jpg)
자기계발서 <몰입의 즐거움>은
개인이 처한 상황에서 일이나 과제에 대해
그리고, 인간관계에 대해 '자기목적성'을
발휘하여 삶을 충실히 꾸려가기를 권장합니다.
그러면서, 주의해야 할 점이 '운명애'라는 철학이었습니다.
어쩔 수 없이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수동적으로 해석하기보다는
피할 수 없다면, 기꺼이 받아들이고
내 운명을 사랑하라는 관점이었습니다.
나라는 존재가 전체 현실을 구성하는 씨줄과 날줄의
일부분으로서 영원히 남는다는 깨달음으로 마무리하며
인문학적 관점이 돋보이는 자기계발서
<몰입의 즐거움>으로 삶을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