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련하게 예쁜 냥이





냥이 특유의 `싸가지 없음`을 좋아한지 오래 됐다.

오유의 어느 집사님이 자랑으로 사진을 올렸다가
근래 넷상에서 화제가 된 냥이.

뭔가 아련하고 새초롬하게 예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통진당 해산.

조유식 사장의 알라딘에서 할 소리는 아닙니다만
제가 주사라면 88년부터 이를 갈아 온 사람이고
통진당 일부 `오른쪽 근본주의자`들을 남한 인민의 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지만 이건 아니죠.

반혁명 종파분자 숙청하는 북조선 헌법도 아니고
대의 민주주의를 근간으로 하고 집회, 결사,정당의 자유를
헌법적으로 보장하는 민주주의 공화국 대한민국에서
무슨 역사의 반동입니까?

설사 통진당이 실성하여 또는 진심으로 헛소리를 내뱉고
뻘짓을 획책하다 `민주적 질서`에 반하였다 하더라도
정당의 운명은 유권자가 선거를 통해 결정해야 하고 사회적 토론을
통해 수렴하고 해소해야지요.

우리 사회가 그 정도의 내적 쿠션이 없는 사회일까요.
(사제 폭탄을 던져 인명을 해한 백색 테러범한테도
성금을 모아주는 좋은 사회인데 ㅠ)

87년 6월 항쟁의 결과로 만들어진 헌재가 민주주의 원칙을
훼손하는 이 아이러니.

정당 해산이 가능하다는 판례가 만들어진 것이 가장 우려스럽습니다.
그것도 헌법해석의 레퍼런스를 제시하는 헌재의 판례로.

이제 남은 것은 합법화된 종북몰이를 통한 공안통치의 폭풍이겠군요

살다 주사 무리를 편들어야 하는 날이 올 줄은.


첨언 : 해산 반대 소수 의견을 낸 김이수 헌법재판관의 마지막 문장


따라서 이 사건 심판청구는 기각되어야 한다.

이는 피청구인의 문제점들에 대해 면죄부를 주고

피청구인을 옹호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바로 우리가 오랜 세월 피땀 흘려 어렵게 성취한 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성과를 훼손하지 않기 위한 것이고,

또한 대한민국 헌정질서에 대한 의연한 신뢰를 천명하기 위한 것이며,

헌법정신의 본질을 수호하기 위한 것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랭키 2014-12-19 13: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선배, 요즘 나라 돌아가는 꼴이 아주 우스워요. ㅜㅜ

알케 2014-12-19 17:43   좋아요 0 | URL
정말 시절이 하수상타.

글샘 2014-12-19 22: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 사회가 그 정도의 내적 쿠션이 없는 사회일까요?

네. 전혀 탄력성이 없죠.

법률이 부자와 권력자에게는 온갖 융통성을 다 발휘하면서도... 자기들 편에 위해가 된다 싶으면... 가차없이 자르는... 그게 독재지요.
 

여행기 속 곳곳에서 전작들의 캐스트들이 막 나옴.
왼팔을 숨긴 현우도, 승민도.

하긴 글이 영매가 영빨 받아 쓰는 `오토라이팅`도 아니고.
작가의 영육을 어찌 벗어나랴.

이러다 정유정 작가 팬클럽 만들 기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들 재밌다고 하시는 십이국기는 읽어야 할 순서가

어떻게 되는지 알려주세요.

구결은 첫 득송 때 제대로 혈맥에 녹여야

주화입마가 없는 법이라지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이드 2014-12-17 23: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성의 아이부터 읽고, 나머지 순서대로 읽으시면 될듯요.

알케 2014-12-18 09: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ckatk

주문 사이트 https://tumblbug.com/ko/416


2014년 4월 16일 발생한 세월호 참사와 피해 가족들의 아픔을 기억하기 위한 달력이 제작됐다. 디자인 컨설팅 업체 슬로워크가 만든 ‘기억하라. 그리고 살아라’는 이름의 2015년도 달력이다. 

달력은 흰 바탕에 검은색 숫자와 글씨로만 구성됐다. 표지에는 416이라는 문구가 볼록하게 양각으로 처리됐다. 두번째 장은 나희덕 시인의 ‘살아라. 그리고 기억하라’는 시가 적혀 있다. 세번째 장부터 1월이 나온다. 그림 등 장식은 일절 없다. 일요일과 공휴일도 빨간색이 아니라 검은색이다. 세월호가 침몰한 4월 16일은 날짜도 없이 비어 있다. 대신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종이배를 접을 수 있도록 노란 색종이 한 장을 부착했다. 


기억하라. 그리고 살아라’는 달력 제목은 나희덕 시인이 직접 지었다. 슬로워크의 요청에 나 시인은 “1980년대 쓴 시(‘살아라. 그리고 기억하라’)가 현재도 유의미한 것 같다”며 자신의 시 제목을 변형시킨 제목을 지어줬다. 조성도 슬로워크 이사는 “달력은 1년 내내 걸어두고 보는 것이라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체로 유용하다. 세월호와 관련된 이야기를 하되 모두에게 부드럽게 다가가 공감할 수 있도록 디자인을 구성했다”고 말했다. “휴일이 의미가 없는 유가족 마음을 헤아려 공휴일을 표시하지 않았다”고 했다. 

달력은 온라인 모금사이트 텀블벅(https://tumblbug.com/ko/416)��� 서 판매된다. 1만5000원을 후원하면 달력을 1부 보내준다. 후원금은 4·16 세월호 참사 가족대책위에 전액 전달한다. 12일 현재 후원액수는 400만원(목표액수 300만원)을 넘겼다. 현재까지 달력 구매의사를 밝힌 이들은 140여명이다.


.......


잊지맙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