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 25 | 2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무엇이 옳은가 - 궁극의 질문들, 우리의 방향이 되다
후안 엔리케스 지음, 이경식 옮김 / 세계사 / 2022년 4월
평점 :
품절


마지막 책장을 덮으니 책 사이에 무수히 많은 색인지가 붙어 있었다.

각 장을 읽을 때마다 나오는 끊임없는 질문들에 파묻혀 질식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


 '무엇이 옳은가'

제목은 '옳음'에 대한 명쾌한 답변이 있을 듯했다.


그렇다면 나는 무슨 까닭으로 이 책을 썼을까?

내가 바라는 것은, 나 아닌 다른 똑똑한 사람들이 우리가 당연시하는

현재의 상태에 의문을 품고, 윤리적 딜레마들을 주제로

생각과 토론을 하는 것이다.

무엇이 옳은가 중

이 문장을 읽으며 으잉? 생각과 토론? 이란 생각이 들었고 처음으로 다시 돌아가 읽기 시작했다.

지나듯 그냥 읽었던 내용들을 저자가 제시했던 문제들을 다시 찬찬히 들여다보았다.

색인지의 숫자는 늘어가고 지금까지 살아오며 한 번도 생각해 보지 않았던 문제들과 직면하였다.

저자는 1장에서 6장까지 무수한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7장의 소제목이 '그래서···결론은?'을 보고 그래도 어떤 식으로든 결론을 내리려나 하였다.

상황이 점점 더 좋아지고 있지만 절대적으로

옳은 해답을 찾는 일은 어렵다.

윤리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진화할 것이다.

(중략)

인간성은 진화하는 윤리에 의해 주로 규정된다.

무엇이 옳은가 중

해답을 찾는 일은 어렵다니...

책을 끝까지 읽어야 알 수 있는 것인가?


시대가 변함에 따라 '옳고 그름'은 변해 왔다.

예전에는 일상적으로 통용되던 노예제도가 지금은 금지되었으며 비윤리적이라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한다.

그리고 예전의 노예제도를 비판하면서 동시에 인종차별은 여전히 존재한다.

우리가 지금 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미래세대에는 고도의 과학 발달로 우성유전자들로만 편집하여 인간을 새로이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한 미래세대의 '옳고 그름'은 어떻게 바뀌어 있을 것인가

현재 비윤리적인 많은 문제들이 미래에도 비윤리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최소한의 '인간다움' 인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서 생각하고 대화하고 비판하는 과정들이 있어야 할 것이다.


무엇이 옳은가

무엇이 옳은가 중


지금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가 미래세대의 평가를 알 수는 없다.

어느 날 외계의 생명체가 나타나 정의나 윤리관이 그동안 알던 것과 달리 새롭게 바뀔 수도 있다.

하지만 어떤 것이 '옳은가' 끊임없이 질문하고 생각하고 격렬히 토론하며 '옳은 정의'를 찾아가는 것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의 몫이 아닐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박의 여름
츠지무라 미즈키 지음, 구수영 옮김 / 내친구의서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는 내내 큰아들이 생각났다.

큰 아들에게는 많은 것이 미안하다.

가게를 운영한다고 돌도 지나지 않은 아이를 어린이집에 맡긴 거나, 그땐 몰랐지만 산후우울증이 심해서 우는 아들에게 히스테릭했던 거나 둘째 임신 때 일 때문에 시골 친정에 몇 달 맡긴 거나 둘째가 태어나 2살밖에 안되어 혼자 옷을 입고 신을 신고 유모차도 양보하고 걸어야 했던 거나 많은 일들이 미안했다.

그중에 가장 미안했던 건 둘째 임신을 알게 되자마자 큰아이에게 끊임없이 했던 말이다.

이제 동생이 생겼으니 아빠가 없을 때는 네가 엄마와 동생 보호자다 그러니 엄마도 많이 도와줘야 되고 동생도 이뻐해 줘야 된다고 매일 세뇌 수준으로 되뇌어 주었다.

1살이 겨우 지난 아이에게 말이다.

혼자 움직이기 힘든 나에겐 큰아이 하나만으로도 힘든데 둘째까지 생긴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곤 하지만 지나고 보니 너무나 미안하고 마음이 아팠다.

이 책을 읽으며 큰아이에게 내가 한 행동이 가스라이팅인 건가 하는 섬뜩한 생각까지 들었다.

다행히도 큰아이는 너무나 잘 자라 주었다.

자신의 진로도 혼자 척척 정하고 학교생활에서도 잘해 주었고 동생과도 싸움 없이 잘 지내 주었다.

언젠가 무슨 대화 중 작은 아이가 큰아이에게 지금까지 한 번도 맞아 본 적이 없다고 했다. 엄마 아빠가 없을 때에도...

주위 다른 형제들은 보니 매일이 전쟁통이던데 우리 집은 까칠한 작은 아이를 큰아이가 많이 이해해 주는 편이었다.

엄마와 함께 잠을 잘 수 있게 해주세요.

호박의 여름

엄마 아빠가 보고 싶어 소원을 빌면 이루진다는 샘에 부모님에게 선물 받은 물감을 흘려보내는 미카의 마음이 이해가 된다.

나도 가서 소원을 빌고 싶다.

몇 년 전 돌아가신 엄마는 어디를 그리 훨훨 다니시는지 꿈에 한번 찾오시지 않는다.

한 번이라도 좋으니 꿈에서라도 보고 싶다고 빌고 싶다.

노부는 없어도 된다고 생각하는 건 '따돌림'이야.

호박의 여름

겐 선생님이 말씀하였다.

초반부를 읽으며 겐 선생님 같은 분이 미래학교에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후반부의 반전을 보기 전까지는

문답 시간에 주고받는 대화들도 합리적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후반부에서 대답을 정해두고 그 대답을 유도한다는 이야기를 보고 다시 문답 부분으로 되돌아보니 정말 그랬다.

'가스라이팅'

그 안에서 당사자로 있을 때는 불합리하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다.

하지만 한 발만 물러나서 보면 불합리투성이라는 것이 너무나 투명하게 보인다.

얼마 전 있었던 '계곡 살인사건'도 가스라이팅 사건이다.

남편과 뉴스를 보며 어떻게 저럴 수 있나 했다

이 책을 보니 너무나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알았다.

두 아이에게 항상 어떤 일이던 선택하게 하고 의견을 듣는다고 생각했는데 답을 정해두고 선택을 유도 한 적은 없는지 뒤돌아보게 되었다.

어떤 말을 하던 한 번 더 생각을 하고 정리하고 말하는 습관을 들여야겠다.

계속 내버려 둔 주제에

미카, 나 기억해?

호박의 여름

다나카가 무심히 내뱉은 한 마디

노리코는 백골 소녀의 뉴스에서 시즈오카 현의 미래학교에서 백골 소녀가 발견되었다는 뉴스를 보기 전까지 3년간 여름방학마다 갔던 여름학교를 잊어버리고 있었다.

미카도 시게루도 모두 잊고 지내고 있었다.

발견된 백골 소녀가 미카가 아니길 바랐다.

프롤로그에서 보았던 그 다나카가!

노리코를 기억하지 못한다고 하는 미카.

그런 미카에게 노리코는 질문한다..

반전의 반전.

계속 혼자만의 비밀로 안고 있던 30년 전의 사건을 미카는 어떤 마음으로 견뎠을까?

당신에게 그렇게 생각하게 했다면,

그것 자체가 학대와도 같은, 당신의 미래를 얽어매는

사고방식입니다. 책임을 져야만 하는 건 어른들입니다.

당신은 아무 잘못도 하지 않았습니다!

호박의 여름

노리코가 미카에게 건넨 말이 가슴을 울렸다.

학대, 책임, 어른

미카는 30년 전 사건에 죄책감을 가지고 있었다.

다 너를, 너의 미래를 위한 것이라 어른들은 미카를 위로했지만 너라고 지칭하며 은근히 이 사건의 잘못을 미카에게 전가했다.

책임회피, 자기합리화를 하며 어른들은 어떤 생각을 했을까?

자신들의 행동과 말이 무슨 의미로 미카가 받아들일지 정말 몰랐을까?

책을 읽는 내내 나에게도 같은 질문을 던져본다.

아들들과 진지하게 한번 대화를 해 보아야겠다.

내 머릿속에 있는 투명하고 아름다운 '미래'.

아이의 머리를 쓰다듬으며 말하는, 아이들 안에만 있다는 '미래'.

내 속에 가득 차 있던 '미래'는 언제부터 사라져버린 것일까.

호박의 여름

미카의 독백이 귓가에 맴돈다.

아이들의 미래는 어른이 아니라 아이 스스로 선택하고 개척해 나가는 것이다.

부모는 그저 지켜봐 주고, 넘어지면 일어나라 응원해 주고, 지쳐 힘들어하면 가만히 등을 두들려주면 된다.

아이들 스스로 일어나 걸어가도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 25 | 2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