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며칠 오며 가며 읽고 있는 윤성훈의 <한자의 모험>은 나 같은 '문 

 자 성애자'에겐 어떤 도색잡지보다도 더 자극적이다. 나나 나쯔메양

 의 은퇴작품에 견줄만하다. '한자'라는 문자의 원천과 문화적 맥락 그

 리고 동아시아 문명의 '지층'으로서의 한자의 존재성. 읽을 것도, 생

 각할 것도 많다. 도올 선생의 '논어한글역주' 1권 첫 챕터를 읽었을 때

 의 긴장감도 느껴진다.


 저자의 자서에 있는 이 문장이 이 책의 '야마'일 것이라 짐작한다.


 " 동아시아라는 공간 안에 살고 있는 이상 한자의 지층을 밟고 있지 

   않은 사람은 없다. 일상의 표피에 머물지 않고 가끔은 그 지층을 파 

   음미해보고  싶기도 하지 않은가"




새벽부터 그 다음 날 아침까지 저자거리를 오가며 세상 먼지의 반을 마시며 사는 지금의 나에겐 참

로 호사스런 소리지만  나는 아주 옛날부터 이 책의 저자 윤성훈과 같은 공부를 하고 싶었다. 뽀

얀 먼지로 가득찬 서고를 뒤적여 낡은 책들과 고문서들, 필사본들을 찾아 분류하고 정리하여 주석

과 주해를 다는 일. 그래서 시간의 장벽을 넘어 옛 사람들의 정신과 숨결을 현재에 다시 기록하고 

되살리는 일 말이다.     


찬조 출연한 저 물건은 7인치 안드로이드 태블릿 NOOK HD이다. 10만원도 안하는 저렴한 가격에 믿을 수 없는 극강의 가성비를 보여주는 저 물건 덕에 아이패드 미니 레티나 구입할 날을 미루고 다. (자랑..자랑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ransient-guest 2014-01-09 04: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자의 매혹이라...참 좋은 것 같습니다. 어릴 때 억지로 매일 천자문을 썼음에도 불구하고 남은 것이 하나도 없는 지금에 와서야 한자를 제대로 익히지 않은 것이 후회됩니다. 표음문자는 확실히 더 우수한, 진화한 문자같습니다만, 표의문자에는 뭐랄까, '언령'이라고 할까요? 그런게 있는 것 같습니다.
 

중딩 아들놈과 밤 아홉시 십분에 시작하는 <변호인>을 봤다.

두시간 남짓의 시간이 휘리릭 지나가더라.


아들놈은 영화를 보고 밤 열한시 삼십분에 영화관 앞 카페베네에서 핫쵸코라떼를 홀짝이며

종알거렸다 "아빠 정말 믿을 수가 없어. 정말 실화야 ?"


그 생글거리는 해사한 얼굴이 가슴에 꼭 박혔다.


이놈아. 아들아. 


죽어 장사 지낸자들이 다시 돌아왔단다.

좀비처럼, 언데드처럼 말이야.


이 이을 어쩌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황현산 선생의 <밤이 선생이다>.


아.


우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명색이 공공재인 방송뉴스가 매일 저 지랄을  해대니...


국가기관의 불법적인 선거개입은 일언반구도 없이


날이면 날마다 공주님 칭송으로 날을 새니 


염병..헐겠다.  


북한 중앙방송하고 뭐가 다른가. 


촌스러움과 후안무치에


쪽팔려. 


이 나라.



'막말 논란'은 무슨..


어디 틀린 말이 하나라도 있어야지.


애비는 쿠데타로 헌정질서를 무너뜨리고 정권을 탈취해 이십년동안 이 나라를 피로 다스렸고


그 딸은 국가기관이  총동원된 불법선거를 통해 당선된 것은 사실 아닌가 ?


그걸 본인이 몰랐다면 마리오네트이고 알았다면 ...헐.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ransient-guest 2013-12-27 07: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축은행건과 함께 이명박근혜의 빅딜이 아니었겠습니까? 추정이지만요. 솔직히 책에서만 보던 6-70년대가 딱 지금의 모습같아서 마음이 시립니다.
 

오늘 보고 마음 아팠던 만화



몇 해전에 2년 넘게 예쁜 말티즈 강아지 한마리를 키웠었다.

손 갈일이 더 는다고 처음엔 시큰둥하던 아내가 갈수록 강아지와 친해져

종당엔 어린 딸 하나를 키우듯 마음을 줬다.


나도 밤늦게 퇴근할 때면 그 새벽에도 자다 일어나 현관에 나를 마중나와 꼬리를 흔드는 

그 놈을 보거나 소파에 누워있노라면 꼭 내 배위로 올라와 자는 놈을 보다가 점점 애틋해졌다.

뭐 이쯤되면 뭔 말이 나올지 짐작하겠지만 그 뒤로 2년 후에 이사를 하고 뭔 일이 생겨서

강아지를 다른 집에 입양보냈다.


한 오년이 지났지만 아내는 그 뒤로 강아지가 나오는 <동물농장>을 안본다.

길 가다가 주인이랑 산책나온 말티즈 종류의 강아지를 만나면 외면하면서 운다. 

나도 뭐 그렇다. 여전히 쓰리고 짠하다.


부모자식을 제외하고 세상에 어느 인간이 타자인 다른 한 인간에게 

개가 그 주인에게 보여주는 것 같은 헌신과 사랑을 주던가. 

과문한 탓이지만 나는 들어 보지 못했다.  



나는 이 놈을 순이라 불렀고 아내는 아들놈의 이름을 거꾸로 뒤집어 '루미라 불렀다.

물론 어떤 호명에도 똑같이 반응했다.


내 탓이다. 미안하다 순이 그리고 루미야 .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slmo 2013-11-21 18: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들 이름이 미루군요, ㅋ~.
전 강아지는 안좋아하는데, 이 짧은 페이퍼를 읽으며 눈물을 흩뿌렸습니다여~-;
잘 지내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