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서 아버지가 월급날이면 사오시던 <소년중앙>이나 <새소년>같은 잡지에 꼭 실려있곤 하던

미래 이야기들, 로봇이 밥을 해다 바치고 하늘을 나는 자동차를 타는 이야기들,을 읽으며

'큰 꿈'을 키우며 자랐는데 이제 그 때 아버지 나이보다 더 들어 세상을 바라보니 '개뿔'이다.

뭐 그닥 더 살기 좋아진 것 같지도 않고 더 희망적이지도 않다.

 

누구의 성마른 지적처럼 '현생 인류의 진화는 그 이전 시기의 존재보다 느리다.'

 

오늘은 '미래 과학 명작 동화'이야기 시간. 나는 SF를 읽는 사람이면 하나같이 입을 모아 칭송하는

작가들, 아시모프나 필립 K 딕 또는 하인리히같은 이들의 책들은 읽기가 싫다. 몇 권보기는 했는데

지겨워서 덮었다. 어찌나 고색창연하거나 식상하거나 상투적인지.

 

히치콕은 영화를 '만들었고' 존 포드는 영화를 '찍었을 뿐'이라고 폄훼들 하지만 까놓고 말해서

난 존 포드 영화가 더 재미있다.

 

 

댄 시먼스의 히페리온 연작은 스페이스 오페라의 진경이라고들 하지만 이 책은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의 SF버전이다.

 

댄 시먼스는 잘 교육받은 인문주의자가

SF를 쓰면 어떤 걸작을 쓰는지를 보여

준다. 장중하고 우아하고 세련됐다.

 

반대로 우리 젊은 작가들의 빈곤한 상상

력과 허접한 글쓰기에 대해서 되돌아 보게 만든다. 

 

 

스포일러는 아니지만 읽을 예정이라면 꼭 '영사'가 이야기하는 자신의 할머니 이야기를 주의깊게

보시길. 어떤 사랑의 이야기와 '시간'이란 것의 상대성과 절대성에 대해서도.

 

 

조 홀드먼의 <영원한 전쟁>을 히피즘에 기반한 반전소설이라고들 하지만 나는 사랑 이야기로 읽는다. 또 '시간'에 대한 아름다고 허망한 헌사이다. '시간'이다. 시간...양자역학적 시간. 괴델과 하이젠베르크

 그리고 아인쉬타인을 불러다 들어야 할 그 '시간' 그리고 시간의 갭.

비유클리드의 세계..z좌표의 세상에서 인간이란...이 책을 읽지 않은

이들에게 줄거리를 들려주는 대신 이것만 이야기 하고 싶다.

 

'시간'

 

그리고 이 홀드만의 아우라는 다음에 소개할 스칼지에게서 다시 변주된다. 

 

 

 

왼쪽 <노인의 전쟁>부터 오른쪽 <조이 이야기>까지가 연작이다. 1권,2권에서 홀드만의 냄새가 짙게 난다.

 

스칼지의 3부작은 SF장르의 클리쉐에

기반하면서도 인간, 과학과 군대 메카니

즘에 기반한 이해와 성찰 그리고 절묘한

디테일...그리고 미국인 특유의 스크류

볼 코미디를 연상시키는 농담과 재치로

가득 찼다.

 

 

 

그것이 댄 시먼스의 한없이 우아하고 장중하지만 그만큼 딱딱한 스페이스 데카메론과 달라지는 지점이다.또 홀드만<영원한 전쟁> 의 정서와 비슷하지만 히피즘의 냄새는 없다. 

 

대신 디즈니가 만든 '주말 가족 SF드라

마'의 냄새도 슬쩍 난다. 그럼에도 이 세권의 3부작과 한 권의 외전은 다 읊을 수 없는 미덕과 측정할 수 없는 재미로 가득찼다. 아직 읽지 않은 이들에게 질투를 보낸다.

 

 

 

(딴 이야기지만)미국 작가들은 단체로 어디 모여서 에디 머피나 Russel peter같은 코미디언들을 불러다 놓고 워크샵을 여는게 분명하다. 1권 <노인의 전쟁>은 '깔깔 유머북'. 스티븐 킹도 그렇고 다들 입심들이 대단. 2권 <유령여단>은 재미나 관점 그리고 가치론의 측면에서  별 다섯.

특히 진화한 종과 창조된 종에 대한 존재론적 질문들. 

 

3권 <마지막 행성>은 디즈니가 해리슨 포드를 주연으로 불러다 만든 홈 무비 냄새가 좀 나긴 하지

만 그래도 별 넷반. 마지막 <조이 이야기>는 일종의 팬 서비스..DVD판 부클렛같다.ㅋ

 

 

테드 창은 천재다. 지구별에 휴가 나온 다른 별 사람이다. 상상력과 디테일 그리고 관점이 지구인의 수준이 아니다. 아는 만큼 읽히는 소설.

 

난 번역판과 원서로 이 책을 가지고 있는데 멍한 시기가 오면  번갈아

가며 읽는다. 영감을 주는 책이란 이런 것이다. 

정말 '당신 인생의 이야기'다.

 

 

 

 

 

 

 

SF 하드보일드라고 불러야 한다는데 쉽게 말헤서 해리 보슈가 '기억을 저장'하고 '전송'하는 미래 어떤 시대에서

또 그 포즈로 그러고 산다.

 

그 시대에도 인간은 여전히 악하고 부자

들은 더 사악하기만 하다. 해리 보슈가

아니라 해리 홀레가 더 어울릴까.

 

읽는 내내 심장이 두근 두근한다. 텍스트를 읽는데도 시각적으로 강렬한 체험을 준다. 마치 3D안경을 낀 것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즘 자주 듣는 컨트리 가수 Jon randall. 비도 오니 듣기 좋다.

 

미국 팝역사에서 컨트리 장르가 생긴 이래 제일 꽃미남. ㅎ

나와 비슷한 연배인데 지금도 여전히 멋있다. (나만 늙는다)

 

내가 제일 좋아하는 노래는 "Baby Won't You Come Home" 문제는 동영상을 못구하겠다.

 

 

 

 

원래 에밀루 할매 밴드에서 기타를 쳤다.

 

 

 

 

 whisky lullaby도 좋아하는 팬들이 아주 많다.

 

링크는 http://youtu.be/01idFEtoEkE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3-03-14 17: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레오파드 형사 해리 홀레 시리즈 8
요 네스뵈 지음, 노진선 옮김 / 비채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전작인 <스노우맨>을 서가에 꽂아놓고 방치하고 있던 차에 어찌하다 보니  내용 상 스노우맨의 다음 작인 <레오파드>를 먼저 읽었다. 그리고 후회했다. 이런 네스뵈를 놓치다니..!

 

요즘 '가짜 서평, 진짜 서평' 운운한다던데 서평 나부랭이야 많이 배우시고 잘 나신 선수들과 하루가 고달픈 알바들의 일이고 나야 뭐 몇 개의 열쇳말로 정리한 객쩍은 소리나 한마디 보탠다.

 

데이빗 핀처식으로 해볼까. 4대 미덕.

 

1. Gluttony : VOLUME.

  - 늘 떠드는 바이지만 나는 '두꺼운 책 페티쉬'를 가지고 있다. 이런 성적 취향을  가진 무리들을

    일컬어 조악한 조어로는 'creber libriphilia'라 부른다. 이 이단 종파에 속한지 제법 되었다.

    우리 종파의 교리는 페이지 수가 500p 이상 되는 책을 만나면 일단 엎드려서 이렇게 외치는 것

    이다.  "Shut up and take my money and soul" 

 

     이 괴이한 종파의 신실한 믿음의 종인 나의 역치(thread)는 해가 갈수록 높아져 요즘은 최소

     500p는 넘어야 약간 응하는 정도이고 600p는 되어야 '각성'한다. 그런데 <레오파드>의

     총 페이지 수는 781페이지다. 게임 끝. 이 정도면 우리 형제와 자매님들에겐 '귀하고 귀한 경전'

     이자 콜롬비아산 최고급 순도의 드럭이고 늘 경애하옵는 '나나 나쯔메'양의 현신이다..  

 

2. Envy : Character

  - 네스뵈는 마이클 코넬리를 좋아한다. (분명하다...내 짐작이다-1) 해리 홀레라는 캐릭터는 해리

    보슈의 오마쥬이다. (내 추정이다-2) 더 본질적으론 해리 보슈의 업그레이드가 아닌 패치버전

    (patch version)이다. 그래서 더 끌린다. 홀레는 보슈보다 덜 어둡다. '후까시'도 덜 잡고 말도

    좀 더 많고 자기 감정에 솔직하다.  심지어 묘사로는 조금 더 키도 크고 잘 생긴 듯 하다.

    (에이 썅..) 

 

3. Greed : Translstion

   - 번역자 노진선은 상찬받아 마땅하다. <레오파드>를 읽는 내내 번역서로서의 '위화감'을 한번

     도 느끼지 않았다. 노르웨이어-한국어의 직역이 아니라 노르웨이어-영어-한국어'의 중역이었

     을텐데 번역 좋다. 풍경의 묘사, 감정선의 서술 등 모든 면에서 '언어의 시차'를 느낄 수 없었

     다. 나는 만족했다. 마치 이세욱의 번역판으로 그랑제의 <늑대의 제국>과 <미세레레>를 읽을

     때의 느낌이었다. 번역자가 텍스트를 아주 욕심스럽게 물고 뜯는다. 

 

4. Sloth : Narrative

    - 781페이지가 금방 넘어간다. 읽다보면 아쉽다. 다 읽을까봐. 서가에서 <스노우맨>도 꺼내놓

      고 지금 바라보고 있다. (이 책은 624p -.-)   난 320p까지 A와 B의 달달한 성적 긴장감을 즐겼

      다. 더 이상은 스포일러. 빌 맥더미드 여사의 투박함과 약간의 클리쉐에 조금 질렸거나 해리

      보슈의 '생래적 우울함'에서 벗어 난 좀 생생한 캐릭터를 보고 싶다면 답은 해리 홀래 그리고

     <레오파드> ! 단 바쁜 생업에 지장을 줄 수 있다.  

 

Ps.  원서로 읽은 것이 아니어서 단언할 수 없지만 '글빨'도 코넬리보다 네스뵈가 더 낫다.

       그것도 월등히 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운사에 가신적이 있나요

바람불어 설운날에 말이에요

동백꽃을 보신적이 있나요

눈물처럼 후두둑 지는 꽃 말이에요

 

나를 두고 가시려는 님아

선운사 동백꽃숲으로 와요

떨어지는 꽃송이가 내맘처럼 하도 슬퍼서

당신은 그만 당신은 그만 못 떠나실 거에요.

 

선운사에 가신적이 있나요

눈물처럼 동백꽃 지는 그곳 말이에요.

 

눈물처럼 후두둑 지는 꽃 말이에요.

 

나를 두고 가시려는 님아

선운사 동백꽃숲으로 와요

떨어지는 꽃송이가 내맘처럼 하도 슬퍼서

당신은 그만 당신은 그만 못 떠나실 거에요.

 

아침에 기사를 보니 올해 선운사 동백은 예년보다 열흘 지나 4월 초순에 만개한단다.

고졸한 절집이던 시절부터 분칠한 지금까지 고창과 선운사에 스무번쯤 갔다. 

일하러도 가고 술마시러도 갔다.

 

그 세월이 이십년이 넘는데 나는 단 한번도 선운사 동백을 보지 못했다.

늘 철 일러 가거나 지나서 갔기 때문이다.

그런 연유로 선운사 동백은 내게 '들었으나 보지못한 꽃'이다.

 

언제 처음 갔던가.

 

지금은 이민 가 뉴욕서 야채가게 하는 친구가 고창 사람이었다.

허물없이 지내던 시절 그 놈따라 고향집에 몇 번 갔었다.

논두렁 깡패라고 스스럼없이 자신을 소개하던 그이의 고향 친구 몇과

막걸리 한말과 소주 댓병 여남은 병을 1톤 포터에 싣고 산으로 들로 떠돌며

술을 들이붓던 시절, 어느 날에 선운사에 처음갔었다.

 

술귀신에 반쯤 사로잡힌터라 절집엔 차마 들어가도 못하고

사하촌 언저리에서 죽어라 술만 마시다 내려왔지만 그 여름날 기억이 선연타.

어스름히 땅거미가 지면서 한 여름 특유의 풀냄새가 낭자하던 그 여름 저녁.

 

그 뒤 대부분은 일하러 갔다.

이런 저런 알 수 없는 인연들도, 허망한 사연들도 많았지만

지나고 보니 그 기억들은 어째 희미하기만 하다.

출장가도 두고 온 일들이 발목을 잡던 시절이었으니.

 

평소엔 과묵타가 술만 들어가면 흥이 넘쳐나 권주가 삼아

흥타령도 불러주고 육자배기도 불러주고 잡가도 불러주던 

그 친구도 낯선 이국 땅에서 배추를 팔다가 때때로 그 날 생각을 할까.

 

'바람 불어 설운 날'이면

'눈물처럼 후두둑 진다는 그 꽃'을 볼 인연이 올해는 있을런가.

 

볕 좋은 토요일 낮.

기분이 '동백 동백'하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게임을 좋아한지 오래됐다. 소니의 PS나 마이크로소프트의  X-BOX같은 콘솔게임도 좋아하고

문명(CIVILIZATION)같은 역사 시뮬레이션 게임도 좋아한다. 대신 국민 게임이라 할 수 있는

스타크래프트나 WOW나 LOL같은 게임은 아직도 그 원리를 모른다. (내 머리의 한계다)

 

이십여년 가까운 내 게임 편력에서 가장 좋아하는 게임은 블리자드가 런칭한 디아블로 시리즈이다. 디아블로 1..2 그리고   지난해 근 12년만에 출시한 3까지 디아블로 시리즈는 내 이십대 후반부터 사십대까지를 관통하는 상징이랄 수 있다. 

 

다중접속 롤플레잉게임 (mmorpg)인 디아블로는 자신의 캐릭터(직업)를 정해서 다양한 퀘스트를 해결하며 성장하는 게임이다. 흔한 RPG게임에 대한  철학적 질문인 "이 중 누가 나인가?" 라는

디지털 호접지몽을 만들어 내는 몽유도원도이기도 하다. 물론 복숭아밭 대신에 낭자한 피와 죽음의 냄새가 가득하지만 말이다.

 

여러 이유가 있지만 내가 이 디아블로 좋아하는 가장 큰 이유는 소위 ' 핵 앤 슬래쉬 hack-and-slash'의 쾌감 때문이다. 나를 위협하고 공격하며 내 길을 막는 몬스터들을 '난도질'하는 쾌감..

현실계에서는 불가능한 은밀하고 금지된 '악마적 상상'이 마우스를 잡은 오른손을 통해 실감나는 타격감과 함께 구현되는 이런 즐거움은 중독성이 아주 세다.

 

나는 고어- 슬래쉬 무비의 미덕은 인간 본능 깊이 숨겨져 있는 악마적 본성을 어두운 극장에서 추체험적으로 해소시켜 버리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스티븐 킹의 표현을 빌자면 일종의 '안전벨트'의 기능이다. 이런 맥락에서 지난 십여년 동안 디아블로를 즐기며 숱한 바람불고 거친 들판과 어둡고 컴컴한 던전 곳곳에서 많은 사람들을 학살했다.못된 상사, 계약을 파기한 갑, 내 차 앞에서 급제동한 택시 기사, 내 발을 밟고도 사과없이 지나간 여자... etc

 

하지만 화면에 스태프 스크롤이 올라가고 극장에 불이 들어오면 구겨진 옷을 추스르고 팝콘 봉투와 콜라컵을 얌전히 두손에 들고 앞 사람을 따라 출구로 나가 약간의 현기증을 느끼며 현실로 돌아오는 것처럼 게임이 끝나면 나도 두 세시간 전의 정상적인 사람으로 되돌아 가서 지금껏 산다. 하지만 아무도 내가 디아블로 북미 서버에 dps 20만, 정복자 레벨 60의 극강 바바리안인 줄 모른다. 참으로 대단한 길티 플레져가 아닌가. 

    

 

또 하나의 재미는 '파티 party'맺기이다. 각기 다른 직업들이 하나의 패로 묶여 서로의 동료가 되는 이 구조는 툴킨 이래 판타지 소설의 오랜 설정이지만 mmorpg 상에서 이 '파티'는 인간이 가상현실 상에서 얼마나 이타적인가를 깨달을 수 있는 제도이다. 근거리 공격 캐릭터가 원거리 공격 캐릭터를 위해 몬스터 앞줄에서 '몸빵'해주는 것부터 쏟아지는 공격들속에서 이미 죽은 나를 살리기 위해 다가오는 이름모를 동료 캐릭터를 모니터 상으로 볼 때, 자기도 애써 모았을 멋진 아이템들을 뉴비newbie들에 나눠주는 고렙 캐릭터들을 볼 때 마다 나는  이것이 일종이 집합지능(collective intelligence)이 만드는 '화엄세상'이 아닌가 생각한다.

 

이 논리가 우습다고 느끼는 이들에게 나는 이에 관련해 아는 사람은 잘 알고 모르는 사람은 영 모르는 이야기를 해주곤 한다.역시 mmorpg인 리니지2, 32대의 서버 중 하나인 서버1- 바츠서버에서 일어났던  전설같은 이야기..<바츠해방전쟁>. 가상 현실속에서 세금수탈, 독재와 척살을 일삼는 DK2라는 혈맹에 맞서 아이템도 없는 저렙 유저들이 3년 동안 벌였던 민중봉기인 바츠전쟁을 혹자는 반농삼아 한국전 이후 최대의 전쟁이라고 한다.

 

당시 그 서버에서 혁명군에 서있었던  작가 이인화가 이 이야기를 가지고  <바츠 해방전쟁 : 돌아오지 않는 전사들>이란 글을 썼다. 나는 그 글을 읽고 울었다.  그 이야기가 소설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내복단'이란 말이 있다.  저렙 유저는 전부 내복같은 속옷만 입고 게임 상에 노출된다. 이들은 무기도, 공격력도 없다. 그런 이 저렙들이 내복만 입고 맨몸으로 화살받이가 되어 독재의 무리에 맞서 싸우며 죽어가는 이야기.

 http://blog.naver.com/ststnight?edirect=Log&logNo=20016020766 : 바츠해방전쟁 개요

 

 

 

이 이야기를 베이스로 지난 해 이인화가 책 하나를 냈다. 나는 그의 정치적 입장이라든가 이런 저런 구설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권한다. 특히 mmorpg의 경험을 가지고 있는 이라면 피가 끓을 듯.

 

 

 

 

 

 

 

 

 

 

 

 

이 비슷한 주제로 권할 만한 책이 하나 더 있다.10년 전 쯤에 <옥스타칼니스의 아이들>이란 이름으로 출간됐다가 2006년에 개정판이 나온 <팔란티어>. 내가 이책을 구판으로 읽을 무렵에 나는 이영도의 드래곤 라자를 읽고 디아블로1을 하고 있었다.  그러니 현실감이 오죽했겠

는가. 

 

아이가 아직 제 어미 뱃속에 있을 무렵이어서 아내의 부른 배를 한손으로 만지며 드래곤 라자를 읽었는데 그 태중 아이가 어저께 중학교에 입학했다. ㅎ

 

 

 

 

 

또 하나 더 있다. <양각양> <무림사계>로 나에겐 언제나 최고의 작가로 추앙받는 한상운이 지난해 문학동네에서 출간한 소년 추격전 시리즈 2권 <게임의 왕>.

 

피시방 차려서 리니지하는 내 친구 하나는 이 책 읽고나서 아주 울고

다녔다. 재미있다고.

 

게임 서버 내 최고 아이템을 엉겹결에 가지게 된 찌질이들의 고군분

투기. 다른 이야기지만 한상운이 다시 무협으로 돌아오기만 기다린

다.

 

 

 

 

 

 

또 하나 관심을 두고 있던 도시 시뮬레이션 게임인 심시티5가 출시됐다. 기존 심시티 시리즈에 비해 그래픽이나 비주얼이 판타지라고 불러도 될만큼 압도적이다. 이런 건설 시뮬레이션 게임은 우리가 그냥 '게임'이라고 부르기에는 그 완성도나 디테일이 아깝다. 이번 심시티5도 공개된 트레일러나 플레이 영상을 봐도 그렇다. 당장 구매해 즐기고 싶지만 생업을 파할까 싶어 미뤄둔다. 좀 더 시간이 있을 때, 내 버닝 시즌이 끝나면 그 때.   

   

 

아이고 오늘이 일이 밀려서 여기까지..2부는 다음 시간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ransient-guest 2013-03-14 07: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돌아오셨군요. 언제 다시 오셨는지도 몰랐네요. 스타2-2 출시가 되어 게임에 대한 글이 있난 랜덤으로 찾다가 다시 오신걸 봤어요. 디아블로는 명작이죠. 일단 머리가 아프지 않고 간단하게 즐길수 있잖아요. 물론 저는 baldur's gate, icewind dale시리즈같은 D&D RPG도 좋아합니다. 스케일이 크고 좀더 디테일한점이 좋더라구요.ㅎ 방금전 아마존에서 스타 2-2를 질렀습니다. xcom: enemy unknown과 함께 말이죠..ㅎㅎ 제 랩탑이 견뎌줄지 모르겠네요. 다음글 기다리겠습니다.

알케 2013-03-14 13:09   좋아요 0 | URL
오랜만이네요. 반갑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