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만화라는데 이제 봤네.

아마 어제가 개강 날이어서 누군가 소환한 듯.

 

저 씁쓸함을 아는 사람은 알지.

그런데 저런 문은 내가 먼저 열지 않으면 절대 열리지 않는디는 것.

문 열고 먼저 나가면 되는데.

저 시절엔 그게 쉽지가 않지.

 

오늘도 방황하는 많은 다크템플러들에게

 

May the force be with you.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ransient-guest 2013-03-14 07: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가가는것이 쉽지만은 않죠.-_-:: 괜히 따돌리는 것 같고, 뭔가 주목받아야 할 것 같기도 하고...저도 경험한 적이 있어서 조금 공감하고 있습니다.

알케 2013-03-14 13:10   좋아요 0 | URL
지나놓고 보면 일종의 통과의례인데 많이들 넘어지죠.
 

 

 내가 버린 그녀가 이 노랠 들으면
흩어진 갈색머리 바람에 젖어..내 생각할까
그녀를 생각하면..이 노랠 부르면
사랑을 이별로 갚은 어리석은 날 미워할까

내가 버린거라 믿는지..넌 아직 모르고
내 맘 속 널 보내는 슬픔은 아무도 몰라주고

으음 단 한번 사랑했던 너의 갈색 향기
아직도 다른 사람은 꿈도 못 꾸는 나를 아니

11월 초겨울에 그리움 묻어와
갈색실 스웨터 보면 걸음 멈추는 나를 아니


내가 버린거라 믿는지 넌 아직 모르고
내 맘 속 널 보내는 슬픔은 아무도 몰라주고


내가 보낸 이율 아는지 다 알고 있는지
내가 버려진 눈물 속에서 지내온 걸 아는지
(I can wait for you)

이 노래는 윤건이 김연우와 부른 것도 있고 김범수와 함께 한 것도 있는데

나는 김연우와 윤건 버전이 더 좋다.

 

'잠포록'한 겨울 오후에 운전하면서 들으면

오른발에 힘이 슬쩍 들어가곤 한다.

 

윤건은 늘 멋있다.

 

연휴라고들 하던데 우리 동네에는 없는 괴이한 이국 풍습이어서

오늘도, 내일도 그 다음 날도 열심히 일만 할 터.

인생은 유한한데 어째 일은 무한한지.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slmo 2013-03-02 23: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잠포록하고 저뭇할 때 들음 더 죽음이지요, ㅋ~.
근데, 3월을 '겨울'이라고 하기엔...글쎄~(,.)

알케 2013-03-05 12:56   좋아요 0 | URL
삼월이라도 음력으론 아직 겨울이지요. ㅎㅎ


transient-guest 2013-03-14 07: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노랠 좋아하고, 윤건/김연우 버전을 더 좋아합니다. 김연우는 목소리가 참 아련하고 애절하게 추억에 빠지게 하는 힘이 있어요...
 

지난 해 대선 투표 날 저녁. 그 전 주부터 여럿이 모여서 맥주도 한 잔하며

개표 방송을 보기로 했다. 다섯시쯤에 여럿이 모여 sns에 뜬 다양한 소스의 청신호들과

저마다 들은 출구조사들을 나누며 흥겨웠다. 나도 그랬다.

 

나는 이미 네시부터 소주에 카스맥주를 무려 5:5의 비율로 타서

축하주를 마셔댄 터라 출구 조사가 나올 무렵에는 이미 안드로메다 성단 

다섯 정거장 전인 라그랑주 포인트 L2 좌표  쯤에서 헤매고 있었다.  

 

1분여를 남기고 화면에 카운트가 시작됐다. 누군가는 미리 함성을 지르고

누군가는 두 손을 모아 기도를 하고 나는 맥주잔에 소주를 부으며 속으로 카운트를 셌다.

 

...

 

출구조사가 화면에 뜬 순간.

그 찰나의 정적, 적요, 적막을 뭐라고 불러야 할까.

나는 아까운 소주를 반병 넘게 쏟았고 생전 욕 안하던 이 한 마디했다. 

'씨발' 

 

그 다음이야 뭐 이 땅 48%의 유권자가 그날 밤 경험했던 것들과 대동소이하다.

다들 별 말없이 술만 열심히 마셨다.

나는 라그랑즈 포인트에서 오도 가도 못하는 미아가 됐다..

그 날도, 그 다음 날도, 또 그 다음 날도. 지금도.

 

 

아무 생각없이 일만 열심히 하던 그 무렵에 제스 월터의 <시티즌 빈스>를 읽었다.

신용카드 위조범으로 살다가 내부 고발 후 증인보호 프로그램에 들어가 

낯선 촌 동네에서 도넛을 굽고 사는 한 사내의 이야기.

이 책의 시대적 배경도 1980년 미국 대선이다. 카터 대 레이건.

생전 처음 선거인 등록증을 받아본 빈스가 겪는 일주일간의 '천로역정'이다.

 

아직 이 책을 읽지 않은 사람들을 위해  '절름발이가 범인'이라고 외칠 수는 없지만 

말 그대로 '시티즌'..투표권을 가지고 있는 '시민'으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깨달아가는

과정에서 그가 마주치는 진실과 비밀 그리고 각성과 화해.

 

<시티즌 빈스>는 쟝르 소설이라는 범주에만 묶어두기에는 아까울 만큼 미덕이 많다.  

단정하고 안정적인 문체 그리고 매력적인 묘사. 부사구문을 최소화한 드라이하면서도

재치있는 문장들.

" 때로는 어둠이 내리면 바깥 세상의 저 많은 불빛 아래에서 과연 무슨 일이 벌어지 

  고 있을까 하는 궁금증이 걷잡을 수 없이 밀려들 때가 있다. 그리고 삶이 저절로

  움트거나 후회라는 감정이 도시 전체를 잘게 나누고 욕망이라는 이름의 작은 마을

  들로 바뀌는 상상으로 밤을 지새울 때도 있다. "

 

" 따뜻한 입김과 담배연기 사이로 사람들의 외로워 보인 윤곽이 드러났다 
  그들은 수없이 되풀이 한 거짓말을 또다시 되풀이 하리라"

 

" 이 세상은 마리화나를 피우는 경찰관, 심일조를 내는 도둑, 곰인형을 안고 자는

  부랑자, 도넛을 만드는 범죄자, 부동산업을 하는 매춘부들로 가득차 있다고 생각 

  했다."

나는 빈스의 행로를 따라가며 '거듭난다는 것', 즉 '회심'한다는 것에 대해서 생각했다.

기독교 근본주의자들의 클리쉐인 born again이 아닌 한 실존적 존재가 '대자적 각성'을

한다는 것 말이다. 사도 바울과 조지 부시에게는 예수가 거듭남의 포인트였겠지만

우리의 가련한 빈스에게는 난데없이 배달된 '선거인 등록증'이 다마섹 가는 '사울'에게

들이닥친 예수였다. 

 

빈스에게는 '카터냐 레이건이냐'가 아니라 그 '선거인 등록증'이 정상적인 삶, 

피크닉 도시락 식당을 열어 그럭저럭 살고 싶어하는 자신의 오랜 꿈,을 향한 열쇠가 된다.

 

하지만 개심과 회심에 댓가가 없으랴. '공짜 점심'이 있을리가 없잖은가. 

조지 부시는 약을 끊고 술도 끊었다. (그래서 더 바보가 됐는지 모르지만) 

사울은 바울이 되어 십자가에 못박혔다. 빈스도 댓가를 지불한다. 

갚지 못한 빚unpaid debt은 갚고 은원(恩怨)은 해결하고. 


그래서 <시티즌 빈스>는 빈스의 '천로역정'이라고 적은 위의 글이 옳다. 

과연 그런지 한번 보시기를.

 

빈스가 차린 피크닉 도시락 식당에 들러 그와 베시가 만든 도시락 하나를 들고 

볕 좋은 강가에 앉고 싶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랭키 2013-02-28 17: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선배.. 투표날 풍경 묘사에 빵 터져서 웃고 갑니다.
사실 웃는 게 웃는 게 아니지만.. ㅜㅜ
험한 시절.. 잘 견디며 삽시다!!

기억의집 2013-03-01 21: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의 집도 비슷했는데, 저의 집도 출구조사 나오는 순간 온 집안이 조용했어요. 그 순간을 어떻게 표현해야할지 모르겠지만, 아주 무거운 정적이 흘렀죠. 개표현황이 속소들이 드러날때마다 조용했고 한숨과 불안이 집안을 흐르고 있었고. 부모인 우리의 표정이 어두워지자 저의 아이들까지 덩달아 속상해 하는 모습도 보여주었는데 나중에 그 순간의 아이들을 생각하니 피식 웃음이 나더라구요...저는 정작 그날 울지 않았는데, 그 후부터 한 이주일 눈물이 아무때나 줄줄 흘렀네요. 휴~

저는 이 소설에서 가장 인상깊게 읽은 글이 미국에서 대통령은 명예직이다라는 대목이었어요. 솔직히 그 대목에서 충격받았다는~

알케 2013-03-02 12:09   좋아요 0 | URL
영화 7번방이 허접한 만듦새에도 천만을 치는 건 컴컴한 극장에서 울려는 중년들이 많아서라는 코멘트가 있던데...아이고 심란해요. 정말. 근데 제스 월터는 정말 'one hit wonder'작가더군요.
 

 

 

 

 유시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라는 질문의 대답에 따라 정치적 스탠스가 조금씩 달라지긴 하지만 그럼에도, 열광과 박수, 숱한 오해와 억측 그리고 조롱과 비난, 그 넓디 넓은 스펙트럼 어느 지점에서 나는 '인문주의자, 공화주의자로서 유시민'을 좋아한다. 특히 그의 글쓰기는 하나의 '전범'이지 않을까.

 

 

 

 

 

 

존 버거 할배 이래 사진에 대한 메타 평론이나 에세이들을 즐겨 읽는다. 교보에서 무심코 집어 읽다 구매한다. 버거옹보다는 가볍고 손탁 할매보다는 덜 딱딱하지만 조금 더 우아하다는 느낌.

 

주말 사진가로서 '사진'과 '카메라'를 조금 지분거려 본 경험에 따르면 좋은 사진을 찍기 위해선  '카메라 퀵 가이드'보다 '사진론' 책이 더 도움이 된다.

 

텍스트로 읽은 사진과 피사체에 대한 독창적 해석은 내가 실제 뷰파인더와 마주 보았을 때 색다른 프레이밍으로 연결된다. 그런 점에서 다이어의 글은 '보기에 좋다'. 특히 '사진'이란 물건이 '시간에 저항하려는 인간들의 헛되고 가여운 안간힘'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이들이라면 더욱. 

 

 

 

 

나는 이택광을 좀 삐딱하게 바라본다. '지식 수입상'이란 악담과는 다르게 한윤형과 고은태를 바라보는 그 어떤 지점에서 말이다. 물론, 당연히(!) 김난도를 보는 지점과는 대척점에서.

 

그럼에도 이 책은  공화국의 시민에서 '공주국의 신민(臣民)'으로 이 시절을 살아내는 나에게 끌린다.  목차를 보면 어떤 이야기가 들어있을지 짐작이 가지만. 아..그런데 너무 얇다. 200페이지 미만의 얇은 책은 죄악이다. 무례이자 패악이다. 그러나 시절이 더 흉악타.

 

앞으로 얼마나 많은 마녀들을 만나게 될까.

 

 

 

 

 매달 자동차 잡지 <모터 트렌드>를 사서 아껴가며 읽은 후에 경건한 마음으로 지 방 책장에 꽂아놓는 아들놈을 위한 책. 야구 '덕후'이자 자동차 매니아인 아이에게는 경전이지 싶다. 

 

 

 

 

 

 

 

 

 

 

 

황금가지에서 <살인자에게 정의는 없다>로 번역된 펠레카노스의 이 책은 이미 읽었다. 영문판으로도 읽고 조영학의 번역판으로도 읽었다...이번엔 선물용이다. 누군가를 '깨몽'시켜야 하기에.

 

적나라한 폭력과 디테일한 마약 묘사...17금 정도의 선정성...쓰레기 군상들의 한판. 욕과 슬랭의 향연.. 전형 적인 펄프픽션이라고 폄훼할 수 있지만 읽다 보면 마구 뿜어 나오는 아드레날린의 분비가 저절로 느껴진다. 이런 책 너무 좋다. ㅎ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억의집 2013-02-27 14: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케님 오랜만에 오셨네요~
 

 

피안(彼岸)은 언감생심,

 

차안(此岸)에 쌓은 구업(口業)이 만장(萬丈)입니다.

 

진(陳)의 깃발을 두문(杜門)에서 개문(開門)으로 옮깁니다.

 

부디 생문(生門)이길. 

 

합장.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기억의집 2013-02-27 14: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돌아오셔서 반가운데요.... 쟤네들 춥겠어요. 들여보내 달라고 애원하는 것 같아서....

알케 2013-02-27 18:36   좋아요 0 | URL
오른쪽 흰개가 저고 왼쪽 검둥이는 친구...ㅋ

반갑습니다. 오랜만이예요. ㅎㅎ

sslmo 2013-02-27 18: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
와락~!

알케 2013-02-27 18:36   좋아요 0 | URL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