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밤에 잠도 안오고 술 마시기도 귀찮아 책방 정리를 했다.

그러다 오랜만에 이문구 선생의 <우리동네>를 원래 꽂혀있던 책장에서

다른 책 섹션으로 옮겼다. 아마 이 책의 판본은 1990년도나 1991년도 판본일것이다.

(그 이전 판들의 표지에는 11이라는 숫자가 없다.)

 

나와 23년을 함께 했네. 어디서 샀던가. 

1991년도면 복학해서 이젠 정신차리고 살아야지 매일 밤 술김에 다짐을 하지만

그 다음 날이면 또 맹탕으로 살던 시절이었을게다.

 

처음 읽고 나서 너무 좋았다. 느려터지고 의뭉스러운 충청도 대천 사투리를

반도 이해하지 못했지만 그 리듬과 가락이 좋았다. 국어 사전을 옆에다 두고

한달에 두 번도 읽고 1년에 네번도 읽고 심심하면 읽었다.

그 시절 연애하던 선배하고 데이트하면서도 읽고 술 마시고 나서도 읽었다.

그러다 우리동네 김씨, 이씨, 황씨들과 정이 들었다.

 

나는 '글줄이나 읽었다'고 말하는 사람들의 기준을

이문구 선생과 <우리동네>를 알고 또 그 책을 읽었는가로 판별한다.

(내 맘이다.)

 

 학교를 졸업하고 첫 일터부터 이 땅 밖에서 일하는 기회가 많았다. 

가지고 가야 할 기본 장비 운송료 때문에 개인 화물을 최소화해야 했기에

옷가지 몇벌 외에 가져갈 수 있는 개인 짐은 최소화해야 하는 게 당시 지침이었다.

그때 내가 챙긴 것이 디스 담배 다섯 갑과 이문구의 <우리동네>였다.

 

그때부터 여태껏 멀리 떠나는 출장이나 여행 짐을 챙길 때 나는 제일 먼저 담배 한보루와

이 책을 가방 맨 아래에 넣어 둔다. 그래야 짐을 다 챙긴 것 같다.

말 그대로 먼 길 떠나는 나에게 Linius' blanket인 셈이다.

대부분 몸 팔아 돈벌러 다니는 길이었지만 이 책을 들고 세상의 절반을 다녔다.

미국도 가고 유럽도 가고 아프리카도 가고 정글도 갔다

싸늘한 사막의 밤에 돗자리를 깔고서 이 책을 읽었던 날도 있었고

눈과 얼음이 '막 날아다니는' 산 정상에서도 읽었다.

미국에 1년 가까이 살 때는 영어에 너무 스트레스를 받은 날이면

<우리동네> 김씨편을 큰 소리로 낭송하며 동네를 걸어다니기도 했다.

내 부박한 생의 위로가 되었다.

 

나는 연전에 이문구 선생이 세상 떠났을 때 이 책을 앞에다 두고

선생의 명복과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재배하고 자작 음복했다.

 

곧 이 책을 다시 가방에 넣어야 할 날이 다가 온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3-06-03 15: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글줄이나 읽었다' 말할 만한 사람은 못 되지만,
이문구 선생님의 <우리 동네>,를 꼭 읽고 싶군요. ^^
(부끄 ^^;;;)
좋은 책 소개 감사드리며
알케님! 오늘도 좋은 날 되세요. *^^*

알케 2013-06-06 16:24   좋아요 0 | URL
ㅎㅎ 제 뻘 소리죠 뭐 감사합니다.

hnine 2013-06-03 19: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바로 그 199X년 쯤에 이 책을 읽었던 것 같은데, 제가 꽤 충청도 사투리에 익숙한편임에도 불구하고 읽으면서 난해했던 기억이 납니다 ^^
책 제목, 내용과 이 페이퍼의 내용이 절묘하게 어우러집니다.

알케 2013-06-06 16:25   좋아요 0 | URL
저는 충남 서해안 할매들 사투리를 이제 제법 알아듭습니다. ㅎㅎ

sslmo 2013-06-05 16: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책을 들추면 '내 몸은 너무 오래 서있거나 걸어왔다'인가(?) 그 책이 쏘옥히고 책등을 내밀것 같습니다여, ㅋ~.

알케 2013-06-06 16:26   좋아요 0 | URL
저 자리는 평론집 섹션이어서..ㅋ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 -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
한창훈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한창훈이 첫 작품을 상재할 때부터 그가 이문구 선생의 직손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소설이 아닌 이 책을 읽고 나니 반은 맞고 반은 틀렸다. 구수하고 텁텁한 입말은 이문구의 것인데

예의 의뭉스럽게 슬슬 꼬아 길고 긴 복문 대신 드라이한 단문 위주의 문장은 되레 요즘 사람이다.

 

그럼에도 그가 이문구 선생과 같은 길에 있다는 것은 동류의 곡진하고 웅승그레한 시선과 

감성때문이다. 어류 박물지에 달큰하고 속 깊은 사연이 만나니 절로 흥겹다.

게다가 툭툭 무렴없이 던지는 담백한 단문의 재미가 아주 달고 찰지다.

 

내륙 출신인 나에게 바다 생물들이란 백과사전이나 내셔널 지오그래피에나 나오는 것들이고

먹었다고 해봐야 다들 먹어 본 그 나물에 그 밥이다. 

물론 살아 온 세월이 있으니 이것 저것 걸터듬어 먹어보기야 했지만 

그 속사정을 알고 먹은 게 얼마나 되겠는가.

 

그런 연유로 이 책은 나 같은 미생에겐 

아주 긴요한 가이드북이자. 萬漁譜이고 그 어류들에 얽힌 萬人譜였다

 


한번도 못 먹어봤다는 말은 한번도 못 가봤다는 말보다 더 불쌍하다 p78

 

객쩍은 소리 한마디 보태자면 근래 맛집이고 여행이고 그 비슷한 것들을 담아

 저자거리에 도는 책들을 들추어보면 매냥  '중2병'에 걸려서 하냥 개갈안나는 소리만

 주야장천 왜장을 치는 책들이 태반이다.

(자기 인생도 제대로 간추리지 못한 것들이 이국 땅에서 뭔 깨달음을 얻었다고

 멀쩡히 잘 살고 있는 이들에게 훈계에 선생질에 흰소리를 해대는지 보다 보면 기도 안찬다.)

 

그것도 아니면 기본적인 글쓰기 훈련도 안받은 저자와 교정도 안보는 편집자 둘이 

짝짜꿍을 지어 생쇼를 벌이는 허접쓰레기와 블로그에나 올라 갈 사진만 예쁜 팬시류 책들이

또 그 반인 이 풍진 세상에 한창훈의 이 책은 알곡이다. 공들인 편집도 그 짝을 만나 더 좋다.

 

며칠 자료 조사 때문에 피 뚝뚝 떨어지는 기사와 사진, 영상들만 들여다 보다가

눈호강했다. 이젠 이 책을 들고 입호강하러 가야겠다. 주말이니까.

'세 식구 머리 맞대고 꼬리뼈까지 쭉쭉 빨아먹는 맛'(p297)이라는

우럭이나 한 '사라'하자. 소주 일병과 함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재현의 <아시아의 기억을 걷다>를 읽다가 이 부분에서 한참 서 있었다.

 

 

캄보디아 프놈펜의 툴슬렝(tuol sleng) 캄보디아의 고등교육기관으로 미래를 향한 크메르인들의 자

부심이었으나 1970년 미국의 배후조종으로 일어난 론놀 쿠데타 이후 툴스베이프레이(toul svey

prey)로 바뀌었다가 1975년 크메르루즈가 프놈펜을 함락하면서 150만에 달하던 프놈펜 인구를 지방

농촌으로 소개하고 진공 상태가 된 이후  S-21(security prison -21)이라는 이름의 보안대 감옥으

로 다시 바뀐 곳, 톨슬렝. 

 

 

1975년부터 크메르 루즈에 의해 이루어진 대규모 숙청 과정 (1958~60년 중국의 대약진 운동과 같은

사회주의 개조과정)에서 이 '죄악의 언덕, 톨슬렝,에서만 1만 5천여명의 시민이 고문으로 살해되었다.

 

이곳 본관 입구 철문에는 그 시절에 만들어진 크메르어와 영어로 병기한 10개 조항의 수용자 수칙이 붙여져 있다. 그 10개의 조항 모두 가슴 떨리는 것들이지만 나는 그 중 6번 조항에서 목도 아프고 눈도 아팠다. 

 


6. While getting lashes or electrification, you must not cry at all.

   채찍질이나 전기 고문이 가해질 때 절대 울어서는 안된다.

 

 

유재현은 책에서 툴슬렝은 '사실'이지만 '진실'이라고 단언할 수 없다고 했다. (p156)

 

1979년 12월 25일에 침공해 1988년까지 28년간 캄보디아를 점령했던 베트남군은 명분없는 자신들

의 침략행위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대 국민, 대 서방 프로파간다 정책의 기조를 '폴 포트는 악마

였고 캄푸치아 공산당은 악마라는 사실의 선전'에 집중했고 그 상징조작의 도구로 '툴슬렝'을 활용했

다고 그는 서술했다. 

 

즉 툴슬렝은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도로 조직화된 곳'이라는 것이다.

맞을 수 있을 것이다. 아니 맞을 것이다. 나도 이성적으로, 아니 정치적 공정함의 잣대로 봐도

옳은 말일 것이다. 롤랑 조페의 <킬링필드>식의 선전 속에 은폐된 5년간의 미군의 폭격으로

황폐화된 농토, 살인적인 식량난 그리고 반공주의적 편향성의 서구 학자들과 예술가들이 날조해낸 

허위의 역사를 감안하면 말이다. 

 

 

하지만 말이다. 그 무엇으로 포장하였든 저기서 고문받고 죽은 수만명의 사람들은 실존했던 사람들이

다. 개조해야 할 쁘띠계급의 관리였든, 론놀정부의 스파이였든, 당성이 희박해진 변절자였든, 참혹한

식량난의 와중에 쌀을 매점매석한 악덕 상인이었든, 그 누구든 말이다. 그들은 살아 숨쉬고 말하는 인

간이었다는 건 '진실'이다. 혁명이 관념을 넘어 광기가 되면, 그래서 통제 불능의 상태가 되면 그땐

이념의 광휘는 핏빛 광기가 되는 것인가. 

 

회의실 구석에서 오후 내내 생각했다. 채찍을 맞으면서, 전기 고문을 당하면서, 아니 더 흉칙한 고문

을  당하면서도 '절대 울어선 안되었던' 사람들의 그 숱한 밤들, 열대 몬순 기후의 그 습하고 길었을 밤들을... 

...

 

 

이거 참.

아, 이거 정말.

'절대 울어선 안된다니...'

 

What's fuck the human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묵직하고 풍성한 사유와 잘 벼린 시선으로 현대 미국의 이면을 유려하고 담백한 문장에 담았던

<거꾸로 달리는 미국> 때문에 알게 된 유재현. 그를 다시 만나고 있다. '동남아시아의 역사'라는

테마로 기획하고 있는 '어떤 일'의 레퍼런스 리서치로 시작했다가 빠져들고 있다.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대만, 태국, 인도차이나 국가들을 엽서 풍경이나 지리가 아니라 '역사와 이념'으로 설명하고 해설하며 분노하는 그의 책들을 보며  많이 배우고 있다. 킬링 필드의 진실, 대만 2.28.사건에 대해서도, 인도네시아에서 일어난 학살과 필리핀의 정치적 현실과 고달픈 민중의 삶..그리고 낙인과 같은 아시아 지역에서의 미제국주의의 망령도.

 

그의 책들을 다 읽고 나서 긴 리뷰 하나를 마음 먹고 쓰고 싶다.

 

아시아의 오늘을 걷다 : 민주화 속의 난민화, 그 현장을 가다
거꾸로 달리는 미국- 유재현의 미국사회 기행을 정말 권한다.

 

 

특히 <아시아의 오늘을 걷다>는 2009년판이니 현재와  5년의 시차가 있는데도

 

전혀 위화감이 없는것이 되려 슬프다. 어떤 변화도 없었다.

지난 5년 간 그 나라들의 민중들에겐.

 

 

유재현 선생. 최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근래 대학 축제 시즌을 맞아 '힙합계의 장윤정'으로 불리는 Beenzino.

인물도 좋고 가사도 잘 쓰고 랩도 잘하는 근래 한국 힙합 Microphone Checker의 스타.

 

내가 빈지노 노래 중에 좋아하는 두 곡.

 

<아쿠아 맨> : 짝사랑하는 여자의 '어장에 갇혀 광어 1호'로 살아가는 한 청년의 사랑 이야기 ㅋ

마지막 플로우의 가사 "너의 얼굴과 몸이 영원할까 bitch you gotta get yo mind right"가 백미.
그런데 통상적으로 광어들의 어장 탈출은 '자발적 귀옥'으로 마무리되지 않나 ㅎ

 

어항 속에 갇힌 고기들보다 
어쩌면 내가 좀 더 멍청할지 몰라
너가 먹이처럼 던진 문자 몇 통과 
너의 부재중 전화는 날 헷갈리게 하지
  
너의 미모와 옷 입는 스타일로 미루어 보았을 때 
너의 어장의 크기는 수족관의 scale
단지 너 하나 때문에
 
경쟁은 무척 험하고도 아득해
I wanna be your boy friend not one of your 생선
 허나 너에겐 늘 누군가가 옆에 있어
 이럴 때일수록 내 이미지를 위해선
 그저 쏘 쿨한 척 하는 게 최선
  
임을 알기에 I said have a good time 
그날 밤 업데이트 된 너의 페북의 담벼락엔 
여전히 물고기들이 하악 하악 
당연히 나도 그 중 하나
 

 하루 종일 너란 바닷속을 항해하는 나는 아쿠아맨 
헤엄 헤엄 헤엄
 
I'm rolling in the deep inside of you 너의 어장은 너무 캄캄해 
헤엄 헤엄 헤엄 

 
손에 꼽을 정도로 아주 가끔씩
 엉뚱한 시간에 넌 내가 어딘지 묻지
 '어디긴 니 마음이지'라는 본심을
 속이며 차분하게 말했지 '지금 집'
  
심상치 않은 징조, 심장은 보다 신속
 혹시 모를 급만남이 꿈처럼 이루어
 질 수도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들어
 
지금 너의 위치가 어디든 let's bring it on girl
 통장 잔고는 가까스로 위기모면
 입을 옷도 이미 정했어 목걸이는 chrome hearts
 but you said, 그런 거 아니고 please don't call me no more
 
oh no~~

 
내 가슴은 회처럼 조각이 났지
 u don't give a shit about my broken heart
 넌 딱 잘라 말했지 손톱깎이 같이
 
I don't give a shit about your stupid heart
 bitch you gotta get yo mind right
 
너의 얼굴과 몸이 영원할까 
bitch you gotta get yo mind right
 
너의 얼굴과 몸이 영원할까 nah~~
 

 

If die tomorrow : 90년대産 한 청춘의 허심한 자기 고백. 가사 참 좋다.

 

 

오늘 밤이 만약 내게 주어진
돛대와 같다면 what should do I with this?
mmmm maybe
지나온 나날들을 시원하게 훑겠지
  
스물 여섯 컷의 흑백 film
내 머릿속의 스케치
원하든 말든 메모리들이
비 오듯 쏟아지겠지
 

 엄마의 피에 젖어 태어나고 내가 처음 배웠던 언어
부터 낯선 나라 위에 떨어져 별 다른 노력 없이 배웠던 영어
나의 아버지에 대한 혐오와 나의 새 아버지에 대한 나의 존경
갑자기 떠오른 표현, life's like 오렌지색의 터널
  
If I die tomorrow
If I die die die
  
고개를 45도 기울여
담배 연기와 함께 품은 기억력
추억을 소리처럼 키우면
눈을 감아도 보오이는 theater
  
시간은 유연하게 휘어져
과거로 스프링처럼 이어져
아주 작고 작았던 미니어쳐
시절을 떠올리는 건 껌처럼 쉬워져
  
빨주노초 물감을 덜어, 하얀색 종이 위를 총처럼 겨눴던
어린 화가의 경력은 뜬금없게도 힙합에 눈이 멀어
멈춰버렸지만 전혀 두렵지 않았어 cuz I didn't give a fuck
about 남의 시선, cuz life is like, 나 홀로 걸어가는 터널
 
 
내게도 마지막 호흡이 주어지겠지
마라톤이 끝나면 끈이 끊어지듯이
당연시 여겼던 아침 아홉 시의 해와
음악에 몰두하던 밤들로부터 fade out
 

말보로와 함께 탄, 내 20대의 생활,
내 생에 마지막 여자와의 애정의 행각
책상 위에 놓인 1800원 짜리 펜과
내가 세상에 내놓은 내 노래가 가진 색깔
  
까지 모두 다 다시는 못 볼 것 같아
삶이란 게 좀 지겹긴 해도 좋은 건가 봐
엄마, don't worry bout me ma
엄마 입장에서 아들의 죽음은 도둑 같겠지만

 
I'll be always in your heart, 영원히
I'll be always in your heart, 할머니
you don't have to miss me, 난 이 노래 안에 있으니까
나의 목소리를 잊지마
 
If die tomorrow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